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왜 하는지 모르겠는 연구

2022.09.04

10

2620

예를 들어서 1만 이상의 유닛이 있어야 의미있는 시스템이 있다고 할 때
실험실 한계로 fundamental이 100 이하로 명확한, 더 좋은 장비로도 확장가능성은 요원한 스킴으로 연구하면서
초록은 웅장하게 쓰고 뒤에선

'약파는 거긴 한데, 어차피 대학원 논문쓰러 오는데다, 퍼블리시 할 수 있으면 됐다'

하시더라고요, 선배가.

이게 맞는 건가요? 저는 아닌 줄 알았는데 주변에 다 저렇게 말해서 헷갈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취한 플라톤*

2022.09.04

논문을 위한 논문을 쓰는게 얼마나 단지 자기만족을 위함이고 허접스러운 지식생산에 정도밖에 그치지않는다는 걸 깨닫는게 중요하죠.

글쓴이가 느끼는바가 지극히 정상입니다

대댓글 2개

2022.09.04

논문을 위한 논문을 쓰는 것도 자기만족이 된다는 게 신기하네요...
취한 플라톤*

2022.09.04

남들이 해보지 않은 새로운 분야의 새로운 것을 개척한다는 미명하에 영양가없는 논문들을 찍어내는 사람들이 안타깝게도 꽤나 있습니다.

비록 미래에 그 지식이 어떻게 이용될지 모르므로 이것저것 다 해본다는 설명에는 동의하지만, 연구에 대한 철학을 세우고 깊은 통찰의 과정을 거쳐온 연구원들은 당장 실용성을 없어도 깊이와 타분야로 지식전파가 가능한 논문인지 그냥 각종 미사어구와 팬시하기만 한 데모들로 칠한 논문인지 보면 압니다.

2022.09.04

상위저널일수록 이 연구가 무슨 의미를 가지는지 실제 적용가능한지 엄첨 따지는데..선배 입장에선 실적용으로 사이드로 짧게 치는 테마라면 충분히 이해가 가고 본인 메인테마인데 저런 소리를 했다면 굉장히 매너리즘에 빠진거 같네요.

대댓글 1개

2022.09.04

다른 일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1년째 하고 계시네요...

IF : 5

2022.09.04

좋은 논문은 못낼 연구접근방식입니다.
놀란 데이비드 흄*

2022.09.05

논문 갯수가 중시 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죠. 임팩트도 없으면서 단지 논문을 위한 논문을 쓰는 분들이 많습니다.

2022.09.06

세상이 발전하는 것을 몸소 느끼며, 거기에 발 맞추어 World class연구를 하는것이 논문 작성이라고 생각합니다.
논문 실적은 스펙이 아니라, 본인이 얼마나 참신한 아이디어를 많이 가지고 있는지를 증명하는 지표에요.

2022.09.08

본인 실력대로 하는게 좋죠 결과를 낼 수 있는 진행을 하셔요

대댓글 1개

2022.09.08

왜 교수도 아니고 학생 말을 듣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