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2023년 공대 순위 from 오르비

2023.02.06

75

122421

오르비 발 2023년 공대 랭킹

부경은 이젠 위아래로 항상 늘어나네

https://orbi.kr/00061869331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5개

2023.02.06

여기가 김학사넷입니까?

IF : 2

2023.02.06

대부분 다 공감가는데,
서울과기대가 (과기원 x) 너무 높게 랭크되어 있는 거 같네요

대댓글 7개

재빠른 빌헬름 뢴트겐*

2023.02.07

현재입결기준 맞아요

2023.02.07

아, 서울과기대도 서울 버프 받아서 많아 올라왔나 보군요..

2023.02.08

만년 유망주 같은 대학이지만 그래도 홍대 동대와는 절반정도 스펙트럼이 겹치는 듯 하더군요.

2023.02.08

아주대도 서울과기 옆으로 가면 딱 맞을 듯 합니다. 두 학교가 인하대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지 몇 년 됐지요.

2023.02.08

라고 인하 아주대 학사졸 틀딱이 말합니다 ㅋㅋㅋㅋㅋ

2023.02.10

서울과기대는 인서울 국립대라는 것 하나로 입결 버프 엄청 받았고, 실적과 아웃풋 면에서는 광명상가, 하위 지거국에게도 밀리는 게 현실이죠.

2023.02.10

서울과기대가 사실 입결 버프는 받은게 딱히 없음.
인서울 국립이라지만 인지도 디버프가 너무 커서 끽해야 반급 오른 정도
딱 학사 취업 앵간히 하면서 집안 어려운데 시립대 못쓰면 라군에 넣던 학교.
허탈한 찰스 배비지*

2023.02.06

오르비면 학식도 아니고 급식충들인데 똥좀 퍼오지마라
사려깊은 막스 플랑크*

2023.02.06

지들이 뭐라고 순위를 매기나요?

2023.02.06

인하대가 어쩌다..

2023.02.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ist는 하나 만들 때마다 가뿐하게 한양대 정도는 넘어서는군요 ㅋ

대댓글 3개

IF : 2

2023.02.07

디지스트는...

2023.02.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디지스는.. 인근 유니스와 포스에 가려져 상대적빈곤을..ㅋㅋ

2023.02.07

한양대쯤이야...ㅜ

2023.02.07

연구나 하십쇼..

2023.02.07

여기 활동 연령대는 못해도 30대지 10대들 커뮤니티 아닙니다.

대댓글 2개

웃는 제임스 맥스웰*

2023.02.07

30대요…?

2023.02.10

선배님, 20대 인사 올립니다.

2023.02.07

도대체 뭔 의미가 있는지 ㅋㅋㅋ...

2023.02.07

남보다 낫다고 자기위로는 하고 싶은데 능력은 딸려서 내세울건 학벌밖에 없는 것들이 자기의 무능력한 현실을 도피하려고 신나게 대학서열 외치더라. 고딩이면 인정하겠는데, 어른들이 대학서열로 왈가왈부하는 거 보면, 저런 것들이 진짜 패배자구나 싶음. 차라리 각자의 연구실 장점이나 쥐어짜든가

대댓글 2개

2023.02.07

학사들이 그럽니다 박사님 그러려니 하십쇼

2023.02.08

여기야 당연히 대학원이 더 중요하니 그런소리 하지만 현실은 대학원보다 걍 대학졸업하고 끝내는 사람이 훨씬 많음. 당연히 사회적 인식도 학부 학벌이 중요시됨. 석박 아닌사람은 대학원 관심도 없음
찌질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3.02.07

진짜 의미가 없어도 너무 없는 하찮은 그림이라 실소가 나오네요ㅋㅋㅋ

2023.02.07

들어가면 끝인가? ㅋㅋ 나중엔 자기보다 입결낮은애들 회사에서 뽑지말라고 찡찡댈건가

2023.02.07

이젠 김학사넷도 아니고 좆고딩4학년넷이 맞네요

대댓글 1개

2023.02.09

아무리 그래도 좇고딩 워딩은 좀.....

2023.02.07

입결기준이면 포스텍 고대 아래로 내려가야죠...

대댓글 4개

2023.02.07

그건아니죠...

2023.02.08

뭔 소리야... 포스텍이 입결이나 인지도나 연구 퍼포먼스로나 연대, 고대 이상이구만

요즘 서울대, 카이에게 좀 밀렸다고 말도 안 되는 주장이 나오내

IF : 2

2023.02.08

작성자 님 포공이신가요??

2023.02.08

아 포공은 아니고, 인서울 어느 학교에 있습니다.
그냥 너무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해서요.

2023.02.07

김급식넷

2023.02.08

그냥 보고 아 이렇게 생각하는구나 넘기면 되는거같은데,, 왜 다들 급식이니 뭐니 욕하고있는거죠

대댓글 2개

2023.02.08

ㄹㅇ 여기서 쓸데없다고 핏대 세우는 사람들이 사실은 학부네임에 더욱 예민하다는 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못된 알렉산더 플레밍*

2023.02.12

자기 학벌에 자격지심들이 오지게 느껴지는거죠ㅋㅋㅋ 똑같이 주어진 시간동안 같이 공부해놓고 그 의미 없는 학벌 하나 달 능력이 안 됐으면서 아무 의미가 없대ㅋㅋㅋㅋ

2023.02.08

한전공대는ㄴ 어디인가요

대댓글 1개

2023.02.14

한국에너지공과대학(KENTECH)입니다.
한국전력의 지원은 받지만 한전과 계약한 학교는 아니라고합니다. 입결 꽤 쎕니다. 올해 지스트, 유니스트는 추가로 합격했는데, 켄텍은 광탈했습니다.

2023.02.08

학사로 취업할거면 서성한 아래는 다 같은거 아닌가?
그나마 공대쪽으로 유명한 중앙 시립 인하 아주 부산 경북 이쪽으로 가는게 좋을거같은데

2023.02.08

ㅋㅋ경북 전자는 여전히 건동홍 급인데 헛소리하네 그리고 여기가 급식갤이냐?

대댓글 12개

2023.02.08

건대 토목 수준 하나, 나머지 30개 학과가 광운공대 언저리 라면 그건 광운대 수준 학교죠. 오래된 지역 명문인 것은 사실입니다만..

2023.02.08

?? 토목은 한참 못미치는데요 제가 고등학생도 아니고 이런거 찾아보기도 그러네.. 제가 님 때문에 최종 입결표 보고 왔는데 건국은 화공이랑 입결 겹치고 동국 홍익 전자랑 비슷비슷 하거나 좀 더 높은데 님은 무슨 토목입니까 ㅎㅎㅎ 제가 경북대 훌리가 아니라 팩트 체크 한겁니다 ㅎㅎ 못믿겠으면 제대로 찾아보고 씨부리세요!!

2023.02.08

그리고 광운대라 하셔서 찾아봤는데 비메이저? 공대나 자연은 인하 아주 국숭세단 이런거에 겹치던데..굳이 광운대 공대 로 말씀하시는 이유가 뭐죠? 그리고 지거국 특성상 비인기과를 다른 사립대들과 다르게 폐과나 그럴싸한 신설학과로 개편을 따로 하지 않고 내버려두기도해서 꼬리표가 긴겁니다 ㅎㅎ 전 물론 국립대 아니구여 잘 모르시고 계속 씨부리는 것 같아서 댓글 더 달아드립니다

2023.02.08

오르비 한강의 흐름이라는 네임드 컨설턴트 22년 누백 기준

건국대 사회환경 11.2
경북대 전자공학 11.5

경북대 화공,기계공 19
광운대 전자공학 19.5
경북대 신소재공 19.5
광운대 컴퓨터공 20

주요과 정확히 겹침. 사실 경북대에서 광운대 막차도 못가는 과가 10개도 넘고 동홍 전자도 경북대 전자보다 높아요. 틀린 말 전혀 없음.

2023.02.08

경북대 전자가 건대화공과 겹치는 세계는 현실에 없어요.
광운대도 좋은 학교입니다. 광운대도 못 가는 경북대생이 더 많아요.

2023.02.09

저기요 평균누백 코스모핌 22년 지거국 입결표 참고 하고 온건데 경북전자가 9.5로 되어있는데 무슨 11.5입니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뭐 어떻게서든 경북대 제일 낮은거 들고 오신거에요? 저는 그리고 다른 지거국 입결표도 물론이고 대충 애들 요새 들어가는 성적 질문하고 후기 보면 그정도는 아닌거 같은데요?ㅋㅋㅋㅋㅋ낮아도 9.9정도 지 11.5까진 절대 안갑니다 굳이 많은 점수대 에서 광운대 공대만 들고오세요 ㅋㅋㅋ 광운대 학사졸업생이세요? 아님 같은 랩실 경북전자 생이 너무 아니꼽나..억지는 그만부리세요 여러 자료도 좀 참고하고 다시 댓글좀요 대학원생님아 ㅎㅎㅎ

2023.02.09

그리고 그쪽이 들고온 입결표 기준으로 그렇게 간판간판 거라는 광운대 전자공이 왜 경북대에선 메이저가 아닌 기계랑 비교하고선 갑자기 경북대생은 광운대도 못간다니 그런 헛소리 하세요 ㅎㅎ님 진짜 대학원생 맞아요? 그냥 흔히 말하는 대학교 훌리짓하러온 학사생인거 같은데 ㅋㅋ 아무리 님이 그렇게 떠들어도 부산 경북 학생들은 물론이고 남들은 그렇게 생각 안합니다ㅎㅎ

2023.02.09

그리고 오르비 헬린님 입결표등 여러 자료 참고 한겁니다 ㅋㅋㅋ아깐 토목이라더니 그저 훌리짓하는 학사생이군요 그냥 에타나 가서 애들이랑 으쌰으쌰 나 하세요^^

그리고 제가 분명히 말했죠 위에?
지거국이 꼬리가 왜 긴건지 ㅋㅋ 좀 제발 너무 얼척없는 소리 골라서 하니 답답하네요 ㅋㅋㅋㅋ참..랩실 사람들 힘들겠네..

2023.02.09

님 그리고 광운대 입결 도대체 어디꺼 보고 온지 모르겠는데 ㅋㅋㅋ 광운대는 경북대에 비빌게 아니라 충남대랑 비벼야 하는 수준인데 왜이렇게 올려치기하세요?ㅋㅋㅋㅋ진짜 제가 틀린거 우기는거 싫어하는 성격이라 이렇게 붙잡지.. 에휴 설마 경북대 상주캠퍼스 보고 못가니마니 이딴소리 하는거 아니죠?ㅋㅋㅋㅋㅋ참…어이가 없네요 충남대랑 비교나 하세요..괜히 부산 경북같은 곳이랑 비교하지 마시고ㅎㅎ 어휴 참 도대체 대학원생은 어떻게한건지..자료조사 하나 제대로 못하는..고생하십쇼 ㅋㅋ

2023.02.09

1. 경북대가 광운대 수준이라는 명제는 여전히 변하지 않습니다.

찾아보니 언급하신 헬린이라는 컨설턴트는 수도권 주요대의 '커트'누백을 발표하며, '평균'누백, 경북대 누백자료를 발표한 적이 없습니다. 언급한 평균누백이라는 자료 또한 코스모스라는 컨설턴트(?)가 직접 배포한 자료도 아닌 최소 2차가공품으로 보이더군요.

최소한의 통일성과 신뢰성도 없는 자료와 넷상 후기 같은 카더라로 논박을 시도하신다면 되려 무지성 커버치고 계신 대학의 이름에 누가 되는 행동이 아닐까요?

또한 경북대 물리교육과, 지구시스템, 응용생명 등 12개 학과가 광운대에서 가장 낮은 화학과 점수에 못 미칩니다. 물론 이 학과들 주소는 대구시 소재로 나옵니다.

제 자료출처는 위에도 명시했으니 언제든 찾아보세요.

대응 할 가치가 있는 이견을 기대합니다.

2023.02.09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저 경북대생 아니고요 너무 얼척 없는 소리를 해서 댓글 다는거니 훌라는 헛소리는 하지마시길

한강의 흐름 입결표를 맹신하고 다른 컨설턴트들의 자료를 믿지 않는 이유?

시대인재 OATH팀 , 코스모핌 , 헬린 등등 수많은 입결표는 님이 말한 입결표와 상당히 다름

하지만 이 네분이 올린 입결표는 상당히 비슷하며 거의 일치함 이에 대한 자료를 반박하는 댓글 또한 찾아볼 수 없음

경북대 분교 또한 주소지는 대구임 입결차이는 본캠 모든과에 비해 상당히 낮음 애초에 둘은 다른학교 취급함

2023.02.10

대체로 논지가 전달이 전혀 안 되고 있고 여전히 틀린 사실관계만 말씀 하시네요.

1. 님이 언급한 '헬린이 OATH팀'은 경북대 입결을 발표한 적 없습니다. '평균'누백을 발표한 적도 없습니다. 있다면 꼭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2. 님이 광운=경북이 아니라는 주요 근거인 출처불명 자작 '평균'누백 자료를 인정한다 해도 '커트'입결을 발표하는 헬린이팀 자료랑 비교할 수 없는건 당연합니다.

3. 당연히 '헬린이=OATH팀' 은 최종합격자 기준으로 발표하고 '한강의흐름'은 70% 커트를 발표 했으니 수치가 다르겠지요.

4. 이를 두고 이미 7만명 이상이 확인한 공적 공간에서 영리사업을 하는 특정 컨설턴트에 대한 근거없는 무지성 비방은 본인이 책임 지셔야 할 수도 있겠습니다.

5. 앞서 말한 광운대 최하위과 보다 낮은 경북대 12개학과는 모두 대구캠퍼스 입니다. 사범대마저 포함되었는데 캠퍼스라고 바득바득 우기는 것은 보기 좋지 않습니다.

결론은 건대 토목> 경북대 전자, 경북대=광운대 라는 주장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2023.02.08

제 생각엔 이 글쓴사람 학사가 과기출신인듯ㅋ

대댓글 3개

2023.02.08

오르비에서도 서울과기대 출신이 만든 것 같단 말 나왔어요 ㅎㅎ

2023.02.08

라고 인하 아주대 학사졸 틀딱이 말합니다 ㅋㅋㅋㅋㅋ

2023.02.08

?? 아닌데요 ㅋㅋㅋ솔직히 너무 뜬금없이 과기대가 높아보이길래 찾아보고 온겁니다

2023.02.08

아주대만 과기대 옆으로 가면 대략 맞을듯?
웃는 제임스 맥스웰*

2023.02.09

이 글이 매우 웃긴 이유.
글은 대학원 커뮤니티에서 어울리지 않는 글이냐며 비추 폭탄을 받았지만 댓글은 아래에서 투기장 열림.

2023.02.09

학벌에 열등감이 많으신가봐요 다들 이렇게 불타시고

대댓글 1개

못된 알렉산더 플레밍*

2023.02.12

ㅋㅋㅋ 그니까요.

2023.02.09

여기가 언제부터 김고졸넷이였나요

2023.02.09

입결로만 작성했다치고는
과기대 너무 올린거같고 포스텍 한칸 내려야되고

입결,아웃풋 다 고려하는거면

중앙 시립 부산 경북 인하 아주 를 동급에 놔야할꺼같고...


현실은 요즘 입결은 수시 60프로 세상이라 잘 모르겠고
경희,건국 이런데가 아웃풋으로는 부경인아에 못비빌텐데요

2023.02.09

김급식넷 ㅋㅋㅋ 어그로 성공하셨네요

2023.02.09

학사 기준이겠죠. 그래도 연대가 고대보단 좀 높을텐데요..

2023.02.10

참 이상한게 학회가보면 인하아주랑 경북부산이 중앙시립 이런 서울소재 대학보다 훨씬 연구 잘하는것같음..... 학교 교육 차이인지 교수 차이인지... 아니면 인원 규모 차이인지....

대댓글 2개

IF : 2

2023.02.10

부산경북이 중앙시립보다 연구 잘하는 건, 당연한 거예요~

중앙시립은 최근 서울권 학교 인기 때문에 학부생 입결이 올라온 거고, 대학원 중심의 학교가 애초에 아니었어요.

그런 영향으로 중앙시립은 자대생들이 대학원 진학 잘 안 하고, 부경경북이 훨씬 자대 진학을 하죠.

대학원생 인력 pool은 중앙시립보다 부산경북이 훨 좋으니, 당연한 결과

2023.02.10

인하 아주 보면 옛날부터 대학원에 투자 좀 한 티가 많이 나는 듯
다른 학교 가신 비슷한 실적 가진 신임교수들이랑
몇년 뒤에 지나고 다시 보면 점점 더 실적차이가 벌어지는 느낌
못된 알렉산더 플레밍*

2023.02.12

걍 그런갑다 하고 넘기면 되지 뭔 급식이니 뭐니 굳이 부들대고 앉았음? 학사졸로 사회 나가는 사람들이 절대 다수인 것도 사실이고, 사회에서는 결국 대학원 어디 나왔냐보다 학부 어디 나왔냐가 더 중요한 잣대인 것도 팩트 맞는데ㅋㅋㅋ 자기 학부가 컴플렉스인 분들이 많으신가?ㅋㅋㅋ

2023.02.14

음.. 현재 저 젤 위쪽에 공대 나오고 미국박사(탑5)하고 일하고 있는데, 일단 고대는 밑에 한양대 성대 보다 절대 안 높아요.. 연대도 그렇고.. 서울대가 압도적이고.. 카이스트가 포스텍보다 수도 많고 규모가 커서 여러모로 기회가 많아 더 나은 거 같고, 연고대 서성한은 그냥 개인차입니다. 저는 이제 교수해야하는 입장이라 솔직히 연고 서성한에선 돈 많이주는 성대를 갈거 같고 저 중에 제일 가고 싶은 학교는 카이스트입니다.
많은 젊은 박사들이 아마 저랑 비슷할거 같고, 포스텍은 안타깝지만 잘하시는 분들 갔다가 연고 서성한급으로 옮기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공대는 단순히 네임벨류가 중요한게 아니라 학교에서 어떤 커리큘럼으로 연구 기회가 있느냐가 중요해요. 서강대는 학교가 작아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수업의 질이 부족할 수 있으니,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가 크고, 학과에 재원이 충분한 전공으로 가세요. 공대는 솔직히 돈입니다. 홍콩 과기대, NUS가 역사와 전통으로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하는게 아니죠.

대댓글 4개

2023.02.14

저 또한 젊은 박사였고 현직으로 첨언드립니다. 포스텍에서 이직이 서울대나 카이스트면 메릿이 있을 수 있지만 서울살이 하나만 보고 이직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기존의 데리고있는 재학생들도 급이 낮은 학교로는 절대 옮기려 하지 않을테니까요. 그리고 연구를 중요시하는 젊은 박사 및 교수에게는 유능한 학생이 많은 포스텍은 여전히 매력적입니다. 특히 원래 지방에 위치한 연구 욕심있는 실력있는 IST 교수들이 포스텍으로 이직을 많이 하고 있는 실정이구요. 물론예외는 있긴합니다만...잘하시는 분들이 설카는 몰라도 더 낮은 연고서성한으로 옮기는 경우가 많다는것은 동의하기 힘드네요.

2023.02.15

제가 아는 케이스만 해도 꽤 적지 않아서, 저도 같은 생각이라 그런 선택을 하신 분들께 여쭤본 적이 있는데,
다들 자녀 교육 때문이라고 답하셨어요. 연구가 아무리 중요해도, 자신 가족의 삶이 우선이겠죠. 제가 말한건 포스텍이 연고서성한보다 떨어진 다는 건 아니지만, 이러한 이득 때문에, 교수 유치에 고생을 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포스텍의 장점은 신규 임용 교수에게 엄청난 재원을 마련해준다는 것에 있겠죠. 이로 자리를 잡으면 어디서든 자신의 연구를 어느 정도 할 수 있으니, 수도권 상위권 대학으로 옮겨서 가족 및 개인의 서울 살이를 하러 가는 경향이 많이 보인다는 말을 하고 싶었습니다.
옮기신 분들 중에, 포스텍 혹은 IST이 연구하기엔 더 나았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연구 기반으로 보자면, IST, 포스텍이 낫겠죠.

2023.02.15

덧붙여 제가 아는 포스텍 학부 출신 친구들도 자기 모교 가서 교수를 안하고 싶다는 말을 우스개 소리로 하는데요.
미국에서도 탑 랭킹 시골 주립대에 실력있는 신임 교수 중 삶의 질을 많이 생각하는 미국인 + 선진국 출신 유학생들이 적은 이유입니다.
(이보다 랭킹에 신경쓰는 인도인 중국인이 정말 많죠 이런 학교엔.. 그래서 연구실적을 유지하고, 랭킹도 유지하는 듯 합니다.)
저는 대도시권에서 박사를 했는데, 잘나가는 교수들은 여러 대학에서 오퍼를 받는게 알려져서, 더 랭킹 높은 학교를 포기하고 저희 학교로 온 신임 교수에게 물어보니, 연구도 중요한 데, 그거 말고 할 수 있는게 없어서 제가 있는 학교를 선택했다고 들었네요.
현재 박사를 받는 친구들은.. 연구만으로 대학을 안 선택하는 경우도 많답니다.

2023.02.15

자녀 교육 및 서울 집중화 현상으로 그러한 사례가 있는점 공감합니다. 하지만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포스텍을 젊은 교수가 옮기는 경우가 더 많다는 워딩에 대한 것입니다. 자칫 포스텍이 젊은 교수가 거쳐가는 곳으로 생각될 여지가 있을것 같습니다. 이는 현실과 매우 다르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포스텍에 임용은 국내 임용 절차 중 가장 어려운 편이며, 이 때 유능한 젊은 박사들은 말씀해주신 인서울 상위권 공대도 같이 임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또한 그랬구요. 이 때 연구보다 자녀교육과 서울의 이점을 중시하는 연구자라면 이미 다른 선택을 했겠지요. 현재 현직에 있는 교수들은 무엇보다 연구를 중요시 하는 분들입니다. 저도 제 주변 현장의 이야기를 들어보자면 말씀해주신 인서울 상위권 공대로 이직은 거의 고려 대상이 아닙니다. 정말 서울로 옮겨야하는 몇몇의 예외는 있겠지요. 이직 시 연봉, 학생, 장비...포기 해야할 것이 정말 많거든요. 포기 하지 않아도 되는 설카의 이직은 종종 일어나긴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능력있는 교수들이 현재와 같이 많은 임용자리가 나는 상황에서 옮길 수 있음에도 포스텍에는 그러지 않는 연구에 진심으로 매진하는 분이 많습니다. 현장의 목소리와는 달리 지방을 기피하려는 젊은연구자들의 의견으로 자칫 학생들에게 오해가 있을까 싶어 글을 남겼었습니다.

2023.09.30

고려대 융합대학원 Ku-Kist는 어느 라인에 속하려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