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컴공 4학년 졸업예정인 학생입니다.
CV에 관심이 전혀 없어 SW공학이나 문법, 프로젝트 등에 올인하다가 이번에 VR이란 주제에 빠져서
CV 대학원에 진학하기로 결심했습니다.
그간 들었던 수학과목은 공학수학, 미적분학, 확률과 통계정도.
계속 과목이 안 열리고, 자리가 다 차고 하다보니 선형대수도 못들었습니다.
선형대수학은 이번에 독학으로 박치기 중입니다.
학부연구생으로서 논문을 탐독하다 보니, 논문의 메인 알고리즘에 수학이 밀접하게 묶여있던데,
이대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번 추가학기에 청강으로 수학과목을 듣고 싶습니다.
어차피 수학은 좋아했고, 1학점만 듣는 학기니 시간은 널널합니다.
하지만, 뭘 배워야 할지는 추상적으론 아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과목을 들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기하학, 선형대수학, 정수론, 위상수학? 해석학? 이런걸 듣고 싶은데, 과목 이름 따라 들으면
선행개념에 박살날것 같기도 하고....
1. CV의 연구직을 원한다면, 꼭 들어야 할 수학 분야가 무엇일까요?
- 정수론은 쓸지 아닐지 잘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듣고 싶은쪽에 가깝습니다.
2. 저 과목들을 들어야 할 것 같기는 한데... 선행 개념삼아 들어야 할 과목이 있지 않을까요?
- 이건 그냥 수학과 교수님과 상담을 잡는게 나을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3. 수업을 듣는다면 청강형태로 들을 생각입니다. 등록금 문제도 있고.... 수학과걸 듣는게 좋을까요? 공대쪽을 듣는게 좋을까요?
- 계산쪽, matlab 등등의 실제적인것 보다는 이론적인쪽에 치중하고 싶습니다.
계산을 싫어하는건 아니지만, 과에 따라 같은 과목이라도 MATLAB 쓰는법만 한 학기 내내 배우는 경우도 있다 들었는데,
연구직을 목표로 하여 알고리즘을 고안하기 위함이라면 이론쪽에 치중하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2.01.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죄송한데.. 컴공에서 쓰는 수학의 수준과 진짜 수학은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수학과 쪽으로 진로를 잡을게 아니라면 간단한 선형대수, 다변수, 미분기하 정도만 알면 충분한데 이것도 굳이 수학과에서 배우듯이 추상화된 방식으로 배울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그냥 논문보고 관련된 내용을 찾아보고 이해하는 수준 정도면 될 것 같습니다.
대댓글 3개
약삭빠른 아르키메데스*
2022.01.12
ㅇㅇ ai에서 이론쪽에 가까운 분야도 사실 응용수학이라 계산이 복잡하더라도 엄청 추상적이진 않아서 수학과 쪽으로 가면 너무 투머치임 도움도 ㅂㄹ안될듯 기회비용 개오바
2022.01.13
지금 자습으로 논문 내용을 이해할 정도는 되었지만, 제가 능동적으로 수학에 기반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내는 것은 못할 것 같아서요. 기회 비용이 너무 크려나요.
2022.01.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말했듯이 선형대수 다변수 간단한 해석학 미분기하 기초 이상의 내용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정수론, 본격적인 위상수학, 위상기하 등은 너무 어렵고 노력이 많이 들어요. 그리고 수학과에서 배우는 방향과 컴공에서 응용하기 위한 수학은 꽤 떨어져 있습니다. 물론 수학과에서 컴싸로 오는 사람이 굉장한 이점을 갖고 있지만 지금 4학년이고 수학의 기초도 안 되어 있으시기 때문에 너무 돌아가는 것 같아요.
2022.01.12
CV해보니까 선형대수에 대한 이해도가 얼마나 깊은지에 따라 퍼포먼스가 확실히 다른 것 같아요... 선형대수학 하나 잡고, 학부 중간,기말고사 잘 보기 위해서 공부한 정도가 아니라 모든 공식 하나하나 증명해보고 인사이트를 도출해보면서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2022.01.13
공학자를 위한 선형대수학 책을 하나 잡아봤는데, 1독을 해봐도 수박 겉면만 훑은 느낌이라 애매하네요.
수학과 쪽 과목으로 들어 확실하게 한번 이해를 해봐야겠습니다.
2022.01.13
Vr이면 기하학 ㄱ
대댓글 2개
2022.01.13
기하학이면 위상수학이겠죠?
2022.01.14
Vr할꺼면 n차원, 공간에 대한 이해하면 좋음. 물론 선형대수 먼저 완벽하게 이해하고 기하학 맛보시길...
슬기로운 라이프니츠*
2022.01.13
수학과 출신 인접 분야 박사과정인데 정수론이니 현대대수니 위상수학이니 미분기하학이니 크게 와닿게 도움이 되지는 않아요. 남들보다 수식을 빠르게 이해하거나 개념을 먼저 접해본 적이 있거나 처음 보는 수식이라도 읽어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는 도움이 되는데, 이건 경험치가 많이 쌓인거지 꼭 수학과라서 그런건 아니니까요.
미적분학, 선형대수, 확률 통계만 기똥차게 잘하면 90%는 커버가 됩니다.
대댓글 2개
슬기로운 라이프니츠*
2022.01.13
인접분야 = CV 인접 분야
2022.01.13
대수학은 도움 안될거라 생각 했는데 역시 그렇네요. 그건 CV와 관련없이 듣고싶은 부분이어서 혹시나 했습니다.
헌데 CV쪽 분이시라면 논문 쓰실 때, 새로운 알고리즘을 낼 때, 수학적 베이스가 없으면 새로운 알고리즘의 발상이 한정적일 것 같다는 부분에 어떻게 생각하세요? SIFT 알고리즘도 그렇고 수학에 기반해서? 새로운 알고리즘을 낸 것 같던데
2022.01.13
수학과 졸업생 입장으로 말씀드리자면 선형대수는 완벽하게 아는게 좋고 해석학 1까지는 추천 드립니다. 일반위상수학도 이 이론을 베이스로 하는 수많은 기법들이 있기 때문에 알고 있으면 좋습니다만 수학 베이스 없이 듣기에는 피똥쌀 과목이고 또 그렇게까지 중요하지는 않아서 완전 이론쪽으로 파고들 생각이 아니시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1.13
수학에 전반적인 관심이 많아서 교양 측면에서라도 파고 싶긴 했습니다.
선형대수 까지는 다른분들도 공통적으로 말하시니 완벽하게 한번 파봐야겠네요
IF : 2
2022.01.13
선형대수와 통계학만 잘 하는 게 낫습니다. 굳이굳이 더 배우고 싶다면 해석학과 이산수학 정도.
대댓글 1개
2022.01.13
감사합니다. 선형대수랑 해석학 정도는 파봐야겠네요
슬기로운 라이프니츠*
2022.01.14
SIFT 정도를 가지고 깊은 수학이 필요하지 않아요. "깊은" 수학은 님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심연입니다.. 그냥 선형대수만 잘하셔도 돼요
대댓글 1개
슬기로운 라이프니츠*
2022.01.14
컴퓨터 비전은 100년도 안된 학문이고 수학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학문 중 하나라는 점을 생각해보세요.
2022.01.15
젊었을 때 공대 박사과정중에 수학과 대학원 과목 여러 개 열심히 들었던 사람입니다. 저는 응용수학과 밀접한 전공을 하였기에 연구에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공대전공에서는(특히 응용분야에서는) 수학은 적당히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공대사람이 대충 열심히 하기에, 수학은 너무 어렵습니다. 사실 공대생이 알고 있는 수학은 진짜 수학(?) 이 아니거든요.
2022.01.12
대댓글 3개
2022.01.12
2022.01.13
2022.01.13
2022.01.12
대댓글 1개
2022.01.13
2022.01.13
대댓글 2개
2022.01.13
2022.01.14
2022.01.13
대댓글 2개
2022.01.13
2022.01.13
2022.01.13
대댓글 1개
2022.01.13
2022.01.13
대댓글 1개
2022.01.13
2022.01.14
대댓글 1개
2022.01.14
202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