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다보니 차라리 이 학교에서 박사까지 하고
포닥도 이곳 아니면 다른곳에서 잠시 경력을 쌓다가
학교에 비정년 전임 연구교수로 눌러 붙어 볼까 고민입니다.
학교에서 선배들도 보니 꽤 자교 학석박 출신이면 우대 해주는거 같고.
연구교수 이긴 해도 연봉 4천정도에 +@로 수당 나오고 재계약도 잘되는것 같습니다.
(자대 학,석,박 하면서 이미 그 학부 교수님들과 어느정도 신뢰와 친밀도가 있어서 그런지 거의다 되더라구요.. 5년차 이상 분들도 꽤 몇분 계신거 같습니다.)
그래서 저도 큰 욕심없이. 저만의 연구를 계속하면서 학교에 있고 싶은데
너무 어리석은 생각일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2.01.13
'저만의 연구'라는걸 하려면 연구책임자 해야하고 그게 전임교원입니다.
비전임교원 비정규직의 설움의 끝을 볼 수 있는 자리중하난데 그게 좋아보이시면 흠...
대댓글 5개
시끄러운 찰스 다윈작성자*
2022.01.13
그렇군요 ㅠㅠ.. 제가 있는 학부 아시는 분은 만족하고, 간간히 본인 연구도 하시면서 사시길래.. 연차도 5년 정도인데도 만족하고 계속 있을것 처럼 그러셔서 보이는게 전부인줄 알았습니다..
시끄러운 찰스 다윈작성자*
2022.01.13
아 그리고 제가 글을 잘못썻는데 전임교원 비정년제 연구교수입니다
2022.01.14
비정년 연구교수도 말이좋아 교수지 포닥입니다.
시끄러운 찰스 다윈작성자*
2022.01.14
네 저도 교수라 생각은 안합니다.. 그냥 학교에 있는 연구원 정도로 생각해요. 다만 최근 학교 추세가 비정년을 뽑아서 오랫동안 무기계약직으로 유지하는 추세이고. 주변에 5년차 이상인 분들이 점점 늘어나서 저도 고민하게 됐습니다..(실제로 저랑 친하신 한분은 그냥 여기서 계속 지낼거라 하시더라구요...)
2024.03.10
비전임도 과책 가능합니다.
IF : 5
2022.01.13
커리어 초반엔 모르겠지만 갈수록 다른 사람들과의 격차, 이래저래 돈 많이 들어가는 시기를 어떻게 극복하실지요. 아무리 무기계약직같은 느낌이어도 계약직은 계약직이라 거기서 오는 불안감은 언제나 있을겁니다.
대댓글 2개
시끄러운 찰스 다윈작성자*
2022.01.14
제 계획은 일단 커리어가 쌓이고 더 좋은 이직 기회가 있다면 무조건 이직은 할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인 기회가 생길때 이야기고 제가 아직 격차를 제대로 못느껴봐서 그런것일 가능성이 크지만, 요즘 대학교들이 비정년 전임 연구교수를 많이 뽑는 편이고(조교수) 앞으로 수요가 꾸준할것 같아 안전하게 , 원하는 지역에서 다닐 곳을 찾고 싶은 마음이 커서 그런것이 다른 돈, 격차보다 커서 그러지 않나 싶네요... 돈은 현재 계속 금융쪽에 관심있어서 불리고 있기도 하고 월급이 많지는 않지만 꾸준히 투자, 저금 하다보면 그렇게 힘들까 싶기도 합니다.(물론 이것도 힘든 상황을 못겪어본 자의 말이지만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다시한번 더 생각해보겠습니다!
IF : 5
2022.01.14
아랫분 얘기대로 30대되면 생각이 많이 바뀔겁니다. 무기계약직이 안전한 일자리라고 생각하시는거부터가 놀랍네요. 더 좋은 이직 기회가 오더라도 비슷비슷한 자리에서 오지 확 업그레이드가 되는 일은 잘 없습니다. 커리어 시작을 어디서 하냐가 매우 중요한데 다른 일 하다가 그리로 갈 순 있을지 몰라도 거꾸로 거기서 "안전한" 기업이나 더 좋은 연구직/교육쪽 일자리로 옮길 수 있을진 많이 의문입니다. 안전보다 안주에 가까워보입니다.
2022.01.14
30대되면 생각 많이 바뀔겁니다.
IF : 1
2022.01.14
1. 비정년 연구교수는 말이좋아 교수지 그냥 포닥입니다.
2. 무기계약직이 설마 진짜 안정적이라 생각하시는게 놀랍습니다. 5년차 이상 계약이 어쩐다 해도 학교 상황에 따라 다르고 더군다나 대학축소 시대입니다.
3. 인서울 하위권 학석박 동일한 곳, 포닥까지 같은곳에서? 커리어에 정말 치명적인 길로 가네요... 자신만의 연구라 하셨는데 박사 잡마켓에서는 누가 그렇게 봐주나요? 지도교수한테 못벗어나고 안주하면서 발전못하는 연구자로 보일 뿐입니다.
4. 정 하고싶다면 하다가 커리어가 확보되면 무조건 정규직으로 또는 더 높은 쪽의 포닥으로 나가야 합니다. 2년 3년 뭐 문제는 없다 보는데 표현그대로 '눌러붙어서' 5년 이상? 전임, 정규직으로 설마 이직 쉽다고 보시는건 아니죠?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현실에 안주하고 싶어 하는 선택인것 같습니다. 석사 학생이시니 그러려니 하는데, 아직 시간이 많이 있으니 학회도 많이 다녀보시고 글쓴이 연구분야 다른학교 연구실들 졸업생들 취업현황도 보시기 바랍니다.
시끄러운 찰스 다윈작성자*
2022.01.14
제가 너무 잘몰랐던것 같습니다.
최근 취업걱정하다가 이런쪽은 어떨까 생각해 본것인데
조언들을 들으니 안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다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2.01.14
젊으시면 야망을 가지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은데 댓글분들이 현실을 많이 알려주셔서 어떻게 맒슴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지도교수님과 상담해 보시고 결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국책 연구소를 목표로 허시면 어떨까요
감사합니다
2022.01.15
교수님과 상담 후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아무리 작은 일도 아무리 하찮은 일도 명예와 현명한 판단에 의한 것이.아니라면 절대로 포기하지 말라. 상대의 힘에 눌려 포기하지 말라 상대가 아무리 압도적인 힘을.가졌어도 절대 포기하지 마라 사업도 포기해야 할 때가 있다 그러나 위대한 기업을 만들겠다는 생각만큼은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윈스턴 처칠
하바드 생이 포기하라고 하면 포기하지 마시고
지도교수님과 상의해 보시고 명예롭게 본인이 결정하십시오 일본의 다나카 고이치를 생각해 보세요
2022.01.13
대댓글 5개
2022.01.13
2022.01.13
2022.01.14
2022.01.14
2024.03.10
2022.01.13
대댓글 2개
2022.01.14
2022.01.14
2022.01.14
2022.01.14
2022.01.14
2022.01.14
202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