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카이스트 양재캠 관련해서

2024.06.02

26

5213

카이스트 양재 캠 관련해서 말들이 많아서 개인적인 의견을 좀 끄적여보겠습니다.

K+AI 분야와 관련 없는 사람 입장에서 봤을 때 서울, 그것도 양재에 캠퍼스 짓는 건 조금 무리수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양재에 캠퍼스 지으면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인재+해외 교수들을 끌어모을 수 있고 카이스트의 AI 경쟁력은 올라가겠죠 (지금도 AI 몇몇 분야에서는 넘사지만)

근데 문제는 현 대한민국의 제일 큰 문제가 수도권 집중화 현상+ 저출산이고 이미 저출산이 수도권 집중화와 무관하지 않다는 건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립 대학이 굳이 잘 있던 대학을 서울 요지로 옮긴다? 그것도 대전에 있던 대학이? 차라리 포항공대가 올라왔으면 포공은 사립에 위치가 포항이니 차라리 나았다고 생각합니다. 장기적으로 포항은 수도권 집중화를 해결하는데 그닥 큰 역할을 기대하기는 힘든 도시니까요. 근데 대전은 이야기가 다릅니다. 수도권 집중을 피하려면 무조건 세종+대전을 기점으로 해결해야 할텐데 굳이 대전에 잘 있던 캠퍼스를, 그것도 일부만 똑 때서 양재로 간다?

AI 같은 핫한 분야의 캠퍼스가 그나마 대전에라도 있어야 서울 밖에 안 살아봤던 인재들이 지방 한 번 내려가서 살아보고, 어쩌다 정착할 기회도 생기지 않을까요? 카이스트가 사립이면 모를까 정부 지원금으로 운영되는 대학인데 서울로 올라가는 건 카이스트 입장에서야 마다할 이유가 없는 선택이지만, 장기적으로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별로 좋지 않은 선택 같다는 생각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4.06.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스트 ai(국가에서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미래먹거리)대학원 발전이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지면서 얻는 이득 >> 지방 균등 발전 누가 생각해도 당연한건데

대댓글 8개

2024.06.02

대전서 AI 연구해도 별 차이 없을건데

2024.06.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ㄴ빈약하고 얇은 생각의 깊이 잘들었습니다.

2024.06.02

서울, 대전, 방구석 가릴거 없이 위치에 따라 생산성 차이가 나면 안 되는 분야가 AI인데... 국가 경쟁력은 뭔 헛소리이신가요?

2024.06.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우수인재 유치가 뭔지는 아세요? 서울, 판교에 데이터센터, ai관련 기업 다 모여있는건 아시구요? 설마 ai대학원 수백명이 지방 간다고 갑자기 지방이 발전한다고 생각하시나요?
무식하면 용감하시네요

2024.06.02

카이스트 AI가 대전에 있다고 학생들이 지원을 안 할까요? 데이터 센터 근처에 있어야만 AI 개발이 가능한가요? 허를 찌르는 무식함에 탄복을 하게 됩니다.

2024.06.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우수 인재들은 미국이나 해외랑 고민할텐데, 그리고 해외 인재, 연구자들은 생각 안하세요?? ㅋㅋ 다 님같은 취업못해서 대학원가는 수준이 아닙니다 제발 ㅠㅠ

2024.06.02

도스토예프스키님은 인신 공격을 안하면 자기 의견을 말씀 못하시나요?

2024.06.02

해외 인재가 카이스트를 왜....? ㅋㅋ 도스토예프스키님 농담도 참 잘 하시네요. 카이스트 개그 특기자 전형으로 입학하셨나^^

2024.06.02

이건 진짜 무식한거임. 지금 KAIST AI가 대전에 있으면, KAIST AI 출신들이 대전에 정착하겠지라고 행복회로 돌릴 게 아니라, 다 전부 미국으로 나갈거라는 생각을 해야 맞는거임; ;;;;;;;;
이분최소 카이AI 생들이랑 이야기도 못나눠봤나본데 ㅎㅎ;;

대댓글 7개

2024.06.02

모든 자원이 집중되어있는 서울에서 집중 육성을 해도 모자랄판에 어째 지방으로 보내서 5년동안 가둬두겠다는데, 옳다구나 하고 가겠소 ~~ ㅋㅋ ㅋ하이고 참

2024.06.02

저는 학석박 전부 K 출신이 아니고 분야도 AI가 아니니 당연히 카이 AI 생들이랑 이야기를 못나눠봤죠 ㅋㅋㅋㅋ 근데 님 논리대로 따지면 서울에 안들어올 기업, 대학 하나도 없습니다. 수도권 정비법은 왜 있고 교육부에서는 왜 수도권에 캠퍼스 설립을 제한하겠습니까? 전부 서울에 갔다 박아야지

2024.06.02

500명도 안되는 인원으로 구성된 학과를 대전에 박아두는 것으로 얻는 국가적 이익보다
자원이 집중된 서울에서 키워내서 계속 서울에 남기는 것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막으며) 으로 발생하는 이익이 훨씬 크다는 건데 논지 안잡히십니까? 그걸 국가도 인정한건데?

그 님이 말하는 뭐시기 정비법들은 대규모 인력이 이동하는 경우, 제조업 공장같은 경우에는 만명 단위의 이동이 발생하니까 그렇다 쳐도, 카이 이동하는데는 몇백명 안된다니까요? 500명 우수한 석박자원 지방에 박아놓고 미국행을 꿈꾸게 만들면 지방 균형 발전이 "진짜로" 이루어질거라 믿음???

2024.06.02

장기적으로 보나 단기적으로 보나, 국가 운명이 걸린 기술을 키우는데는 예외를 지속적으로 두어야 함. 다른 대학이랑 형평 맞춘다고 지방에 남겨? 에라이씨 ㅋㅋ 과학고랑 영재고 싹다 문닫고 일반고로 흩뿌리는것도 좋다고 주장하시지 그래요 ㅋㅋ

2024.06.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댓글들보니 카이스트 AI 교수들 다시
대전 가기 싫어서 바락하는 말로 들리는데..
카이스트 AI가 수도권 (그것도 강남 한복판)에 있다는게 교수들이 지들만 좋은거지.
카이스트 AI가 서울 강남한복판에 있는걸 근거로, 관련 스타트업도 죄다 서울에 올거고 —> 수도권 과밀화 유발
신생 유망 기술(양자 컴퓨팅) 등장하면, 같은 논리로 서울에 분원 만들 근거 주는거고…
출산율 0.6 인건 아시나 몰라?!! 출산율 1.5 되면 서울에 오세요ㅠㅠ 안말림..

2024.06.0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스트가 AI가 서울에 있으므로, 다른 대학들도 카이스트 AI 를 사례로 서울로 분원 내려할거임.
스타트업, 대기업들도 카아스트 AI가 대전에 있으면, 대전에 AI 관련 인력을 보내겠지만, 서울에 있다면 보낼 필요가 없겠지? 수도권 과밀화의 주요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인데,,, 카이스트 AI 가 양재에 있으므로 해서, 앞으로 창출될 AI 관련 신규 직장이 서울에 생기게 되므로 수도권 과밀화 촉진 ~~ 이에 따른 출산율 악화(수도권 과밀화랑 출산율과의 상관관계는 구글링 하기 바람)

지금 출산율 0.6 나라가 이미 망함

2024.06.03

대도시 가고싶고 대전이 싫어서 미국을 간다고?
미국에 있는 대학중에 대전보다 대도시에 있는 대학이 몇개나 되는지 알고들 하는소린지. ㅎㅎㅎㅎㅎ 대전, 포항이 시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미국 칼리지타운 가보면 기절을 할텐데. 빅테크 갈 능력되는 사람이야 대학을 서울에서 나오건 대전에서 나오건 갈거고.

제조업은 부대인구까지 다잡고 대학원은 안잡는데 그 만단위 고용효과 창출이라는 대기업 공장들도 대기업 직고용 인력들 몇명 안됨. 특히 CS 같은쪽은 카이스트 대학원생 파트 잡아놓고 굴리는 회사들 대전에 꽤많은데 이 회사들 다 서울로 따라나는거라 파급효과 생각보다 오히려 더 큼.

2024.06.02

그럼 전문연 티오도 수도권으로 가져가서 군대 쉽게 못 빼게 되는건가

대댓글 1개

2024.06.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맞음

2024.06.03

지방 살다 어쩌다 정착은 일자리가 거기 생겨야 생기는거고 ㅋㅋㅋㅋ 과고출신인데 포스텍 갔던 동기 선배 후배 애들중 포항에 남은애들 단한명도 없는데 과연 대학 대학원이 지방에 있는게 지방 균형발전에 기여하는 비율이 1%는 될까 싶음. 대학 대학원은 말그대로 그냥 학위딸동안 거쳐가는 곳이지 지방균형발전 중요도 99퍼는 거기서 일자리가 생기고 지방에서의 삶이 있어야 거기 남는건데

대댓글 1개

2024.06.0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서반포에 클러스터 만든다고 하자나,-
일자리랑 같이 연계해서 만든다고!

대전에 전문연 만들어서 일자리 창출하고, 대전에 AI 클러스터 만들어야지

2024.06.03

이미 서울에 카이스트 캠퍼스 있는데...이 논의가 지금 뭔 소용있나. 다 끝난 일인데

대댓글 1개

2024.06.0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다시 원복 시켜야만 합니다. 끝나긴요.

2024.06.03

카이스트 AI 대학원의 역할을 대전 카이스트의 여러 분야와 함께 도약하는 엔진 역할에서 서울지역에서 보다 쉽게 학생을 받고 서울과 경기 판교 등의 기업과 손쉬운 협업이 가능한 잇점을 크게 보는 것은 아닐까요? 서울에선 이제 카이스트 AI의 역량도 흡수해내는 시너지를 얻게 된 셈이니, 어쨌든 서울은 대박.

대댓글 2개

2024.06.0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니요. 수도권 과밀화에 기름을 뿌리는 일입니다.
반듯이 시정되어야 합니다.

2024.06.0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다른 분야와 협업을 위해서 더더욱 대전에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들이 대전으로 가죠. 에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