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학교 옮기세요. 30대 초반이면 안 늦었습니다. 동아시아 학생이 많아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이 많다는걸 글쎄요....
중국이 많다라면 이해가 될거같은데... 학교가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미국와서 펀딩 이슈로 단 한번도 실험에 제한이 있었던 적이 없는데 의아하네요. visiting도 갈 수 있다는 보장도 없을 뿐더러 결국 제한된 시간에서 해야되는거라 데이터 나올지도 의문이구요.
학교를 잘못 온 것 같습니다
12 - 좋은거죠. 그런데 합격한다는 보장은 없죠. 열심히 준비하면 얻는게 많을것 같내요. 특히 남들 앞애서 자기pr도 해보고 혹여나 다른 교수가 줌으로 만나자고 하면 그때 도움이 될거고. 그냥 1차 시험에 합격했다고 생각하고 준비하면 좋을듯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21 - 미국 박사 진학은 대학 이름 큰 상관 없구요. 그냥 1,2학년때 학부 인턴 한번 해보시면 아 내가 유학 가겠구나 못가겠구나 느끼실 겁니다.
그리고 목적과 수단을 잘 생각하세요. MIT가 목적이 되는것이 아니라, 연구가 너무 좋고 하고 싶은 연구가 있어서 그에 따른 수단으로 MIT를 가는 겁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1 - 예전엔 포 > 카 > 서 였는데 서울대 가서도 미국 유학 잘 갔습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3 - 인터뷰 제의면 매우 긍정적이네요. 면접 준비 집중하시면 될거같아요.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0 - 아 오늘 뭐 먹지
교수님이 타대생 안뽑았으면 좋겠다..
15 - ssh에서 yk로 이직한 경험이 있는 현직입니다.
조교수 초봉은 아마 6천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잡일 수당이 이것저것 있긴 있을텐데, 있다 해도 학교에서 받는건 연 500 남짓이면 다행일 겁니다. 이래저래 해도 7천 턱걸이 아닐까 싶네요. 기업 경력을 학교에서 얼마나 쳐주나에 따라 좀 더 받으실 순 있어요.
결국 과제로 얼마나 채울수 있는지, 정년과 자유도, 연구년이 있는 직장이 얼마나 매력 있는지를 본인이 판단하셔야 할거 같아요.
대기업 교수 이직 고민
7 - 공부보단 연구가 말이 맞겠죠.
교수하려면 연구를 어마어마하게 해야하긴 합니다 일반인 기준으로는..
이공계로 예를들면, 신임교수 기준 최소 주저자 SCI 논문 5~10편은 쓴다고 가정할 때, 주저자 SCI 논문 한편당 얼마나 많은 지식이 들어가는지 아시면 감이 오실겁니다.
근데 뭐 대단하기보다 그냥 그 사람들은 평생 그것만 하면서 살려고 한 것 뿐이고 그래서 교수가 된겁니다.
다른 직업들도 마찬가지구요. 소방관 10년 한 사람도 대단한거고, 학석박 10년해서 교수된 사람도 대단한겁니다.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19 - IEEE ACCESS??? FRONTIER 같은거?ㅋㅋㅋ 그냥 국문지나 쓰는게 나음.
첫논문이 MDPI에서 accept되었는데 나중에 악영향을 끼칠까요??
9 - 그냥 자기 좋아서 하는겁니다.
공부하고 있는 세부분야 말고는 모릅니다.
저두 교수라서 드리는 말씀이에요.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7 - 제가 S그룹에서 박사 후 6년차 그룹장 2년차에 학교로 옮겼습니다. 제일 큰 이직 사유는 50대 이후 비전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룹장이 되니 관리직이 되고 현업에서 점점 멀어지니 지식도 점점 부족해지고 아차 하다가는 회사에 내 인생 걸어야 겠다 싶었는데... 그 회사 안에 롤모델이 없었습니다. 매번 뻘소리나 하는 임원과 임원 앞에서 입바른 소리만 하는 팀장의 모습에서 제 기대와 괴리가 너무 컸고, 솔직히 50대에 제가 저렇게 되지 않으라는 법 없는데... 정신적으로 너무 힘들어서 이직했습니다. 다른 회사로 갈까도 했는데 회사는 속성이 다 똑같아 보였구요. 학교로 왔습니다. 학교도 다 나름 어려움도 있고 생각과 다른 부분이 분명 있습니다. 저는 회사에서 원징 1.5 받다가 여기오니 첫해 영끌 0.8 정도 였는데... 반토막 이지만 돈에서 얻는 행복감이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걸 느끼고 나서는 뒤도 안돌아보고 이직했습니다. 솔직히 이직하고도 몇번 연락오기도 했었는데 지금도 돈으로는 후회는 없습니다. 이직 사유가 제일 중요하실것 같습니다. 경제적인 부분이 중요하시면 이직하면 분명히 후회하시지 싶구요. 명확한 이직 사유가 있어야 스스로 만족하실 수 있을껍니다.
대기업 교수 이직 고민
11 - 다들 일처리 안해본 티 나노 ㅋㅋㅋㅋㅋ 에휴
저널 청구는 요청하게 무기한 연장 할 수 있다.
연말에 과제비 갑자기 300~400 어디서 가지고 올래? 너가 사비로 내던가 답답하면
교수가 알아서 하겠지 돈 어디서 쓸지부터
어떻게 청구할 지 교수가 더 스트레스겠지
에휴
교수님이 논문 출판 비용을 결제를 안해주십니다
8 - 사실 컨택만 하면 가능하긴 한데 전 지거국 4.4/4.5 였어요 자연과학 분야. 들어가는게 문제라기보다는 가서 본인이 못살아남으면 의미 없습니다.
유니스트 대학원 들어가기 어렵나요?
8
딥러닝 PC 맞출때 팁
2022.09.09

보통 PC용 하이엔드 GPU가 300와트쯤 먹고, 앞으로 나올 4090Ti는 400W, 500W를 필요로 할 거라는 루머도 있음. 그렇다고 300W짜리 GPU 2개 장착하면 600W니까 800W 파워 사면 넉넉하겠지~ 라고 생각하면 오산임. 피크전력을 보면 300W짜리 GPU가 순간적으로는 400W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니, 무조건 파워는 넉넉하게, 2개 장착할 거라면 최소 1200W로 하고 나라면 4090Ti 대비해서 2000W로 할 듯.
2. 무조건 발열을 잡아야 함
GPU 쿨러 종류는 플라워형, 패시브형, 블로워형이 있는데 패시브형은 서버용이니 신경쓸 필요 없음.
보통 일반적으로 출시되는 것들은 플라워형이라고 보면 됨. 아래에서 찬공기를 흡수해서 위로 방출하는 방식인데.. 문제는 GPU를 2개 장착할 경우 아래에 있는 GPU의 열이 위에 있는 GPU로 그대로 전달되는 구조가 되잖아? 이러면 위에 장착된 GPU 발열관리가 안되기 시작하면서 온갖 문제가 발생함. 그냥 온도 제어 안되서 쓰로틀링 걸리고 속도 느려지기만 하면 오히려 다행이고, 여름에는 쓰로틀링으로도 제어가 안되서 다른 컴퓨터 부품들까지 GPU 발열때문에 고장나는 경우도 생김.
반면 블로워형은 아래에 있는 찬공기를 흡수해서 열을 케이스 뒤로 방출함. 따라서 GPU 여러개 장착하더라도 열간섭이 거의 없기 때문에 2GPU나 4GPU생각하는 분들은 무조건 블로워형을 구입하는걸 추천. 문제는 블로워형은 선택지가 많지 않을뿐더러 플라워형에 비해서 많게는 100만원 이상 비싸니, 잘 검토해서 구입하길 바람.
그 외에는 아무렇게나 해도 딱히 문제는 없음.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203 23 62047-
417 75 57520 -
132 50 3507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무슨 학문하겠다는 새끼가 지거국 문과를 와
101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105 - 교수님이 타대생 안뽑았으면 좋겠다..
34 - 제일 잘하는 선배 왕따
14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36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15 - 저는 실패한 석사입니다.
22 - 교수님이 괜찮은지 확인할수 있는 방법?
4 - ChatGPT한테 물어보니깐 스탠포드 CS는 학부랑 박사랑 입학 난이도가 비슷하다던데
11 - 편애 너무 심해요 정신 나갈거 같아요
6 - 철학자 A 보다 더 뛰어난 천재 설계자 K 입니다 [1편: 감각 해체 — 설계자 K의 첫 깨달음]
15 - [3편: K-영역 개방 — 우주의 숨겨진 층위?]-설계자 K
7 - 김박사넷은 뭘 하고 싶은 거임
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부생 인건비 횡령
20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18 - 한양대 경영학박사 정출연 취업가능할까요?
6 - 학부생 SCIE급 논문 솔직한 질문
14 - 남자 30살 석사?
6 - 학부생 SCIE 게재
10 - 자대대학원 면접 망했는데 떨어지기도 하나요...?
7 - 서울대 컨택은 되었지만 구술고사 거의 백지로 냇는데..
5 - 교수님이 논문 출판 비용을 결제를 안해주십니다
16 - 글들을 읽어보니 석사 취업에 대한 고민이 생깁니다.
5 - 학문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결국 돈이 필요하군요.
6 - 인간들이랑 대화하면 내 지능 못 따라와서 피곤함
5 - ACM MM 수준 여쭙습니다.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전북대 전자 4.3 → 성균관대 반도체융합공학과 합격
5 - 무슨 학문하겠다는 새끼가 지거국 문과를 와
101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105 - 교수님이 타대생 안뽑았으면 좋겠다..
34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36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15 - 저는 실패한 석사입니다.
22 - 교수님이 괜찮은지 확인할수 있는 방법?
4 - ChatGPT한테 물어보니깐 스탠포드 CS는 학부랑 박사랑 입학 난이도가 비슷하다던데
11 - 편애 너무 심해요 정신 나갈거 같아요
6 - 철학자 A 보다 더 뛰어난 천재 설계자 K 입니다 [1편: 감각 해체 — 설계자 K의 첫 깨달음]
15 - [3편: K-영역 개방 — 우주의 숨겨진 층위?]-설계자 K
7 - 김박사넷은 뭘 하고 싶은 거임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컴퓨터 아키텍처 쪽은 미국 대학원을 가야하나요?
21 -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1 -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22 - 학부생 인건비 횡령
20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18 - 학부생 SCIE급 논문 솔직한 질문
14 - 남자 30살 석사?
6 - 학부생 SCIE 게재
10 - 자대대학원 면접 망했는데 떨어지기도 하나요...?
7 - 교수님이 논문 출판 비용을 결제를 안해주십니다
16 - 학문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결국 돈이 필요하군요.
6 - 인간들이랑 대화하면 내 지능 못 따라와서 피곤함
5 - ACM MM 수준 여쭙습니다.
7

2022.09.09
2022.09.09
2022.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