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가고 싶은 연구실 다 좋은 럅실인 것 같은데 이왕 가는것 집근처로 갈까 생각 중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4개
직설적인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3.02.17
네 랩실보고가세요
대댓글 1개
2023.02.17
감사합니다
2023.02.17
네 학교별 차이는 없고, 랩실보고 가세요
대댓글 1개
2023.02.17
감사합니다!!
2023.02.1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급은 거서 거기. 연구실, 지리적 요인만 고려하면 될 듯
대댓글 1개
2023.02.18
감사합니다!
2023.02.18
저 세갠 차이없는데 차라리 연고서성을 추천하긴해요 사람은 서울에서 살아야한다고 서울와서 느꼈어요
대댓글 5개
2023.02.18
비싸서 못가요 ㅋㅋ
2023.02.19
연고는 모르겠는데
서성? 성한일테고, 성한은 좀... 거기서 너무 힘들어 하는 사람들 많이 봐서.
김박사넷에서도 간간히 들려오고
2023.02.19
대학원은 성한보다 ist가 나음
2023.02.19
고, 성에서 인턴 각각 두달씩 했는데, 영 아닌거같아서 대학원은 ist로 진학했는데 풀만족함. 쪽지 주면 자세한 상황 알려줄 수 있음.
2023.02.19
쪽지 기능이 사용이안되여....
2023.02.19
힉부가 좀 그러면 최대한 입시때처럼 그렀치 않으면 교수님보고 자대가시길
대댓글 1개
2023.02.19
자대가 등록금이 너무비싸요.. 학부도 빛내서다닙니다 ㅠㅠㅠ
세심한 유클리드*
2023.02.19
디지는 조금 문제가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대댓글 3개
2023.02.19
왜여? 무슨 문제있나요?
세심한 유클리드*
2023.02.23
교수님들 실력이 조금 부족한것 같습니다.
2023.04.03
지 유니 학생이신가요? 바이오분야 디지스트가 수준 상당하던데요. 논문 실적 교수진 등등.. 지스트 기계나 유니 화학 등등 특화된 분야 제외하고는 다 비슷 합니다. 그렇게 타학교 비방하는 댓글 다셔도 모교 수준은 변화 없어요.
겁먹은 요하네스 케플러*
2023.02.19
디지는 비추
대댓글 2개
2023.02.19
이유좀 알려줘요 ㅠㅠ 집이랑 가까워서 가고싶었는데
2023.04.03
유니 지스트 학생수가 상당히 많아서 그런지 이런 댓글들이 많네요. 관련 분야에서 지켜본 바 디지스트 랩수준 상당합니다. 세 과기원 모두 연 있어서 잘 아는데 d가 타 과기원보다 비교우위인 분야 많더군요. 그 반대도 다른 과기원이 비교우위인 분야도 분명히 있지요.
2023.02.20
집이 가까운데 맘에드는 랩까지 디지에 있다 하면 그냥 디지 가세요 사람들 말하는거 보면 디지가 좀 밀리는것 같긴 한데 큰 의미 없어보입니다
2023.02.20
연구 인프라는 ist가 환경이 훨씬 좋지..
비관적인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3.02.20
유니 버리고 디지도 빼면 지스트밖에 안남네요. 연구 분야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특별한 게 없다면...
2023.02.20
과기원 상황을 잘 아는 교수입니다. 제 생각에 분야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그래도 eecs의 경우 세 개 과기원이 큰 차이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디지스트 eecs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유니스트/지스트는 교수 이직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편이어서 디지스트도 좋습니다. 그런데, 세 학교 별 차이보다는 관심 가지는 연구 분야의 지도 교수가 누구냐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대댓글 2개
세심한 유클리드*
2023.02.23
글쎄요 교수이직이 왜 더좋은 평가도구가 되나요? 진짜궁금한데요 자주이동하면 거기 분위기가 별로인건가요?
2023.04.03
당연하죠. 조건좋은 타학교에 교수뺏기고 이적많은게 당연한 순리가 아닌가요
2023.02.21
디지몬 감스트 유니짜장 다 똑같습니다
2023.02.21
s
2023.02.22
어느 관점에서 보냐에 따라 다른거 같은데요. 해외박사 출신으로써 저와 제 주변을 보면, 서울대 카이스트 아니면 그 이하 뭉탱이들.. 이라고 보는것 같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2.22
뭉탱이?
2023.02.23
선민의식이 가득하시네요.. 제 주변 미박 지인들 이야기 들어보면 전반적으로 국내 대학들의 연구 수준이 빠르게 성장 중이라고 입을 모아 말합니다.. 그 중 카이 제외 3대 과기원들의 성장세를 저널이랑 컨퍼 좀만 살펴보면 느껴지는데 정말 해외박사 출신이 맞으신지 의심스럽고 설령 맞다면 실력이 의심스럽네요.
2023.02.22
학교 이름이나 네임 벨류에 따른 큰 차이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같은 학교 같은과에서도 Lab by Lab 논문 아웃풋/Alumni/인건비 차이가 어마무시합니다.
2023.02.17
대댓글 1개
2023.02.17
2023.02.17
대댓글 1개
2023.02.17
2023.02.18
대댓글 1개
2023.02.18
2023.02.18
대댓글 5개
2023.02.18
2023.02.19
2023.02.19
2023.02.19
2023.02.19
2023.02.19
대댓글 1개
2023.02.19
2023.02.19
대댓글 3개
2023.02.19
2023.02.23
2023.04.03
2023.02.19
대댓글 2개
2023.02.19
2023.04.03
2023.02.20
2023.02.20
2023.02.20
2023.02.20
대댓글 2개
2023.02.23
2023.04.03
2023.02.21
2023.02.21
2023.02.22
대댓글 2개
2023.02.22
2023.02.23
2023.02.22
202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