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1년 휴학하고 더 좋은 연구실 들어가기 vs 그냥 자대 들어가기

2023.08.08

17

1335

먼저 석박사 생활을 하고 계신 선배님들 입장에서는 어떤 게 더 나아 보이실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3.08.08

닥후 아님?

대댓글 1개

2023.08.08

댓글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8.08

더 좋은 레벨의 학교에 인기분야 렙이면 전자인데 그런거 아니면 걍 후자가 나은 듯

대댓글 1개

2023.08.08

댓글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8.08

팩트는 1년 휴학하는 순간 더 좋은 랩 가기는 오히려 어려워진다. 한살이라도 어리고 휴학경험 없을 때 자대든 타대든 그냥 빨리 지원하는게 낫다.

대댓글 4개

옹졸한 아르키메데스*

2023.08.08

정답

2023.08.08

ㄹㅇㅋㅋㅋㅋ

2023.08.08

이게 정답. 학부생이 1년 휴학해봐야 더 좋은 랩 갈 스펙이 뭐가 좋아지겠음?
영어 성적, 랩 연구 경험? 다 부질없음.

대학원 지원에서 교수들이 고려하는 큰 팩터는 오직 3가지임.
1. 학부 학교 이름
2. 학부 학점
3. SCIE 논문 주저자
이거 말고 다른 거를 위해서는 한 달도 아까움.

2023.08.08

댓글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8.08

자대가 어딘데요?

대댓글 2개

2023.08.08

댓글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8.09

자대는 지방 국립대 입니다

2023.08.08

대학원은 학부학벌이 90퍼를 차지하기때문에 취준처럼 영어성적 올리고 대외활동하고 자격증따기처럼 고작 1년 시간박치기로 해결이 불가능함
뭐 학부연구생하면서 논문쓰거나 그런생각하시는거 같은데 어느정도 참작은되도 학벌학점 안되면 지도교수가 그냥 열심히한다고 대충 이름 넣어준거겠지 취급당할꺼임
랩실찾아보면 종종 학부연구생,석사부터 키워서 해외유학보내는거 긍정적으로 밀어주는 교수들있으니 거기들어가서 박사로 길 찾아보길

대댓글 1개

2023.08.08

댓글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8.08

분야나 상황에 따라 다른 것 같지만, 더 좋은 연구실이 확실하다면 저는 전자를 추천합니다.

특히 통합으로 지원하실 거라면 더더욱 전자를 추천합니다. 앞으로 긴 시간 동안 웰빙을 좌우하게 될테니까요.

만약 제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이 하겠습니다.

석사 지원이라면, 자대로 빠르게 진학해서 적성과 연구실과의 합을 맞춰봅니다.
만약 통합으로 지원할 계획이라면, 해당 분야 스타랩이나 평판 좋은 연구실에 인턴 지원을 모조리 넣어서 1학기 정도 인턴 생활을 해보겠습니다.
풀타임 인턴을 한학기라도 해본다면 연구실을 선택하는 기준과 분야에 대한 본인의 생각이 완전히 바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래 고민하기 보다는 최대한 짧게 (석사 생활이든, 인턴이든) 본인과의 합을 확인하는게 중요하다는게 제 의견입니다.

대댓글 2개

2023.08.09

안녕하세요 우선 정성스런 답글 감사드립니다
저는 현재 4학년 2학기 졸업을 앞둔 재학생입니다

그러나 인턴을 1학기 동안 받아주는 곳이 있을까요? 저희 자대 교수님도 인턴만은 안 받아주시던데
본인 밑에서 석사 하는 거 아니면 인턴 잘 안 받아주시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제 스펙이 부족하기에 휴학을 신청하고 1년 동안 인턴하며 실력을 쌓고 그 랩실에서 더 의미있게 석사 생활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었는데 잘 안 받아지네요 제 스펙이 부족해서..

졸업은 눈 앞인데 현실은 뒤늦게 깨달아 이거 어떡해야하나,, 참 많은 생각이 드네요.. 박사를 아예 안하겠다는 건 아니지만
일단은 석사를 중점으로 생각하고 있어서 섣불리 석박통합은 어려운 것 같습니다.

만약 휴학을 하게된다면 어떤 스펙이나 경험을 하는 게 좋을지 조언 부탁드려도 될까요?

2023.08.09

정말로 댓글들이 많은 도움이 되었는지가 의문이네요.
모든 댓글이 휴학이 1도 도움이 안된다고 하는데 '만약 휴학을 하게 된다면' 이라니요.
휴학은 건강이나 집안 상의 문제 등으로 어쩔 수 없이 쉬어야 할 때 하는 겁니다.
지금 휴학 1년 해서 어떠한 스펙이나 경험을 쌓든지 대학원 진학 스펙에서 플러스가 되지 않습니다.

대학원 진학 간단합니다.
가고 싶은 랩 리스트 쭉 정리해서 위에서부터 컨택하고 거절당하면서 내려오면서 받아주는 랩 가는 겁니다.
그냥 그게 본인 스펙이고 갈 수 있는 랩입니다.
당연히 학부가 안좋으면 교육 환경이 안좋았던 것처럼 대학원도 하위랩은 상위랩보다 환경이 더 안좋을 확률이 높겠죠.
그 와중에 그래도 상대적으로 좋은 랩을 골라서 가야 하는 거고 상위랩 학생들을 이기려면 더 노력해야겠지요.
그래서 일단 거기 석사 진학 해서 열심히 해서 다음 기회를 노리든지 해야죠.
대학원은 학부와 달라서 좋은 학교에 좋은 랩 비율이 높을 뿐이니 더 꼼꼼히 봐야 하고요.

4학년 2학기까지 살아온 기록이 공부 측면에서는 학부 이름과 학부 학점입니다.
SCIE 논문 주저자는 매우 쉽지 않기 때문에 가끔 뒤늦게 대학 진학한 이후에 연구에 미쳐서
그정도 성과를 내는 학생들에게 플러스를 주는 겁니다. 지금 시작해서 1년 내에 주저자 논문 거의 불가능하고요.
4학년 2학기까지 열심히 안 살았는데 인기랩은 가고 싶고 휴학해서 1년만에 뭘 어떻게 바꿔보겠다는 생각은 착각입니다.

본인 생각을 깨세요. 1년 휴학해서는 아무 것도 바뀌지 않고 오히려 마이너스 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