이런애들 아직도 있네 저거부터 대단한건데 끝까지 부들부들하네 저렇게 발견 후 검증하는건 당연하고 인간이 예측한거도 검증 해야한다 똑같은 논리로 인간이 발견해봣자 검증해야하는데 무슨 소용임???
2024.11.03
그.. 진짜로 검증해보긴 해야합니다..ㅠㅠ 단백질은 체내에서 워낙 인터렉션하는 물질이 많아서 예측대로 잘 작동 안합니다ㅠㅠ 구조 예측 볼륨이 정말 대단하고 노벨상 받을 자격이 있는 게 맞는데, 검증해봐야하는 것도 맞아요... 화 내지 마요...ㅠ
2024.11.03
검증해야하는건 인간이 발견한것도 똑같죠. 노벨상 받은 생물학자들이 다같이 모여서 단백질 연구에 올인한다해도 1년에 수백개는 발견할수 있을까요. AI는 이미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었습니다.
슬기로운 레프 톨스토이*
2024.11.04
저렇게 예상할 수 있는건 정말 대단한거죠. 하지만, 검증 기간은 AI를 활용하겠지만, 사람이 직접 관찰하고 보는게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단지 이제 검증까지의 시간이 매우 빨리 진게 좋은거죠. 도대체 어디서부터 끝까지 부들부들한다는 이야기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주변에 친구가 없으십니까?
2024.11.03
그냥 다 미친거임
2024.11.03
단백질이 잘못 접히면 다양한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엄격히 검증해야 하는데 검증필요하다고 하니 화내는 사람은 뭐지요?
자세한내막을 모르고 주변에서 이렇다하는걸 비판없이 수용해서 그럴까요..? 왜저런사람들이 있는건지;;
2024.11.04
전문지식이 필요한데 동시에 어마어마한 노가다가 필요한 작업들에선 ai가 확실히 괜찮은것같음
암 조직검사도 의사가 현미경 사진 사이즈 엄청큰거 계속 들여다보고 세포 생긴거 보고 암조직인지 아닌지 판별하고 그러고 있는데 ai로 딸깍하면 인간보다 훨씬 효율적이니
지식이 필요하긴 한데 실무적으로는 무한노가다인 것들은 적용해서 효율 크게 올릴 가치가 있는듯
2024.11.05
AI는 정말 무서운듯
2024.11.05
과학의 발전이란게 이런거죠
2024.11.05
근데 알파폴드가 진짜로 다 맞는건가요
2024.11.05
AI가 진짜 미친듯이 똑똑한건 맞는데 그걸 노벨상 주는게 이해가 안가네요
2024.11.05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거 같아요 앞으로 어떤일들이 벌어질지 두렵기만 하네요
2024.11.08
학습한번 제대로 하면 예측하는건 시간문제지만, 생물은 다시 검증하는 과정이 모두 필요해서 온오프라인 모두 중요. 실수를 줄여주고 노가다 엄청 줄여주지만,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그 외에 신경쓰고 해야할일이 아직도 많음. 제대로 된 데이터가 있어야 쓸만한 모델이 나오는데 아직 학습할 데이터도 너무 부족한 상황.
2024.11.03
대댓글 4개
2024.11.03
2024.11.03
2024.11.03
2024.11.04
2024.11.03
2024.11.03
대댓글 1개
2024.11.03
2024.11.04
2024.11.05
2024.11.05
2024.11.05
2024.11.05
2024.11.05
2024.11.08
대댓글 1개
2024.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