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여러분이 혹시 질병의 원인, 메커니즘을 발견했는데

2022.12.16

24

1374


전공이 타전공이고,(호르몬은 배우되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 것과는 거리가 먼 전공)

기존 의대 논문의 주장을 정면 반박하는 내용에다

학벌이 겨우 인서울 학부 졸업생에 불가하다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제가 그런 상황인데요...

그냥 제가 가진 질병이 궁금해서 개인적인 호기심에 파헤치다 정보탐색 끝에 질병의 원인중 하나를 찾은 것같아요.

관련 논문을 찾아보니 제가 찾은 원인을 인과관계를 뒤집어 생각한것도 있고,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질병때문에 같은 메커니즘으로 오인해서 판단한 경우 때문에

제가 생각한 메커니즘과는 다른 주장을 펴왔던거같아요.

이럴때 보통 어떻게 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2022.12.16

데이터로 증명하셔야죠. 연구자는 결과로만 보여줄 뿐입니다.

대댓글 1개

2022.12.16

데이터를 어디서 구해야할지..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하는 것으로 될까요?

2022.12.16

먼저 자대 관련 분야 교수님께 연락을 해보죠. 경험상 여태 못 푼 문제들은 다 나름대로 이유가 있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2.16

네 교수님한테는 연락드릴 예정이에요

2022.12.16

그니까 그 '정보탐색' 이라는게 단순히 웹서치로 paper만 봤다는 거죠?

대댓글 9개

2022.12.16

그렇죠....

2022.12.16

혹시 지금 대학원 학위과정중에 있으신 건가요?

2022.12.16

졸업 후 공무원 준비중이었는데
대학원 원서접수는 어제 서류까지 다 넣었습니다..

2022.12.16

할말않할..

2022.12.16

어이없게 해드려 죄송하네요ㅜㅋㅋ

2022.12.16

탐구에 대한 열의는 잘 느껴지지만, '원인을 인과관계를 뒤집어 생각한것도 있고,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질병때문에 같은 메커니즘으로 오인해서 판단한 경우' 이 말인 즉슨,

'학계에서 수십년동안 공부하고, 증명하고, 탐구한 전세계 모든 석. 박. 교수들이, 이제 막 전공지식을 배운 학부 졸업생도 하지 않는 실수, 예컨데 질병을 헷갈린다던가 혹은 인과관계를 잘못 해석하는 등의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는 말과 다를게 없습니다..

2022.12.16

네 저도 그부분을 잘 알고있기 때문에 망설여지고 있습니다.
하다못해 학벌이라도 좋았더라면 설득력이 있었을텐데요 그런것도 아니라서..

하지만 인과관계를 뒤집거나 비슷한 질병의 메커니즘으로 오인한 이유는 설명할수있을거같아요.

2022.12.16

제가 관심있게 보는 부분이 어떤 수치를 보느냐에 따라서 정반대로 해석이 뒤집힐수있는 여지가 있고, 그 여지의 다른 사례는 이미 증명한 부분이라 설명이 가능한거에요.

2022.12.16

하지만 기존의 주장을 까라가면 이 질병의 원인은 원인불명이 되어버리고, 제가 재해석한 부분을 따라가면 질병의 원인을 설명하기 쉬워집니다.

2022.12.16

페이퍼를 내시면 될 듯. 근데 기존 주장에 전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을 문헌고찰 만으로 발견이 가능한지는 의문.

대댓글 1개

2022.12.16

네 그부분이 정말 고민됩니다.

2022.12.1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러나 글쓴이가 틀렸을 듯

2022.12.17

페이퍼 서치만으로 발견을 했든 뭐든, 스스로 증명이 가능하다면 증명해 보시고 학계에 관련 연구 권위자가 있으면 컨텍해서 의견을 나누든 하면 되는데 무엇이 고민이라는 건지 모르겠네요;

대댓글 1개

2022.12.18

네 컨택드리려고 진짜 생각중이에요. 그런데 다짜고짜 만나뵙는건 좀 아닌거같아서 관련 논문들을 다시 보는 중입니다.
자상한 공자*

2022.12.18

막말로 님이 맞을수도 있잖아요...? (지금 당장 100% 안맞아도 1%만 맞는다 쳐도 그 과정 속에서 뭐 하나라도 얻을수도 있고)
저라면 확신이 있다면 도전할겁니다.

대댓글 2개

자상한 공자*

2022.12.18

연구는 권위로 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로 하는 것입니다. 만 사실 말처럼 쉽지 않기는 합니다. 그래도 대충 추가질문이나 댓글을 보면 동물실험 한번 해도 어느정도 결론이 나올법한 내용 같은데 관련 연구실같은 곳에 컨택을 해보시는 것도...

2022.12.18

네 관련연구실이 있고 그 과정중에 하나를 연구하고 계시더라고요. 방향은 저와 같은지는 모르지만..

다만 말씀드리고 싶은건 제가 말한 원인이 곧바로 질병의 발생으로 이어지는게 아니라 중간과정이 꽤 많고 그 과정에서 연관되어있는 호르몬도 많아 단순 동물실험만으론 증명하기 힘들거같아요.
쇠약한 플라톤*

2022.12.18

위에 의견 몇몇은 진짜 권위에 찌들어 있는 멘트들이네ㅋㅋㅋ

2023.06.08

어떤 내용인지 궁금하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