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안녕하세요, 아무리 불경기라지만.. 저 그래도 많이 노력한 것 같거든요..곧 졸업인데, 이 정도면 서류면접 잘 준비해서 저도 연구실 탈출해서 회사원 할 수 있겠죠?
아래는 제 스팩입니다. 특정될까봐 러프하게 적습니다.
전자공학과, 반도체 소자 전공
-학부: 건동홍인아, 학점: 3.7/4.5, 실적: 국내 학술대회 포스터 1저자 1회
-대학원: ykssh, 학점: 4.0/4.5, 실적: sci 1저자 2편, 2저자 1편, 국내 학술대회 포스터 1저자 1회, 삼성 산학과제
특허x, 경력x, 자격증x
나이, 성별은 27, 남자, 군필입니다.
이 정도면 삼성하이닉스 가겠죠?
26 - 교수님이 이미 내지 말라고 했는데...도대체 왜 내는지...
그리고 말씀 안드리고 내는건 또 무슨 경우인가요? 참...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12 - 아무튼 좋지 않은 결과가 따라서 유감입니다만.. 원론적으로 말하자면 주저자가 동의하지 않았는데 학회 등에 제출하는것은 연구윤리 위반입니다. 출판물의 저자로 포함되었다는건 '내가 이러한 주장을 하겠다' 라고 학계에 공식적으로 발표하는것인데... 본인이 생각할 때 동의할 수 없는 (방향이 잘못되었건, 퀄리티가 만족스럽지 못하건 간에) 내용을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이름으로 발표하는 것은 당연히 문제가 되지요.
교수님께서도 '이러한 이유로 내지말라' 라고 명시해주셨으면 더 좋겠습니다만, 제출에 대해 명확한 동의를 하지 않았는데 그냥 임의로 제출하신 것은 실수가 분명해보이네요.
그리고 경험을 위해 학회에 참석해 보는 것은.. 교육적인 면에서는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학자 입장에서는 그러지 말았으면 좋겠군요.. 포스터나 초록을 제출하지 않고 그냥 등록할 수도 있지 않나요?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15 - 뭐 데드라인 한시간전까지 계속 태클을 거신건 뭐 거진 내지 말라는거나 다름없는거니깐요...
본인이 억지로 마무리하고 낸건 교수님이랑 이야기가 안된거잖아요
여튼 상황이 이렇게 된거 교수님이 낸거 달라고 하셨으니 하루빨리 드리고 처분을 기다리는 수 밖에 없겠네요 ㅜ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10 - 저는 교수님께서 좀 너무하신 것 같은데요... 국내 학회일 뿐인데 그렇게 썽을 내실 필요가 있으셨을까요;;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13 - 이건 화낼만한 상황인 것이 맞습니다. 책임자에게 보고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건데 이건 어딜 가든 폐급 행동입니다. 비용 처리에 관한 부분도 상담을 드렸어야 하고 본인만의 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정보 공개에 대한 허락도 맡았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만약 해당 논문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모든 책임은 교수가 져야 하기 때문에 교수님 입장에서는 가슴이 철렁 하는 상황입니다.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10 - 캬 어떻게 알고 미리 박제까지.
이 정도면 삼성하이닉스 가겠죠?
9 - 학생은 실수를 한 거고
교수는 그냥 폐급 같은데 ㅋㅋ 뭔 국내 학회에......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9 - ㅋㅋㅋㅋㅋㅋㅋㅋㅋ언론플레이 열심히하는 모 회사가 생각나는군요
결국 시장경쟁에서 못살아남으니 믿을건 정부 세금뿐ㅋㅋ
LLM 국산화 하겠다고 기업들이 세금 몽땅 가져가려는 속내가 너무 싫다
11 - 3600개가 억셉되는데 뭔 허수가 없어요 ㅋㅋㅋㅋㅋ 오럴에 뽑히는거 빼고는 거의 다 허수로 봐야죠… 1만개가 리뷰받아 30% 뽑히는 대형 피어 리뷰 시스템은 그냥 랜덤 뽑기랑 확률이 같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ICLR 25 acceptance rate 이 32.08% 임... ㅎㄷㄷ
9 - 3점 후반이 자대가기 아쉬운 성적인가요? 딱 자대 성적인거 같은데..
대학원은 선착순인가요
11 - 겉으론 이해해주는 척해도 속으로는 욕 존나할듯
지금 자대에서 석사 만족 중인데 박사는 카이스트로 가고싶어요
8 - 조금 날카롭게 이야기하는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다소 과장된 어투를 써보겠습니다. 너무 개인적으로 듣기보다는 내가 이렇게 보일수도 있구나 라는 방향으로 한번 생각해 보시면 좋을거같아요.
우선 내 스펙으로 자대는 아깝고 최소 서성한은 가면 좋겠다, 에서 대학을 서열화하고 비교하려는 느낌이 있습니다. 저런 말을 들으면 중경시 서성한 모두 기분이 나빠요. 거기다가 보통 이런 사람들은 대학 뿐 아니라 인간관계에서 타인을 대할때도 비슷한 분위기를 풍기기 마련이죠. 나는 이정도, 누구는 이정도, 하는 식으로. 자소서나 메일에서도 그런 태도가 드러났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댓글에서 드러나는것은 대학원을 대기업 취업을 위한 발판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진지하게 연구에 열정이 있다는 인상을 받기는 어렵네요.
본인의 외부활동 스펙에 대단한 자신감을 표출하시는데, 사실 교육/실습/대회 같은건 교수가 보기에는 그다지 임팩트가 없습니다. 교수 입장에서는 그냥 특강 몇개 들은 정도인데 '나는 대단한 활동을 많이 한 인재야' 라고 하는 학생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죠.
컨택이 선착순이라는 말은 아무도 하지 않았는데, 대학원은 선착순인가요 라는 질문에서 짧은 글이 끝나는 동안 선착순이 그렇게 중요한가요 로, 즉 선착순이 영향이 있다는 것은 이미 전제하고 중요도를 논하는 것으로 논리가 도약했습니다. 논리력이 부족하거나, 자기 생각은 무조건 맞다고 믿고 비판적 생각을 하지 않는 학생처럼 보입니다.
대학원은 선착순인가요
11
박사과정....
2022.01.26

이런내용에 대해서 많은분들이 보시는 공간에 글을 개제하기가 많이 부끄럽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박사과정 연차로 4년차이며, 졸업을 하네마네 말이 나오고 있지만 현재 논문이 투고된것도 없는상황입니다.. 너무 부끄럽습니다..
석사중 국내에서는 여러편의 국내저널에 논문을 투고했고, 석사졸업논문으로 SCI한편 냈지만 박사졸업에는 영향이 없을것같네요...
작년초 갑자기 책을 보던중 숨이 똑바로 안쉬어지며 숨이 막혀 죽을거같다, 뭔가 알수없는 너무 무거운게 제 몸을 강압적으로 누르고 있어서 이러다가 압사당해서 죽겠다 이런생각이 들었습니다.
잠을 못자서 그런가 싶어 주말에 아무것도 안하고 내리 잠만자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결국 해결되지 않아 현지 상담센터를 방문하여 우울증,불안장애와 공황장애 초기증상이 있는거 같다는 소견을 받았고, 해외이동이 어려운상황이었지만 교수님의 양해로 약 반년간 한국에 다녀왔습니다.
한국에서 정신과를 다니며 상담치료를 받고싶었으나... 들려오는 정신과이력에 대한 안좋은 말들과 부담되는 상담비용을 보고 집에서 최대한 스트레스 덜 받는 환경을 조성하여 건강을 회복하고 9월초 다시 돌아와 실험실 생활을 이어가고있습니다.
제대로된 관리가 없었던 탓인지 중간중간 생활하면서도 불안증세와 숨이 가빠지는 문제등은 안고쳐졌습니다..
다시 학교로 돌아오고 졸업을 하네마네 말이 나오고있는 상황이기에 추가적인 데이터분석작업을 진행중이며 정말 시간이 촉박한시점입니다...
데이터분석과정중에 통계개념이 필요한부분에 대해 현재 한달간 공부를 하고있지만 제 자신에게도 남들에게도 100%이해하였다고 말할 자신도없고 이걸 제 데이터에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한다는게 참 어렵게 느껴지고있습니다.
이런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위에서 말씀드린 불안과 공황증상이 또 나와서 어제도 상담센터에 방문하여 조취를 받고 진정되기를 한참을 기다렸습니다..
이런게 너무 힘들다보니.. 지금이라도 박사과정을 그만둘까... 긴시간동안 박사과정 뒷바라지 해주신 부모님 가슴에 대못을 박는짓인걸 알지만 정말 그만둘까... 그만둔다면 당장 돌아가서 내가 몸담고 일할수있는곳이 있을까... 여러 잡생각이 듭니다..
어제 겨우겨우 진정시키고 지쳐서 쓰러지듯 잠들고 아침에 다시 학교나와 지금 이글을 쓰는 시간까지도 늦었지만.. 만족스럽지는 않겠지만 취업준비를하고 이력서를 넣어야하나 생각이들고
너무 제 자신이 나약한것같고 전공에 대해서 무능력한것같아 한심합니다..
무능력하고 나약한 후배를 위해 여기에 계시는 많은 선배님들의 조언을 듣고싶습니다... 정신없이 쓴 두서없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충생각나는 스펙이라는것들 생각해보면
지거국 농대졸
학사 4.17/4.5
석사 4.5/4.5
컴활1급
식물보호기사
국내논문5편이상출간, 해외논문SCI급 1편출간
국제쌀연구소(IRRI) 인턴2개월과정수료
* 어학점수 전부 만료 (해외거주하는동안 시험칠수있는 기회가없어 시험을 못쳤습니다..)
이정도인데... 좋은스펙은 아니기에 돌아간다하더라도 참힘들거같다는 생각입니다..
박사진학 욕심일까요? 김GPT 48 22 8966-
20 25 11312 -
17 12 6684
박사과정인데 ㅈ 됐다. 김GPT 8 8 4019
해외 박사 1년차 총체적 난국입니다 김GPT 10 5 3292-
16 9 7588
박사과정의 힘든점 김GPT 17 4 7320-
1 5 6837
박사과정 진학 고민입니다.. 김GPT 3 3 3795
나의 선생님 (자랑 포함..) 명예의전당 180 19 20883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193 39 23934-
97 53 10525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71 -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230 - 나 교수 임용됐는데 학위과정때 연구실 애들 ㅂㄷㅂㄷ
31 - 진짜 예전엔 교수님을 엄청 무시했는데
96 - 삼중컨택 어떻게 생각하세요?
6 -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20 - AI 탑티어 쓰는 연구실들은 어쩜 그렇게 다들 잘 쓰나요..
15 - 뭐가 잘못인지 인지 못하는 멍청한 인간을 어떻게 해야하나(푸념)
6 - 갑자기 빡쳐서
11 - 하 제발 좀 석사든 박사든 하겠다고
32 - 기업들은 그냥 SPK 돈 뿌리면 탑티어 학회 갯수 부풀리는거 쉬운거 아님???
14 - 요즘 과기원(카이스트 제외) 박사출신도
5 - 지금 자대에서 석사 만족 중인데 박사는 카이스트로 가고싶어요
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 정도면 삼성하이닉스 가겠죠?
12 - 지도교수님과의 관계, 어디까지 솔직하게 이야기해야 할까요?
9 - 교수님들 글 보면
8 - 조금은 비정상임을 알지만 도망가야 할 정도일까요?
18 - 기업 과제 전담
9 -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27 - ICLR 25 acceptance rate 이 32.08% 임... ㅎㄷㄷ
12 - 산학하면서 기업 담당자 공저자 들어간게 실력인가요?
16 - 학교를 자주 바꾸는 랩실은 어떤 의미인가요?
8 - LLM 국산화 하겠다고 기업들이 세금 몽땅 가져가려는 속내가 너무 싫다
14 - 대학원은 선착순인가요
19 - RTX A6000두장 NvLink로 연결해서 사용하시는 연구실 있으신가요?
13 - 지거국입니다 교수님 행동패턴이 이해가지 않습니다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를위해 봉사시간 채워야 할까요??
7 - 미국 박사 입시를 준비하시는 분들께
20 - 박사 오퍼 펀딩 잘 확인해보세요
23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71 -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230 - 진짜 예전엔 교수님을 엄청 무시했는데
96 -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20 - AI 탑티어 쓰는 연구실들은 어쩜 그렇게 다들 잘 쓰나요..
15 - 갑자기 빡쳐서
11 - 하 제발 좀 석사든 박사든 하겠다고
32 - 기업들은 그냥 SPK 돈 뿌리면 탑티어 학회 갯수 부풀리는거 쉬운거 아님???
14 - 요즘 과기원(카이스트 제외) 박사출신도
5 - 지금 자대에서 석사 만족 중인데 박사는 카이스트로 가고싶어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스펙 확인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미국 탑스쿨 박사 희망중입니다.
22 - Uiuc Purdue 중 고민이 많이 됩니다.
16 - 신임교수님 학부연구생
9 - 조금은 비정상임을 알지만 도망가야 할 정도일까요?
18 - 기업 과제 전담
9 -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27 - ICLR 25 acceptance rate 이 32.08% 임... ㅎㄷㄷ
12 - 산학하면서 기업 담당자 공저자 들어간게 실력인가요?
16 - 학교를 자주 바꾸는 랩실은 어떤 의미인가요?
8 - LLM 국산화 하겠다고 기업들이 세금 몽땅 가져가려는 속내가 너무 싫다
14 - 대학원은 선착순인가요
19 - RTX A6000두장 NvLink로 연결해서 사용하시는 연구실 있으신가요?
13 - 지거국입니다 교수님 행동패턴이 이해가지 않습니다
13
2022.01.26
2022.01.26
2022.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