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조금 더 하고 싶기도 하고, 취업 후에 원하는 일을 하고 싶어서 석사를 하려는데요,
위와 같은 경우에 자교 석사와 학교를 높여서 타대 석사로 가는 것에 차이가 있을까요?
자교는 중경외시이고, 타대를 노린다면 서카포, 안되면 연고 지원할 생각입니다.
연구 자체는 좋은데 박사까지 할 생각은 없고, 취업을 하고싶은데 어떤게 취직 시 더 좋을지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2.01.0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취업후 원하는일이 연구직이면 석사가 낫지요
석사 연구 경력자에게 연구를 맡기면 해본 사람과 안해본 사람은 차이가 날것이고, 연구 책임자도 석사에게 실험을 맡기고 하겠죠, 연구실과 회사 연구실이 하는일 패턴(실험)은 비슷할꺼예요...
대댓글 3개
2022.01.0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기업 기준 승진과 보수면은 학사 4년 대리승진이면 석사 2년이면 대리 달것이고, 학사 9년에 과장 달면 박사 마치고 입사하면 과장급으로 가죠(예를 든것임)
석사 취업 하는건 괜찮고, 대기업, 정출연, 교수직으로 선택의 폭을 넓힐려면 힘들어도 박사까지 가야죠
2022.01.0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세상에 노력없이 이루어지는건 거의 없고 공짜도 없다고 봐야죠...박사길이 힘드니까 석사마치고 취업할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죠
2022.01.09
네, 그래서 석사 취업 하고싶어서 질문드린겁니다! 이런 경우에 자교 석사와 타대 석사중 어느 쪽이 유리할까요?
2022.01.09
취업하고 싶으면 중경외시면 충분합니다.
석사했다가 꼬이면 박사하거나 취직 못할 수도 있어요.
학부연구생으로 들어가서 석사생 생활하는거 보고 아니다 싶어서 취직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대댓글 3개
2022.01.09
서카포는 힘들다고 치더라도, 연고 석사도 별 의미 없나요? 그냥 지원 많이 받을 수 있는 자교가 낫다는 말씀이시죠?
2022.01.10
목표에 따라 다릅니다. 미국 가는건 영어 어느정도 해야 됩니다.
1. 집에 돈 없거나 돈 버는게 목표 : 학사 졸 후 국내 대기업이나 공기업 취직. 이때까진 취직 엄청 잘 됩니다.
2. 집에 돈 많고 미국 대기업 취직 목표 : 미국 석사 비용(1억~2억) . 옛날에는 미국 회사는 석사 인턴도 있기 때문에 그래도 됨. 지금은 코로나 때문에 어떻게 되는지는 모르겠네요.
3. 집에 돈 많고 국내 교수 목표 :
1) 미국 석사 + 미국 박사
2) 국내 연구실중 미국에서 잘 나가는 연구분야 하는 곳에서 석사 + 미국 박사
5. 최악의 경우 : 국내 대학원 석사 후 취직 안됨. 서카포 연고 자대 다 해당됩니다. 석사 학위 후엔 대부분 세부전공 따라가기 때문에 취업의 문이 극도로 좁아 집니다. 건설 회사, 중공업 회사, 국내 공기업, 자동차회사, 통신회사 등 전자과 R&D에 잘 투자 안하는 회사에는 못 들어 간다고 보면 됩니다. 취업 사이트에 대기업에서 원하는 경력사원 뽑는 거 리스트 보고 석사 세부 전공 정하는게 좋을 수도 있긴 합니다.
2022.01.10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석사 후 대기업 취업이 목표라면 굳이 대학원까지는 필요 없다는 결론이군요... 집에 돈 걱정은 없으나 미국 가기는 싫어서요! 대기업 경력사원 리스트 보고 잘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01.09
대댓글 3개
2022.01.09
2022.01.09
2022.01.09
2022.01.09
대댓글 3개
2022.01.09
2022.01.10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