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I 분야 공부중인 학부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논문을 읽으면서 실력향상과 효율성 사이에서 고민 중입니다. 연구실에 있는 박사분이 조언해주셨는데 워낙 범상치 않은 분이시라 진짜 이게 맞나 싶습니다;;
우선 제가 고민 하는 두가지에 대한 의견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1. 논문 읽을때 통째로 파파고를 돌려도 괜찮은가? -> 시험칠 것도 아니고, 성능은 계속 좋아지니까 상관없다. (실제로 파파고 돌려서 논문 읽으십니다;;)
2. 논문 읽기전 유튜브 영상을 보고 이해해도 괜찮은가? -> 어짜피 논문 읽고 다시 찾아본다. 도움되는 건 컨닝페이퍼라도 사용한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12.23
1은 따라하지 마세영
대댓글 1개
2022.12.23
더듬더듬이라도 원서로 읽는 연습 하는게 좋겠죠??
IF : 5
2022.12.23
그냥 논문 읽으세요. 1번은 말도 안되고 저걸 추천했다면 자기 능력없다는거 광고하는 것밖에 안됨. 2번도 기본은 되고나서 볼일이지 처음부터 저런다는건 나 번역기 있으니까 영어회화 잘할 수 있다는 꼴밖에 안됩니다. 그리고 저런 요약이 없는 논문이 훨씬 많을텐데요
대댓글 1개
IF : 5
2022.12.23
그리고 연구 초반이시면 지금은 효율성을 따질 시기가 아니며 어짜피가 아니라 어차피가 맞는 표현입니다.
2022.12.23
학부생이 실력향상과 효율성 간의 고민을 하며 논문리딩에 요령을 고민한다니 한숨이 나오네요. 정도를 따르세요.
2022.12.24
석사까지만 할거면 상관없을듯
긍정적인 임마누엘 칸트*
2022.12.24
논문읽는데 효율성 따지는건 교수가 말해도 웃길것 같은데요...
대댓글 1개
2022.12.24
엄청 중요한데요 읽는 편수 throughtput도 중요하기 때문에
IF : 1
2022.12.24
어떤 논문인지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중요한 논문들은 1은 비추이고요, 2는 추천입니다. 단 2번을 수행한 이후에 본인이 직접 논문도 읽어야합니다. 약간 main stream은 아닌데 본인이 하는 것과 관련은 있어보이기도 하고... 그런 논문들을 빠르게 훑어볼때는 1번도 좋죠. 연관성 파악하고 빠르게 핵심내용만 보겠다는 마인드라면 괜찮다고 봅니다.
그런데 시간이 좀 지나면 빠르게 훑어보는 것도 영어로 그냥 보게 됩니다. :) 그게 더 빠르고 효율적이거든요.
대댓글 1개
IF : 1
2022.12.26
윗분 말씀에 동의합니다. 다만, 1번도 필요한 때가 있습니다. 다만 무수한 논문을 정석으로 읽어 학습하신 뒤, 추천드리는 바입니다. 아마 그때쯤이면 노력하지 않더라도 어딜 읽어야하는지 요령이 저절로 생길껍니다. 무조건 처음엔 정석으로 읽으세요. 하다보면 제가하는 말이 무엇인지 알게되실겁니다.
2022.12.23
대댓글 1개
2022.12.23
2022.12.23
대댓글 1개
2022.12.23
2022.12.23
2022.12.24
2022.12.24
대댓글 1개
2022.12.24
2022.12.24
대댓글 1개
2022.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