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dvanced Energy Materials를 낸 사람이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낸 사람을 무시해도 될 정도 인가요?

2022.08.16

18

5347

자극적인 제목 죄송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런 일이 제 주변에서 벌어져버려서… 저는 특히나 에너지쪽의 인플레이션이 심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서 다른 연구자분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임팩트 팩터나 저널의 jcr rank 등등… 객관적으로 평가하려고 만든 지표들이 있긴해도 모든 연구자의 논문은 모두 가치있는 고민의 산물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최근 AEM 1저자가 있는 사람이 AFM 1저자를 쓴 사람을 가리켜 본인보다 실적이 좋지않다… 라고 한 내용을 듣고 좀 어이가 없었네요

이성적인 분들이라면 당연히 저런 말 자체가 잘못됐다고 하실 걸 압니다.

그런.. 도덕성?을 생각하지 않고 고려해본다면 실제로 AEM에 억셉되는것이 AFM에 억셉되는 것보다 훨씬 어려울까요? 난이도나 대단함의 측면에서 궁금하네요 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2.08.16

연구 하루 이틀할 껏도 아니고 afm썼으면 다음엔 am aem쓸수 도 있는거고
그리고 일단 논문 일대일로 비교하려면 정성적으로 평가해야지 인용수나 어디 하이라이트 되었는지.. 일단 저런말 한거보면 교수는 아니겠네요

대댓글 4개

2022.08.16

별개로 난이도는 aem이 더 어렵긴 함. 우리방은 am aem리젝되면 afm 씀

2022.08.16

그럼 afm 다음에 나노에너지로 보내는건가요…?

2022.08.17

에너지면 ESM 먼저 쓸거 같긴한데 재료쪽이면 Aem am은 if 때문에 먼저 쓰긴 하지만
비슷한 if면 와일리나 엘스비어 쪽 저널보단 acs나 rsc쪽을 더 선호함. acs energy letter, acs nano, chamistry of material, JMCa로 가는게 인용도 잘 나오고 정성적으로 더 좋은 평을 받더라 구요

2022.08.17

지도교수님이 이학박사냐 공학박사냐에 따라도 갈릴 거 같습니다. 저희 예전 지도 교수님은 네이쳐/사이언스ㅡ자매지떨어지면 그냥 10점대 전통저널로 바로 가시거든요
행복한 유클리드*

2022.08.16

“하지만 최근 AEM 1저자가 있는 사람이 AFM 1저자를 쓴 사람을 가리켜 본인보다 실적이 좋지않다… 라고 한 내용을 듣고 좀 어이가 없었네요”

장담합니다. 실력이 좋고 실질적으로 가치있는 논문을 써내 커뮤니티에 영향을 끼친 사람들이 저 AEM저자랑 이야기하면 가소롭다 생각할 겁니다.

팩트데 기반해서 가설, 이론들을 까는 건 당연한 과학적 행위지만, 저렇게 고만고만한 그것도 advanced 계열로 키재기를 하는 것보니 과학을 왜 하는지를 묻고 싶네요

2022.08.16

AEM이 더 내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단편적인 1편의 논문만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은 웃기는 일이죠. 전후 사정을 자세히 몰라서 쉽게 말하기 어렵지만 저런 인성이라면 나중에 발목잡힐 일이 생길겁니다. 이 바닥 한 두 다리 건너면 다 아는 사이이고 회사를 가든 계속 연구를 하든 혼자서 일 할 수는 없으니까요.

2022.08.16

논문 낸 분야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aem이 afm 보다 한단계 위인게 팩트이긴 합니다만.. 논문 한편가지고 대학원생이 실적 우위를 운운하는건 건방지네요 ㅎ

IF : 5

2022.08.16

그런걸로 무시하는 사람을 무시하면 됩니다

2022.08.16

그런걸로 무시 및 존경하는 사람들이랑 손절하면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와일리계열은 중국인들 올려치기로 과평가된 저널들이라 생각..(물론 제가 잘 못내기도 합니다만 ㅋㅋ)

2022.08.16

근데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AFM에도 에너지계열 논문이 실리나요?? 그럴거면 왜 나눠놨지싶고…ㅋㅋㅋㅋ
제가 알기로 aem 내신 분은 teng 로 냈고 afm 하신 분은 생체재료로 내신걸로 알고있습미다
칠칠맞은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2.08.16

안타까움.
한국 중국은 왜이리도 advan계열 선호하는지...
중국 한국만의 리그가 되어가는것 같음
재치있는 피보나치*

2022.08.16

Nature를 냈어도 다른 저널 출판물의 수준을 폄하할 수 없습니다. Q1이 있는 이유는 Q2,3,4가 있어서 이고, 연구의 가치는 출판 저널으로만 평가되지 않습니다. 이건 도덕성이랑 전혀 관련이 없는 문제이고, 질문에 답변드리면, 둘다 훌륭한 저널들이고 둘을 비교하는건 도토리 키재기인 것 같네요.

2022.08.17

뭐 어디 낸 사람이 어대 낸 사람 무시해도 되냐보다 중요한건 논문 실적으로 사람을 무시하는 것 자체가 걍 걸러야 하는 것 같네요..

IF : 1

2022.08.17

저런 언행 하나하나가 쌓여서 가까운 미래에 레퍼런스체크로 심판 받습니다. 그냥 무시하세요.

2022.08.17

그런 이야기 하는걸 보면, 그분은 인성이 덜 된 사람입니다.

2022.08.1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보통 어줍짢게 논문낸 사람들이 그런 걸로 까불죠 ㅎㅎㅎ

2022.08.17

정말 어처구니없는사람이네요 ㅋ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