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대학원 비전공자 가능?

2024.09.27

9

1202

건동홍 라인 공대 2학년 재학중입니다. 컴공 복수전공 하기에는 이도저도 안될거같아서 복수전공 안하고 본전공만 챙겼습니다.
과탑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가 무작정 ai연구하시는 자대 교수님께 타과생도 학부연구생 할 수 있는지 여쭤봤고 가능하다하여 조금 희망이 생겼습니다. 평소에 cs지식은 고등학교때부터 꾸준히 공부해와서 어느정도 쌓여있는데 그래도 복수 전공을 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연구경험을 더 많이 쌓는게 중요할까요?
제가 복수전공 포기한 이유도 공대 공대 복수전공하고 학부연구생까지 하면 진짜 이도저도 안될거같더라구요 그래서 일단 접어두고 본전공 성적을 유지하는걸 선택했었건거구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9.27

목적에따리 다르겟지만 유튭 보면서 공부하는거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9.27

복전보단 따로 공부하고 연구경험 쌓는게 좋겠죠?

2024.09.27

흠..
주전공학점은 주전공 성실성을 보여주는거지
Ai는 여전히 비전공자이니까요.
문과 학점 4.5라 한들 기업 및 공대 대학원에서 해당 학생을 안뽑는거랑 똑같죠
복전 안하시고
비전공자로 대학원 입학하려면 입구컷 당할 확률 높습니다

2024.09.28

인공지능을 대학원 전공으로 하기엔 좀. 본인연구분야 열심히 하시고 인공지능 접목해보는 방향이 좋지않을까요? 젠슨황이 기조연설 했을때 하는 말이 맞을듯한데. 과거로 가면 컴공보단 생명공학 전공할거라며. 인공지능 기술 발전 속도가 워낙빨라서 대학원에서도 벅찰듯하고 기존 도메인 지식이 중요할듯해요. 앞으로는 물리 수학 전력공학 전자공학 요런분야가 더 중요해질듯

대댓글 2개

2024.09.30

토목공학이긴한데 도메인쪽에서는 완전 비주류로 알고있거든요 그래도 교수님들 중에서 간간히 연구하시는 분들 있는거같은데 이쪽 분야도 고려를 해보는게 낫겠죠?

2024.09.30

토목공학도 더 중요하지않을까요? 뭐 예를들면 거대한 데이터센터 건물에 대해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수 있는 구조를 인공지능 기술로 방법론을 찾는다던지 요런 뉘앙스의 연구를 하는것이 앞으로 전망이 높을듯. 인공지능만 할줄아는 사람은 토목공학에 관련한 데이터 취급은 안할테니깐요. 저는 분광학 실험데이터로 인공지능 학습시키는 연구해요. 실시간으로 결과값을 출력하는 연구. 물론 인공지능 개뿔도 모르지만 chatgpt써서 데이터 예측모델만들고 시험해보는중. 저는 요런 도메인 지식인들이 앞으로 중요해질듯. 인공지능 기술은 아마도 굳이 공부안해도 바로쓸수있게 소프트웨어가 나올듯. 음 마치 엑셀처럼. 본인 전공살렸으면 좋겠어요. 인공지능 솔직히 해보니깐 함수 의미를 파악해서 나열하고 데이터로딩해서 학습시키고 실측하고 예측차이가 어느정도 되는지 확인하고. 요런 업무. 이미 구글 과학자들이 잘 만들어놨어요. Chatgpt로 질문하면서 공부하시면 될것 같은데. 저도 그러고 있음 굳이 이런걸 대학원에서 전공해야되나 싶기도하고. 알고리즘을 만든다면 모를까 활용하는건 워낙 쉽게 잘되어 있던데 내 개인적인 사견.

2024.09.28

윗댓들은 너무 보수적인데 저도 전자과고 잘만 하고 있습니다. 비컴공 출신들 엄청 많아요.
문과면 많이 힘든데 공대고 공수하고 선형대수 지식만 있으면 누구나 가능해요. 본전공 열심히 하면서 학부연구생해서 논문 실적을 만드세요.

2024.09.28

수학 잘하면 비전공자여도 상관 없어요.

2024.09.29

잘하고 그걸 증명할수있음됨. 근데 그게 쉽지않은거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