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서 진지하게 물어보는데 인문으도 들어가서 공대를 복전하면, 사람들이 공대 경력을 인정해주긴 함? 진짜 궁금해서 다른 사람들한테 물어봅니다.
대댓글 3개
2022.06.26
공학사 학위는 복수전공도 똑같이 나오니까요...
2022.06.27
삐빅- 이 대댓글로 인해 수험생이 아닌 훌리인 것으로 판명났습니다 ^^
2022.06.27
왠만한 공대생보다 잘하는 분도 봄 솔직히 뭘로 들어가는지가 왜 중요함 들어가서 노력으로 따라 잡으면 된거지
2022.06.26
여기가 오르비도 아니고 말이지
2022.06.26
미적분은 배웠나요? 양자역학에 대해선 들어봤나요?
2022.06.27
복전이 고딩땐 매력적인데 막상 가보면 비현실적임.
원전공 하면서 공대 전공공부까지 하는게 진짜 쉽지 않음. 복전으로 1년 더다니면서 공부하느니 나같으면 수능 다시봄. 내년부턴 서울대도 과2 안해도 되니까 할만함. 대신 과따라 물리나 화학 해야되니까 전형 살펴봐야되고. 근데 이걸 왜 석박커뮤에 물어봄? 수갤에 복붙해서 올리자 욕 디지게 먹고 자극받아서 공부하게
2022.06.29
재료공학은 모르겠는데 전기정보 기준으로 생각하면 복수전공이 의미도 없고, 인정도 못 받는다고 생각함.
보통 공대->인문대 복전은 공대 전공 다듣고 인문대 전공 어느정도 들음.
반면 인문대->공대 복전은 인문대 전공 다(인문대는 보통 이수학점 줄여주지만) 듣고 공대 전공 어느정도 정도 들음.
전기, 전자 이런 학과들은 2학년 때까지는 거의 수업이 필수과목으로 도배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됨. 수학도 푸리에변환까지 기본으로 알아야 하고 실험수업도 어느 정도는 기본으로 해야 하고, 뭐 신호처리 전자기학 회로 등등 다 맛보기 수업 하나 이상들어야 함.
그래서 복수전공 딱 맞춰서 졸업하면 실질적으로 필수과목으로 이수학점 거의 다 채우고 선택 조금 듣고 졸업함.
1년 더 다니는거 아니면 그 학생 실질 지식 수준은 본 전공 3학년 1학기 학생 수준임
대댓글 1개
2022.06.29
가장 좋은 건 원서 기가 막히게 쓰거나 재수해서 서울대 공대로 입학하기, 서울대 인문에서 4점대 넘기고 완전히 전과하기 2개임.
그 다음은 연세대 가서 학점을 잘 따고 서울대, 카이스트 대학원 진학하기
그냥 학부졸 취직 할거면 어디 가던지 학력으로는 오버스펙이고 큰 상관 없음. 어차피 학사 취직하면 어떤 기업을 가던지 SKY 미만 학부 나온 사람들
수두룩한 곳에서 일하게 될거임
2022.06.26
2022.06.26
대댓글 3개
2022.06.26
2022.06.26
2022.07.01
2022.06.26
대댓글 3개
2022.06.26
2022.06.27
2022.06.27
2022.06.26
2022.06.26
2022.06.27
2022.06.29
대댓글 1개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