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67 - 그럴 거면 군대도 2번 갔다와. 군대 갔다오면 사회가 다 착해보이고 헬조선이라는 말이 이해가 안감. 전역하면 사회가 천국으로 보임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10 - 끝까지 가는놈이 이기는거임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29 - 그런 애들 친하게 지내면서 콩고물 받아 먹어야징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2 - 흔하지는 않지만 전무하지도 않은 정도인거 같네요. 아마 모종의 이유로 나를 단체로 거절중이신가 라는 의심을 하시는 것 같은데 솔직히 그럴 이유는 크게 없을 것 같습니다.
해당 대학의 policy 를 잘 모르겠는데, 아주 많은 경우에 실제로 첫 학기를 시작하기 전부터 본인의 지도교수와 진학할 연구실을 결정해두는게 일반적입니다. 말씀대로라면 합격 이후 실제 개강 전에 해당 연구실 진학이 불가하다는 말을 들으신 것 같고 이후 약 6개월이 지나도록 지도교수를 정하지 못하신 것 같은데요. 훨씬 더 빠르게, 학기 시작 전에 진학할 연구실의 교수님과 출근 일정 조율을 끝냈어야 합니다. 이미 다른 연구실들은 대학원생 TO를 정리해둔 뒤일겁니다.
보다 드물게 첫 학기는 진학할 연구실을 정하지 않고 오픈랩 형식으로 진행하는 대학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이런 경우 아마도 처음 컨택한 분과 연관 분야 교수님들의 연구 분야가 상당한 인기분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학과 규정에 반해서 암암리에 미리 학생을 뽑아두는 경우가 많아서 순진하게 오픈랩동안 코스웍만 열심히 들은 학생들의 뒤통수를 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차치하고서라도, 유감스럽게도 작성자분이 매력적인 학생 후보가 아니었다는 뜻이겠지요.
양 쪽 모두 연구 관심 분야를 좀 더 넓히거나 다른 타협을 하더라도 최대한 빠르게 다른 분에게 컨택하고 연구실에 소속되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8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65 - 본인 인생이 더 중요하지 예의를 따질때가..
카이스트 떨어진 후 자대 컨택
7 - ㅈ같게 생각합니다
이런 사람 어떻게 생각하세요?
7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7 - 1. 맞음
2. 맞음
3. 2가 맞기 때문에 대처할게 없음.
2에 대한 설명
현재 해당 랩 소속이 아닌것이기에 표면상의 이유는 논문에 넣을 소속이 없기 때문에 논문에 이름을 넣을 수 없음. 그 외의 이유로는 나간 사람을 굳이 넣고싶지 않음 정도가 있겠음.
만약 그 랩에서 석사 졸업이나 박사 졸업 정도를 한 뒤에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면 그 랩 소속으로 넣고 논문에 이름이 들어가는게 일반적임 (저자 순서는 좀 밀릴 수는 있음) 그런데 글쓴이는 학부연구생 이었던 것이므로 교수가 당연히 이름을 뺄 것임. 기여도가 어느 정도인지 관계없이 (보통 학부연구생은 실험쪽에 기여도가 있을 것이고, 논문 작성엔 기여도가 없을것임) 나간 학부연구생의 이름을 넣어주는 경우는 교수가 선심을 쓴 것이라 봐야함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10 - 제 학부연구생 시절이 생각나네요. 실험 테스트 베드 제작, 실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한 학기동안 제 아까운 시간 써가면서 매달려서 그 프로젝트에 참가했는데, 나중에 알게된 사실.. 논문이 게재되었고 충격적이게도 제가 작성한 실험 데이터 커브, 일러스트레이션 모든 것들이 그대로 들어가 있었으나 제 이름은 없었더라는..
명백한 연구윤리 위반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국 사회 특성상 좋은 것이 좋은거죠..... 요즘은 어떠나 모르겠네요.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8 - 꼭 박사과정, 포닥 인성이 교수 인성을 대변하진 않음
다만 태도가 보이긴 함
박사 or 포닥이 ㅈ대로 한다? -> 높은 확률로 교수가 개차반일 가능성 있음
개차반은 그냥 관심 없는 것 까지 포함함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2 - 설문연구, 500명 2개월 어려운 일 아니예요.
보통 2주안에 결과보고서까지 해요.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9
김박사넷에서의 최근 대학 서열관련 논쟁을 보며
2020.05.21

여기서 spk 운운하며 대학 서열 조장하며 익명성에 기대어 글 쓰는 몇몇, 그리고 이런 논쟁을 그냥 방조하는 이 사이트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런 유익한 정보도 주지 못하는 글들, 그저 대학원생의 쌓인 욕구불만을 분출하기 위한 글들이 인기글에 올라 있고... 이런 글들이 어떤 로그인도 필요없이 전국민에게 무분별하게 노출이 됩니다. 솔직히 이 사이트 때문에 최근 spk 이하 대학원 진학률이 크게 떨어졌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습니다. 정말 진지하게 조사해 봐야 합니다. 사이트 여기저기에 온통 좋지 않은 얘기만 있는데 누가 대학원 진학하고 싶을까요? 특히 글 몇 개만 읽어봐도 spk 이하 대학원은 가고 싶던 사람들도 안 가고 싶어질 것 같습니다. 코로나19로 중국은 취업이 안돼서 대학원 경쟁률이 엄청 올라갔다는데 spk이하 대학원 죽이는게 국가 경쟁력 측면에서 과연 이득일까요? 현재 spk 이하 대학원에 재학중인 대학원생들은 이런 논쟁을 보면 힘이 빠지지 않을까요? 과연 학교 계속 다니고 싶을까요? 우리나라에 대학원은 spk 대학원만 필요한 건가요? 이런 소모적인 논쟁이 유용한 정보를 바라고 들어오는 사람들에게 과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세요? 이런 글 쓰시는 분들 나중에 spk 이하 대학 교수 되면 다 본인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올 겁니다. 물론 대학원 진학률 떨어지면 일단 그만큼 교수도 안 뽑겠죠.
그리고 어차피 일부 교수님들의 교수 평가 조작은 암암리에 모두 다 아는 것 아닌가요? 옆방 교수나 학교 교직원도 학교 이메일만 가지고 다른 교수를 평가를 할 수 있는데 이게 정말 신빙성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어차피 통제를 안 할 거라면 국가 경제와 학문 발전에 해악만 끼치는 이 사이트는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이트에 사람이 모여야 수익모델이 생기니 아마 별로 그럴 생각은 없겠지만요. 그래도 운영자가 사이트 시작할 때 가졌던 (실제로 가졌는지는 모르나) 순수했던 마음을 아직 갖고 있다면 적어도 익명 게시판 기능은 없애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시대가 어떤 시대인데 로그인 안해도 아무나 볼 수 있는 낙서장을 만들어 놓으면 어떻합니까? 적어도 에타처럼 최소한의 인증은 거쳐야 하는 것 아닐까요?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 명예의전당 270 39 60664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54 34 105982-
139 16 6024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36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86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56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2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39 -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95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4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2 - 졸업 후 교수님과의 연락
7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11 - 원자력연구원 섹스충
12 -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6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2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2 - 대학원 쌩돈 내고 다니는 사람들 많은가요?
7 - 카이 면접 후 다들 어떻게 지내시나요...............ㅠㅠㅠㅠㅠ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3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3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6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9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7 - 공동 1저자 순서 중요한가요?
6 - 논문 투고 후 실수 발견
6 - 다른 랩 갈때 메일 어떻게 써야 하나요..?
6 -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36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86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56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2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39 -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95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4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2 - 졸업 후 교수님과의 연락
7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11 - 원자력연구원 섹스충
12 -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6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2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26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2 - 대학원 쌩돈 내고 다니는 사람들 많은가요?
7 - 카이 면접 후 다들 어떻게 지내시나요...............ㅠㅠㅠㅠㅠ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3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3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6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9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7 - 논문 투고 후 실수 발견
6 - 다른 랩 갈때 메일 어떻게 써야 하나요..?
6 -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6
2020.05.21
2020.05.21
2020.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