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테마는 포공이 조금 더 마음에 들고 실적은 유니가 조금 더 좋고 연구실인원도 더 많습니다. 제가 볼때 각 단점은 포공 : 인건비는 비슷하나 등록금 연 1000정도, 실적 약간 열세 유니 : 향후 커리어상 포공이 더 좋을듯한 느낌? 연구테마가 포공이 더 좋다는점?
둘다 좋은 학교인건 알지만 조언 부탁드립니다..
이후 커리어상에서 포공이 더 도움되지 않을까 하는 고민에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3개
2024.09.30
등록금 지원 없는데 인건비가 동일하면.. 유니가는게 맞을것같은데요 저라면 유니에서 석사마치고 유학을 생각하든 카이를 가든 할것같아요
대댓글 2개
2024.09.30
유학은 안갈거 같아요.. 생각은 해봤는데 만약 간다고 하면 그냥 자대에서 석사할거같습니다 둘다 석박통합으로 진학할 예정이에요 그리고 돈문제는 없어서 사실 등록금 내도 상관없기는 합니다 이런상황에도 유니가는게 맞을까요?
2024.09.30
그러면 포공 선택할것같아요. 본인이 하고싶은 연구도 할 수있고 아무래도 + 되는 부분이 있으니까요
2024.09.30
연구실이 엄청차이나는게아니라면 포공. 그래도 한두급간차이나니
대댓글 1개
2024.10.01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2024.10.01
제 생각엔 비교불가인데 ㅠ
대댓글 1개
2024.10.01
그정도로 차이가 많이 나나요.. 약간의 실적차이때문에 고민됐는데 포공이 지원이 더 좋은가보네요
2024.10.01
네임밸류 차이가 있으니까 실적이 비슷하면 포공이 낫죠
2024.10.01
spk인데 비교불가입니다
2024.10.01
비슷하면 P 가셔야죠
2024.10.01
연구실적 더 나은 곳으로 가세요 .
spk 박사 졸업장이 절대 밥먹여주지 않습니다.
대댓글 3개
2024.10.01
실적이 엄청나게 차이 나는 것 아니라면 연구실 실적 = 개인 실적만큼 차이 나는 것은 아닐 뿐더러, 한국에서는 spk 석박 졸업장이 메리트가 있는 건 맞습니다
2024.10.02
으잉 연구실적 막 엄청나게 뛰어난거 아니면 졸업장 밸류가 더 클텐데. 특히 우리나라 상당수의 이공계 취직이 그렇듯 내 연구분야랑 채용 분야가 완벽하게 일치하는거 아니면 더더욱
2024.10.03
연구실적이 월등하면 어느자리에 가든지 더 매리트가 큰건 사실입니다. 저도 카이스트 학석박이지만 카이스트 학위장이 주는 영향력 솔직히 미비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동일한 실적이면 사람마음이 좋은학교나온사람쪽으로 기울기가 쉽겠죠. 특히나 학교나 정출연 목표로하신다면 실적으로 경쟁후, 비슷할경우 학벌로 추가적인 차별성을 두는느낌이 좀더 강합니다. 물론 정출연이나 학교중에서도 학부든 대학원이든 spk혹은 미박을 '무조건' 선호하는 곳들도 분명있습니다.
2024.10.01
유니는 포공과 비교되고 싶겠지만 확연한 차이를 가짐.
2024.10.01
사회생활 해보세요. “유니가 뭐야”랑 “오 포공”입니다... 인생 결정 잘 하시기를 바랍니다...
2024.10.01
유니도 좋은 대학임. 그러나 카이스트 포함 모든 과기원을 포함하여도 포공이 가장 자금 상태가 우수함. 1조 5천억 혹은 2조원 가까운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포공과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잘 판단하여야 함. 그런 면에서의 평가를 예기하는 것임.
2024.10.01
포공은 우리나라 5대 재벌인 포스코의 대주주임. 우리나라 많은 대학 중 대기업의 대주주인 대학인 있음? 국내에서는 자금으로 비교 불가임.
대댓글 3개
2024.10.01
죄송합니다. 포스코가 재벌은 아니고 대기업입니다.
2024.10.02
그렇게 교육이 메리트가 있으면 다른 대기업들도 다 자기 대학 세웠지 안그러잖아 ㅋㅋ 교육사업이 들어간 인풋에 비해 아웃풋이 안나오는 사업인데 이윤을 내야되는 기업이 왜 함 ㅋㅋ
2024.10.03
그래서 포공은 우리나라의 풍토에서 다시는 나올 수 없는 대학이야. 포공이 반드시 성공을 하여 세계적인 대학이 되어야 함. 다른 대학은 정부 지원을 받아서 국민세금으로 운영되는데 무슨 수로 그 정도 받아서 세계적인 대학이 되겠냐? 미국은 연간 등록금 1억원이라는데. 국내대학들 아무리 해봐야 안되는 것이야. 솔직히 국내대학들 순위싸움 하는 것 보면 정말 웃기지? 베트남 대학에서 자기들끼리 순위싸움 하는 것과 솔직히 차이가 나나? 국내에서 순위는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아. 여기만 봐도 많은 이들이 국내에서 열심히 서열 놀이 하고 있잖아. 아무 소용 없다고 해도 우물안 개구리가 우물 밖의 세상을 모르니 혹은 알아도 나갈 수가 없으니 그냥 옆에 개구리랑 누가 더 크니 싸우는 것이야. 나는 우리나라 대학은 현 상태로는 절대로 성장 불가능이라고 봐. 우리나라 대학이 동남아 대학 보다는 좋은데 그 정도가 한계인 것 같아. 포공이 만약 이루지 못하면 우리나라 대학은 그냥 모두 끝이야.
2024.10.01
우리나라 의료대란으로 서울의 한 유명 사립대학병원은 수천억대의 적자를 기록한다는 뉴스를 접하고 포공은 의대 신설을 신중히 고려하여 함.
2024.10.01
기업은 대학 네임벨류를 보고, 정출연이나 교수자리는 실적을 위주로 봅니다. 선호하는 진로가 어디냐에 따라 고르시면 될 것 같네요.
2024.10.01
박사를 평가할 때에 연구자들끼리는 보통 먼저 연구 분야, 실적 그리고 학교 순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본인의 연구 이상과 잘 부합하는 쪽으로 선택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4.10.01
내 가족이 유니/포공 고ㅁ하고 있으면 많이 혼낼것 같습니다.
2024.10.01
저도 고민 많이 했는데 결국 연구실 분위기랑 교수님 성향이 제일 중요하더라구요. 아무리 좋은 학교라도 연구실 분위기 안 맞으면 힘들고 아무리 실적 좋은 랩이라도 교수님 성향 안 맞으면 더 힘들구요.
2024.10.01
포공이 유리할듯해요
2024.10.01
둘다 좋은 학교라면
연구실적이 더 좋은곳으로 가는게 맞고
실적이 비슷하다면 내가 더 관심있는 분야로 가는게 맞고
그것도 비슷하다면 인건비가 더 좋은곳으로 가는게 맞고
그것도 비슷하다면 등록금이 더 적게 드는곳으로 가는게 맞고
그것도 비슷하다면 인원 많은곳으로 가는게 맞고
그것도 비슷하다면 내가 더 좋아하는 곳으로 가는게 맞습니다.
이 순서대로 고려해보세요
2024.10.01
비교할걸해야죠.. 연구실적도 앵간하면 포공이좋음.. QS 연구실적 지표보세요..
2024.10.01
전 취업생각해서 학교이름보고 포공 오긴했는데 진짜 연구만생각하고 다른거 고려 안하실거면 유니도 괜찮은거같아요
2024.09.30
대댓글 2개
2024.09.30
2024.09.30
2024.09.30
대댓글 1개
2024.10.01
2024.10.01
대댓글 1개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4.10.01
대댓글 3개
2024.10.01
2024.10.02
2024.10.03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4.10.01
대댓글 3개
2024.10.01
2024.10.02
2024.10.03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4.10.01
2024.10.02
2024.10.02
2024.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