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경영학과 4학년 재학중입니다. 이미 짐작하셨겠지만 경영이라 수학적 지식이 전무합니다. 산업공학과는 수학을 거의 어지간한 공대보다 많이 사용한다고 들어 내년 전기 입학 전까지 나름대로 열심히 독학해보려고 합니다. 또 제가 데이터마이닝쪽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정확하게 정해지진 않았지만 어렴풋이 제 마음이 그쪽으로 향해있는 듯합니다. 굳이 데이터마이닝쪽이 아니신 분들도 전반적인 산업공학과의 수학분야를 답변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2.04.25
학부 수준의 통계학과 선형대수는 반드시 익혀야 합니다. 인공지능이나 머신러닝 이론을 좀 더 깊이 공부하고 싶다면 해석학부터 확률론 등도 공부가 필요할테고요.
대댓글 3개
2022.04.26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산업공학과 분야 안에서 머신러닝과 인공지능이 얼마나 깊게 활용될까요? 만약 트렌드라면 선택지를 위해 미리 공부해두는 게 좋을 것 같아 고민이네요.
2022.04.26
연구실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결국 산업공학은 산업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인데 예전에는 주로 사용하던 방법론이 통계와 최적화였고요, 요새는 점점 머신러닝, 인공지능으로 변해가고 있죠. 그래서 머신러닝 인공지능 응용 연구가 정말 많습니다. 특별히 통계나 최적화 특화된 연구실에 가고싶으신게 아니라면 머신러닝 인공지능도 충분히 공부 해두시는게 좋습니다. 실제로 구현하고 데이터 넣고 돌려보면 제일 좋고요.
2022.04.26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제 가닥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2022.04.26
저도 한국에서 경영학 학부 나왔고, 졸업 후 미국 ISE로 Ph.D. 와서 비슷한 고민을 했었는데요. 윗분 말대로 선형대수학, 통계는 알고 그 이후는 입학 후 코스웍 통해서 들어가셔도 됩니다.
ISE는 전통적으로 OR 하는 곳이었으나 요즘은 말씀하신대로 AI 접목을 많이 하는데요(사실 요즘 안하는 곳이 거의 없죠)
수학은 머신러닝, 딥러닝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없는 정도만 갖추고 입학 후 채워나가면 될 것 같습니다.
2022.04.25
대댓글 3개
2022.04.26
2022.04.26
2022.04.26
2022.04.26
대댓글 1개
202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