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 정도면 입결과 별개로 어느 라인으로 칠까요?
ykssh?
인공지능 대학원 희망하는데 입학하신 선배들 랩마다 꽤 보이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2.09.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ykssh??
대댓글 1개
2022.09.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입결과 별개로라기엔 이대 별로인 거 원로급 아니신 이상 다 아심
2022.09.06
이대 ??;;
2022.09.06
당연히 교수들은 최신입결로 학생을 판단하는게 아니라, 대학원 학교/학과마다 다르지만 특정학교 출신들이 보여준 전반적인 능력기반의 이미지 + 경험에 의한 주관적인 해석으로 판단하긴하죠.
하지만, ykssh는 입결도 입결이지만, 그만큼 출신들이 많이 분포됐으며 좋은이미지를 보여줘왔습니다. 그때문인지몰라도 서강대출신은 많이못봤지만, 연고성한 출신들은 학과내에서 정말 많아요.
반대로 저는 개인적으로는 이대 출신은 한번도 못봤습니다... 연고성한과 동일하다고 보는건 너무 지나친 오판인것같아요.
대댓글 5개
2022.09.06
솔직히 중대보다도 낮게보지않을까싶어요..
쑥스러운 마이클 패러데이작성자*
2022.09.06
죄송합니다 저도 입결이 많이 떨어진건 익히 알고 있지만 선배들이 은근 많이 보여서 여쭤보았습니다..
2022.09.06
선배들이 있는 연구실이고 해당 선배들이 좋은모습 보여주고잇으면 컨택하실때 도움될수도잇어요.
간혹 초창기 선배 한두명때문에 특정학교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좋은 랩들도 있습니다.
공허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2.09.06
원글 질문자에게 도움이 되는 답변을 드리면, 입결이던 성과예상은 모르겠습니다만 지원했을 때 강점은 ssh 남대생보다 높으면 높앗지 낮진 않을듯. 무조건 지원 ㄱ
2022.09.06
"은근 많이" 없습니다
공허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2.09.06
이대 성별티오 잇어서 걱정말고 지원하세요. 해외 탑 대학들도 다 대놓고 성별티오 있는데 ;; 아예 We encourage to apply 써놓은 곳도 많아요.
대댓글 11개
쑥스러운 마이클 패러데이작성자*
2022.09.06
국내 대학원에 여자/남자 티오가 따로 정해져 있나요??
IF : 5
2022.09.06
ㄴ있겠습니까...
2022.09.06
이런 거짓댓글로 굳이 여성비하를 하려는 의도가 뭐임?
공허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2.09.06
정말 기분나쁘셨다면 사과해야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같은스펙에 여자면 당연히 점수 후하게 줄텐데요 ;; 이게 잘못된 겁니까? 거의 전세계 모든 대학원들이 Diversity 매우 중요시하고 있고, 당장 탑대학 박사 대충찾아 봐도 seeks to increase the number of women in areas where they are underrepresented and therefore explicitly encourages women to apply. 라고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네요. 한국에서도 정성평가할때 같은스펙인데 여자면 좋아보이고 남자면 좀 부족해보이는건 흔한데 ;;. 맞는말하면 공격당하네. 교수도 성별티오있는건 국가공인인데 이건 또 괜찮나?
2022.09.06
본인의 근거를 말해야죠. 국립대에서 여성교수 비율을 25%정도로 늘리려는것이라든지, 국가과제중 큰것들은 여성대학원생 비율을 본다든지 등은 자주겪는 일이지만, 대학원 학생을 받는 입장에서 여성의 TO가 있다는건 생전 들어본적도 없습니다. 본인이 있다고 주장하시려면 최소한 근거제시라도 하시고 말씀하세요. 위에도 뭔 ssh 남자보다 여학생이기에 이점이 있으니 컨택에 유리할것이라 말씀하시는데, 난생 처~~음 듣는얘기네요 ㅎㅎ
한국에서 정성평가할때도 같은스펙일때 여자면 좋아보이고 남자면 나빠보이는게 아니라, 임용시장에서 국립대 여성 교직원25% 조건때문에 임용시장에서 그냥 여성이 유리한겁니다. 비슷한 맥락으로 그놈의 QS랭킹등때문에 외국인국적자가 유리하기도 하고요.
마지막으로 정성/정량적으로 같은실적이면 둘이 똑같이보이지, 뭔 성별이라는 기준이 들어가서 더 좋아보이고 나빠보인다는 사고가 도대체 어떤근거/원리로 나옵니까? 본인이 성별이라는 프레임에 맞춰서 사람들을 평가하고있는거아닌가요?
2022.09.06
교수는 결과적으로 잘하는사람 뽑으려고하지 댁처럼 성별프레임에 같혀서 여자/남자냐, 여자학생을뽑으면 어떤이점이 있을까 등의 편협한 사고에 갖혀서 학생뽑는사람은 거의없습니다. 오히려 여성학생을 뽑으려고할때, 남초인 연구실 환경에서 적응을 잘 할수있을지, 혹은 발표등을 할때 기죽지않고 씩씩하게 잘할수있을지 걱정하는 교수는 본적이 있어도요. 저는 이조차도 사람by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댁은 그냥 남녀 프레임에 너무 갇혀서 사시네요 ㅎㅎ
공허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2.09.06
아는만큼 보인다더니 세계적으로 있는 추세이고 저는 그 추세에 동의하는데 혼자 열폭하고 있으시네 ;; 제 아내도 그 덕에 탑대학원에서 장학금 받으면서 석사 했고요 ;; 뭐 무슨 의도로 글쓰는지는 알겠는데 그렇게 편한 것만 취사선택해서 사세요. 저는 개인적으로 PC 동의하는데, 그걸로 이득 봤으면서 아닌척하는 건 또 극혐해서요. 예를 들면 지역균형으로 대학 신입생 뽑는 건 찬성하지만 지균으로 온 친구들이 일반 정시랑 같은 능력이라고는 생각 안해요.
2022.09.06
그래서 결국 본인으이 "국내대학원 입시에서 성별에 따른 티오 혹은 이점이 있다는 근거"가 세계적 추세라는 카더라인가요? 제가 말씀드린 어느부분이 열폭인지도 모르겠는데, 본인은 국내대학원 입시에서 성별로 이점이 있다는게 본인 주장이고, 저는 임용시장에서는 분명 이점이 있을지모르지만, 국내대학원 입시에서는 성별로 얻는 이점이 있는지 모르겠다는것아닌가요?
본인의견에 대한 반박을 내면 모든게 열폭이 되는건가요?
아는만큼 보인다고 말씀하셨는데, 어느정도 자리에 계시면서 그런말을 함부로 하실수있는지 궁금하네요. 저또한 spk에서 학석박받으면서 선후배및 지도교수를 통해 수많은 입시정보를 직간적접으로 들어왔고, 본인 와이프가 갔다왔다는 탑대학(제경우 미국top3겠네요)에 해외포닥자리로 가는데, 어느정도 견식이 있으시길래 함부로 남을 판단하시는지 궁금하네요 ㅎㅎ
2022.09.06
내참 국내대학원 입시 얘기하는데 뭔 별안간 해외 탑대학의 추세라면서, 근거도없이 성별티오있다는등, 이대출신이 ssh남대생보다 높다는등 얘기를 하시고는 반박하는 사람한테 열폭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나요 ㅎㅎ 저는 spk학부라서ssh랑 아예 관련이 없는데, 객관적으로 ssh출신 남자보다 이대여성이 더 대학원시장에서 좋게평가받는다는 말을 몇명이나 공감할까요?? 댁이야 말로 거짓정보 남발하면서, 편한것만 취사선택해서 살지마세요 ㅎㅎ
쇠약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2.09.07
미국 대학원은 성별 혜택 있는거 맞는데, 한국은 거의 없을거에요.
공허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2.09.07
너무 무거워진 댓글이네요 ㅋㅋ
2022.09.06
어차피 자대생 아닌 이상에야 학벌로 가점이 있진 않을거에요
하지만 간판이 발목을 잡을정도는 아닌 정도는 되겠네요
2022.09.07
Ykssh라인 밑으로는 경북대 부산대 애들이 오히려 더 많은거 같고 이대는 진짜 본적이 없긴하네요. 그래도 중경외시라인 정도로 쳐줄거 같은데요?
2022.09.07
SPK 중 하나 인공지능대학원 재학생인데 여기 말 너무 믿지 마세요 저희 랩실도 학벌 다양하고 다른 랩실에 이대 분들도 계십니다. 그 정도면 충분히 괜찮고 간판과면 입결도 yk랑 비슷하다는데... S면 몰라도 특히나 K라면 실력으로 판가름 날 듯 싶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9.07
입결이 비슷하다는 대상인 yk가 연고대 말하는거에요?
어느 간판과가 그런가요? 궁금해서요;
2022.09.06
대댓글 1개
2022.09.06
2022.09.06
2022.09.06
대댓글 5개
2022.09.06
2022.09.06
2022.09.06
2022.09.06
2022.09.06
2022.09.06
대댓글 11개
2022.09.06
2022.09.06
2022.09.06
2022.09.06
2022.09.06
2022.09.06
2022.09.06
2022.09.06
2022.09.06
2022.09.07
2022.09.07
2022.09.06
2022.09.07
2022.09.07
대댓글 2개
2022.09.07
2022.09.07
2022.09.07
대댓글 1개
2022.09.07
2022.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