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졸업학 대학이나 대학원의 해당 순위 지표가 낮으면 해외유학이나 취업시에 불이익이 있나요? 그 순위대로 한국인은 따로 점수매기고 그런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2.11.17
https://phdkim.net/board/free/35345/
염세적인 카를 마르크스*
2022.11.17
아뇨 그냥 그 학교 커미티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뽑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1.17
예를 들면 어떤건가요? 링크하나 부탁드려도될까요? 죄송함니다.
2022.11.17
질문자께서 동남아 출신 학생 뽑는다고 생각해보세요. 출신 대학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어떻게 아시겠습니까?
대댓글 3개
2022.11.17
아 그죠..? 졸업 학사와 박사 세계랭킹 순위 차이 많이 나도 결국 해외 유학 취업시에는 최종 어디 졸업 했는지 거기 랭킹 어딘지를 따지는 것이죠?
2022.11.18
박사 유학 지망생이라면 학사 석사 둘 다 랭킹을 염두에 두겠죠. 박사 졸업생이라면 학교도 보겠지만 논문을 많이 볼거구요.
2022.11.19
국내 석사 박사 둘다 qs the 높은데 (석박통합으로 둘다 네임 같음) 학부만 낮은체로 해외취업 도전하는건 어떤가요?
2022.11.18
제가 아는 한 해외대학 유학시 추천서가 꽤 중요해보이긴 합니다.
대학순위와는 별개로 추천해주시는 교수님 혹은 박사님들의 실적과 관련 분야 적합도 볼 거에요.
다만? 취업쪽은 잘 모르겠습니다...ㅠ
2022.11.18
순위만 보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지도교수님 말로는 순위의 맹점들을 교수들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현지 사정을 잘 아는 교수한테 학교 평판을 물어보기도 하고 GRE 점수로 calibration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고요. 물론 요즘은 GRE가 필수인 학교들은 별로 없는데 그런 이유 때문에 덜 알려진 대학을 나왔으면 GRE를 제출하는 것도 괜찮은 옵션인듯 합니다. 저는 서성한 나왔는데, 해외에서는 아무래도 잘 모를 수 있잖아요? 근데 제가 입시할 때는 커미티 체어가 한국인 교수님이셔서 많이 밀어줬다는 얘기를 들었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1.18
안녕하세요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죄송하지만 커미티 체어 가 무엇인가요? 통합 일학기차라 죄송합니다 ㅠ
2022.11.19
현재 미국 탑5에서 박사중입니다. 요즘은 왠만한 학교에 한국인 교수님들 다 계시고, 한국인 지원자들은 그분들이 평가하기 때문에, 저런 지표 신경도 안씁니다.
2022.11.17
2022.11.17
대댓글 1개
2022.11.17
2022.11.17
대댓글 3개
2022.11.17
2022.11.18
2022.11.19
2022.11.18
2022.11.18
대댓글 1개
2022.11.18
2022.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