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디지스트 vs 카이스트

2022.06.20

13

5586

저같은 경우에는 학부는 인서울 중위권 전기전자공학을 나와서 대학원은 관련 학과를 지원했었습니다.
카이스트는 전기전자공학과에 석박통합으로 지원했다가 떨어지고 대신 2지망으로 쓴 원자력과가 카장으로 붙은 상태입니다. 다만 2지망은 크게 생각하지 않아서 아직 컨택은 전혀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디지스트는 메카트로닉스 쪽으로 석박통합으로 지원하였고 이번에 합격하였고, 제가 연구하고 싶은 주제랑 맞는 교수님께 컨택을 받아주시겠다고 확답을 들은 상태입니다. 김박사넷에서 검색했을 때 평점도 상당히 좋으신 교수님이십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디지스트 쪽으로 갈려고 생각하고 있긴 한데 솔직히 카이스트가 네임벨류가 있다 보니까 조금 고민되는 건 사실인 거 같습니다. 어디로 가는 게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뉘우치는 알프레드 노벨*

2022.06.20

저라면 흥미도 있고 연구내용이랑 같이 일할 사람이 어느정도 검증된 디지스트를 선택하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6.20

답변 감사합니다
뉘우치는 버지니아 울프*

2022.06.20

저라면 무조건 카이스트 갑니다

대댓글 1개

2022.06.20

고민되네요

2022.06.20

디지스트랑 카이면 고민없이 카이죠 ㅎㅎ

2022.06.20

석박통합이시면 주제가 무조건 중요하십니다. 디지스트로 가셔야죠
건강한 쇼펜하우어*

2022.06.20

디지스트 가야죠 과도 안맞는데 ㅋㅋ

2022.06.20

본인이 원하시는 주제로 가는게 좋죠

2022.06.21

같은 라인에서 고민이면 분야 고르라고 할텐데
카이 붙고 디지스트 가면 나라면 후회할듯

2022.06.21

하필 원자력이면 카이라도 디지스트보다 그닥 좋다고 보기가 애매할 것 같네요.. 석사라면 몰라도 석박통합이면 디지가 나을 듯

대댓글 1개

선량한 쿠르트 괴델*

2022.06.23

동감

2022.06.24

메카트로닉스면 로봇공학전공쪽이신가요? 제어관련이면 제가나온랩일거같은데..

2022.06.24

처음엔 관심이 있는 주제였어도 막상 실제로 하다보면 별로 재미가 없을 수도 있고, 거꾸로 별 관심이 없었는데 하다보면 그럭저럭 흥미가 생길 수도 있긴 합니다.
다만 따로 하고싶은 게 있는데 다른 걸 시키거나 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꽤나 고통스럽고 불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졸업 후 취업이 목표인지 학술활동을 하고 싶은지에 따라서도 유리한 선택은 달라지죠. 석졸 후 취업이라면 카이스트가 좋을 수 있습니다. 근데 박사 졸업하고 포닥까지 생각한다면 , 학교가 아니라 어느 교수님 밑에서 어떤 실적(논문)을 냈는지가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석박통합으로 입학했어도 석사로 전환하는 제도가 보통 있습니다. 지도교수님껜 죄송하지만 석졸로 전환 후 박사로 재입학 하는 방법도... 단, 석사과정 중 본인을 증명할 걸 만들어야겠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