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대학원 진학 및 전망 관련 정리

IF : 2

2023.02.16

22

19371

우선 나는 서울 k 정출연 현직이고,
최근에 AI대학원 관련 논의가 많기에 "학생이 아닌 입장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우선 ai를 연구하는 곳은 크게 2군데가 있다.
첫번째가 ai대학원이고, 나머지는 기존 전통 학과들에서 ai 기반의 응용 연구를 하는 경우이다.

나는 ai대학원과 기존 학과로써 구분짓고 싶지 않고, "연구 분야"로 구분짓고 싶다.
그 이유는 ai대학원도 산업적인 응용 위주로 연구 하는 랩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 자연어 처리, 자율 주행, 비젼 등 현재 AI 메인 주제 및 AI 이론 연구 분야

- 대부분 사람들이 관심가지고 있는 분야는 이 쪽 분야이고, 이 쪽 분야는 향 후 몇 년간 super red ocean이 될 전망이다 (지금 졸업하고 취직하는 사람들은 운이 좋은 거다... 특히 지금 박사 받은 사람들은... 그 사람들이 입학할 때, 이만큼 ai가 인기있지 않았다.)

- super red ocean이기에 졸업 후 이쪽 분야로 진출하려면, 남들보다 월등해야 한다는 건 당연하다.

이 쪽 분야가 전망이 밝지 않다는 게 아니다.

오히려 전망은 매우 밝지만, 좋은 직업은 한정적이며 갈수록 지원자가 상향 평준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인이 자신이 있고, 이 기술들에 열정이 있으면 아무 문제없고 진출을 정말정말 권장하지만.

그냥 이 쪽 분야가 최근 떠오르는 분야래~
하면서 진출하기엔, 그 쪽 분야 연구를 한 어중이 떠중이가 될 확률이 너무 높다.

정출연 현직으로 지원자들 심사하는 입장에서 보면,
"너도 그거 했니? 근데 남들에 비해 실적이 많이 딸리네?"
이런 소리 듣기 딱 좋다.

즉, 이 쪽 분야는 미래 전망이 밝은 건 분명하지만, 잘할 자신과 분명한 열정이 없다면 고민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 기타 AI 응용 기술

- 우선 말하고 싶은 건, ai 쪽은 산업적으로 응용이 무궁무진하며 파이가 계속 늘어날 예정이기에 지금 시점에서 super red ocean인 건 윗 쪽 분야고, 나머지 다른 ai 응용 분야는 여전히 blue ocean이다

지금 박사로 졸업한 ai 전공자들이 입학했을 4~5년 전에는 그 분야가 red ocean이 아니었음을 다시 상기하자, 지금 박사 입학 후 5년 후에는 어떤 분야가 red ocean이 되어있을 지 아무도 모른다.

다만 ai가 너무너무 유용한 기술이기에, ai와 연관성을 떠올리기 쉬운 로보틱스 뿐 아니라 재료공학, 화학공학, 건축 등 정말 다양한 곳에서 ai기반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로보틱스의 경우 원래 취직이 잘 되는 분야인데 ai까지 곁들어 한다면 진출할 수 있는 분야가 더 넓어지는 셈이다.
그리고 이렇게 ai를 응용하는 user입장의 연구는 진입장벽이 크게 높지도 않다.

AI에 관심이 적당히 있는 사람들은 이렇게 ai 기반 응용 기술을 연구하는 랩에 가는 것이 보다 안정적인 투자일 수 있으니 고려해보길 바란다
(5년 후 그 쪽 분야가 대박나면 더 좋은 거고... 하지만 미래는 아무도 모른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3.02.16

공감함, 지금 ai로 취직하거나 교수 job을 잡은 사람들은 운이 좋았거나 미래에 대한 선경지명이 있었던 사람임.

주식이나 집을 사는 것의 정석은 하한가에 사고 상한가에 파는 건데, 돈 없으면 상한가에 사면 안 됨.

마찬가지로 실력 없으면 상한가인 분야 진출은 조심해야함.

상대적으로 하한가 or 상한가로 가고 있는 ai응용 분야로 진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긴 함.

대댓글 3개

2023.02.16

주식으로 예시 든거 쏙쏙 와닿네요..
찌질한 존 내시*

2023.02.16

지금이 저점인지 고점인지 어케암ㅋㅋ 그거알면 주식으로 다 떼돈벌지

2023.02.16

역사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달려드는 타이밍은 항상 고점 or 고점 근처였음.

2023.02.16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대댓글 1개

IF : 2

2023.02.16

감사합니다!!

2023.02.16

제가 학부 후배들하는 말인데.. AI대학원 가지말고 도메인 기반에 AI를 곁들여서 하는 곳을 가라고..
좋은 글 추

대댓글 1개

2024.03.21

이런게 의료AI나 자율주행같은 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근데 도메인기반으로 하는 예를 들어 금융AI 이런 랩실은 교수님이 인공지능에 대해서 잘 몰라서 지도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괜찮은건가요?

저도 고민인게 cv같은 것을 전반적으로 배우는 게 나을지 특정도메인 자율주행 등을 결합해서 하고 있는 랩실이 나은지 고민이 되네요

2023.02.16

도메인 위주 AI 분야도 결국 근본은 코어 AI 아닌가요..? 의학같이 도메인 놀리지가 극도로 필요하지 않은 이상 비전 엔엘피 머신러닝 등 코어 연구는 항상 중요해요. 언제든지 전향할 수도 있고, (단순 우위 비교는 힘들지만) 퍼포먼스도 더 뽑아낼 수도 있구요.

2023.02.16

저는 오히려 이론같은 근본적인걸 파야된다고 봄 특히 수학 잘하는 친구들한테 강추.

대댓글 3개

바보같은 피에르 페르마*

2023.02.16

대공감.. 시간이 흘러도 공고히 남아있을 것에 뿌리를 두어야 굵게 한방이 없더라도 풍파에는 강할테니...

2023.09.24

자율주행이랑 로보틱스가 별개의 분야가 아닌데 왜 저렇게 분류했는지도 모르겠고 그냥 막연한 공포감뿐.
저소리 7년전에도 들었음. Ai거품이라고.

2023.09.24

Ai이론하는 사람이 많다는 이야기부터가 저사람이 제대로 아는거 없다는걸 보여주고 있음
씩씩한 레프 톨스토이*

2023.02.16

자율주행 관련으로 대학원 진학한 새내기인데 극 공감합니다… 앞으로의 길이 조금 무섭기도 하네요 ㅠ

2023.02.17

학부때 AI 공부하다가 제 도메인에서 AI 응용연구하는 연구실에서 학위과정 중입니다.
제 도메인에서 활용하는 AI는 그리 최신이 아니라서 좀만 잘해도 돋보이는 것 같긴 합니다
단점으론 이도저도 아니고 중간에 걸쳐 있어서 도메인 지식도, AI 쪽으로도 어정쩡하다 느낄 때가 많네요. 내가 이걸 하는 것보단 AI 전문가를 고용하고 도메인지식 좀 알려주는 게 낫겠다 싶을 때도 있고, 나름 최신 동향 따라잡으려 하지만 분야에선 아직 10년전 기술에 만족하는 느낌이고요.
취업을 아직 안 해서 그런가 아직까진 이런 쪽에 수요가 있을지 마음이 불안한 것 같습니다 ㅎㅎ

2023.02.18

최근 몇 년간 Ai 대학원이 얼마나 생겼는지, 몇년 뒤부터 이 대학원들에서 1년마다 졸업하는 박사 수를 생각해보면 답나옴. 애초에 10년을 바라보고 진학하는 곳이 대학원인데 지금 유행하는 분야가 그때도 핫할 것이라는 생각은 굉장히 단순해보임.

2023.04.07

로보틱스가 괜찮아 보이는데 한국에서는 학생들이 잘안하는거 같음

2023.04.07

ai이론이 레드오션이 된다는건 좀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안가는데.
ai이론쪽 연구실 자체가 한국에는 거의 없는데 제대로 하는 분도 별로 안계시고 한국에서는.

대댓글 2개

2024.05.13

찐 수학적 이론 말고 컴퓨터비전이나 자연어처리 모델 개발하는쪽 말씀하시는거 아닐까요

2024.11.19

글쓴이는 수식들어가면 수학이고 이론이라고 생각하는부류임. 식견이 깊진않은듯

2024.05.07

안녕하세요 게시물을 보고 연락을 드리고싶은데 쪽지가능하실까요?

대댓글 1개

2024.05.07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시작해 보세요.
링크를 선택하면 카카오톡이 실행됩니다.

김박사넷
https://open.kakao.com/o/sLPDmfqg

가능하시면 연락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