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제출할 저널 선택 고민중입니다. (MDPI vs 기성 저널)

2023.04.03

11

4654

안녕하세요.
올해 2월에 박사학위 마치고 포닥으로 있는 연구원입니다.

이제 졸업도 했겠다 본격적으로 실적을 늘리려고 노력중인데요.

학위중에 MDPI 에 몇번 낸적이 있어서 paper invitation 메일이 종종 오더라구요. (MDPI에서는 Q1 안에 들어오는 저널만 냈었네요)
저널 scope도 저와 동일한 곳에서만 오고 있고요.

근데 아무래도 MDPI에 대한 요즘 인식도 그렇고, 여러곳 글을 좀 읽어보면 임용 평가에서 실적 제외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해서
MDPI Q1 이내의 저널에 낼 지, 아니면 Q1 끝 언저리에서 Q2 사이에 있는 기성 전통 저널에 낼지가 상당히 고민 됩니다.

임용을 준비하고 있어서 논문 실적이 매우 중요한데, 평가 항목중에 단순히 쿼터로 나누어 점수를 부여하는 곳도 있더라고요.

아무래도 MDPI가 프로세스도 빨라서 조금 더 실적을 많이 뽑을 수 있을거 같고, 다들 아시다시피 MDPI가 게재 난이도가 일반 기성 저널보단 다소 쉬운건 사실이니깐요.
반면 기성 전통 저널에 제출한다면 상대적으로 기간이 길어져서 1년 내에 많은 논문이 나오기는 힘든 상황이구요.

평가하시는 교수님들은 MDPI가 어느 출판사인지도 모르는 교수님도 계실거고, 또 최근 임용된 교수님들은 MDPI에 상당히 부정적이신 교수님들도 계신데,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 여쭙고자 글 올립니다.

(추가로 말씀드리면 MDPI에서만 저널이 게재된 건 아니고 기성 저널에도 다수 게재 되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3.04.03

지원시 대표논문 4,5개 중에 MDPI 2개이상 들어가있고 그런거 아니면 1개정도는 괜찮다고 보는데... 하이브레인넷 여쭤보시죠

2023.04.03

전통 저널에 한 표 합니다.
정량 점수야 mdpi가 약간 더 높을 수 있겠습니다만, 어차피 서류 통과하는 레벨이라면 도찐개찐일 듯 합니다.
반면 mdpi가 포트폴리오에 생기는 것 자체만으로 마이너스가 될 수 있습니다.
팔팔한 카를 가우스*

2023.04.03

두개를 비교하면 당연히 낮은 IF라도 SCI임

요즘 임용에서 사실상 페이퍼(실적)에서 걸리는 경우는 거의 없고 정성평가, 프리젠테이션, 면접 등에서 갈림
이 과정에서 낮은 IF의 SCI가 있다고 문제가 되진 않으나, MDPI가 있으면 여지가 있음 (글쓴이 말처럼, 최근 인식이 매우 안좋음)

단순하게, 왜 MDPI에 게재했냐고 물어보는 경우도 있었음(동료 박사)

신임교수들의 인식은 그냥 급하게 실적이 필요한경우-학생 졸업이나 과제등- 쩌리로 인식하는 경우가 대다수인 것 같은데
약간 연로하신 교수님들의 경우 상당히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 듯 함.

이는 빠른 프로세스 및 높은 엑셉률 = 피어리뷰를 제대로 안하고, 논문 장사한다고 받아들이기 때문인 듯(실제 틀린말도 아님)

따라서 SCI를 추천함

대댓글 1개

2023.04.03

동의.
바이오라면 차라리 bbrc를 낼 지언정 MDPI는 내면 안됨. 저널에 대한 논란을 하자는 것이 아니라 엄청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음. 굳이 그 사람들에게 무시당할 이유가 없음.

2023.04.04

OA 원하시면 PLOS one 추천이요

IF : 1

2023.04.04

Bbrc도 plos one도 약탈 저널 언저리에 걸려있음. 신중하게 투고하길

2023.04.04

본인 대표논문도 아니고 그냥 승진 점수채우기면 어떤 저널에 넣어도 상관 없어요. 학생들 입장에선 평가 받는 입장이니 인터넷에서 글보고 유독 반응 크게하는거 같은데 교수나 연구원입장에선 메이져 저널 하나쓰는 동안 시간내서 하위저널 한두개씩 써야 죠.

2023.04.04

PI되기 전에는 mdpi는 가급적 멀리하라고 조언받았습니다
쑥스러운 쿠르트 괴델

IF : 1

2023.04.04

정말 급박한 상황이라면 빠른 프로세스의 장점을 살려서 MDPI를 쓰기도 하는 분위기 였는데.... 일부 의심저널은 피하라는 공문도 내려오고 있어서 조심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급박한 상황이 아니라면 전통적인 저널에 내는게 장기적으로 좋아보입니다.

2023.04.04

모두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역시 MDPI는 지양하는 쪽이 맞는거 같네요.ㅎ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청승맞은 쇠렌 키르케고르*

2023.04.09

임팩터 팩터가 높다고 좋은 저널은 아니죠. 랭킹이 높은 학교는 Mdpi는 오히려 없는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대략 15웨에서 20위 권인 우리하교도 정성심사시 mdpi가 실적의 주를 이르면 걸러버림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