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무조건 SPK부터 알아봐야하나요?

2023.06.01

6

999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공에서 관심있는 랩실이 S에 3개, P&K에 0개, Y에 1개 있습니다.
관심있는 랩실에서 가장 가고싶은 연구실은 Y인데, 이러한 경우에도 SPK 컨택을 한 후에 Y에 컨택을 해야하나요?
저 또한 P의 랩 인턴을 해보았기에 실험실 규모와 연구장비 등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았지만, 그러한 것을 배제하고 관심도가 SPK<YK인 상황에서도 SPK->YK 순서로 컨택을 진행해야하나요?
석사 학위 취득 후 취업에 있어서, 관심분야와 실적보다는 SPK라는 ‘대학의 간판’이 취업에 더 영향을 주는건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3.06.01

컨택은 본인이 가고싶은 곳부터 하시면 됩니다.
대기업 석사 취업이면 학교 이름이 더 의미 있겠죠.
석사 때 유의미한 실적 내는 경우는 별로 없어요.

대댓글 2개

2023.06.01

석사인 경우에는 학교 이름, 박사인 경우에는 실적을 더 많이 보는군요.
관심있는 랩실 4곳 전부 다 석사 학생이 있기는 해서 석박통합으로 지원하지 않아도 석사 진학생도 받아주는 것 같은데 석사생이 1저자인 논문은 찾아볼 수가 없더라구요. 이런 경우도 정상인 것으로 보는게 맞을까요?

2023.06.01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석사생이 1저자 논문 있는 경우는 드뭅니다.

2023.06.01

석사후 취업이면 spk가 나을듯 합니다.윗분말씀처럼 석사때 유의미한 실적이 나오는케이스는 드물어 학교이름이 나을듯합니다

2023.06.01

석사는 학교 이름, 박사는 실적입니다.
물론 석사 때 1저자 내는 게 도움이 안된다는 건 아닌데 그런 경우가 별로 없어서요.
세심한 게오르크 헤겔*

2023.06.03

YK 석사도 거의 대기업에 가니까 간판으로서 불리한 점은 찾기 어려울 것 같고, 단지 생명공학이 취업이 좋게 잘되는 분야는 아니라 분야 때문에 걸리긴 하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