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CI 논문 하나 있는데요,

2021.12.31

23

3842

대학원을 가고 싶은데, 전부 학점 얘기를 꼭 하더라고요.
학점이 안좋은데 ㅡㅜ,
연구원, 개발자로 일해왔다가, 물리학자 되고 싶어져서요...
물리 쪽으로 대학원 가고 싶은데, 멋진 대학 갈 수 있을까요
어디 물어볼 때가 없어서... 여기 가입해서 글 올려봐요...
말씀 주실 분 감사합니다...

---

읽으시는 입장에 맞춰서 글을 적지 못해 죄송합니다..;; 너무 질문을 직설적으로 쓰는 것이 컨설팅을 받는 것도 아닌지라, 무리한 요청이 될 것 같아 조심스러웠습니다.

아마도 다음과 같은 질문이 될 것 같습니다.

대학원 가는 과정에 대해 아는 바가 특별히 없습니다. 검색해보니, 학부 때 학점 얘기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저는 학부 때 학점이 형편 없는데, 다만, 일하면서 SCI 논문 저자인 것이 하나 있고, 학부 때 여러 연구과제에 참여하여 관련 특허 발명자로 되거나, 국내 학술지에 논문을 등록되거나 한 상태 입니다. 특히 AI 쪽의 응용이나 풀스택 개발 등으로 일을 하다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하는 물리학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막연히 KAIST 나 그외 많은 멋진 대학원 관련 연구실을 찾아보고는 있지만, 너무 막연하고, 무엇보다 대학원을 갈 수 있는지 여부가 부정적이라, 주변에 문의하려고 해도, 관련된 분들이 적어서, 이곳에 대학원 진학 자체가 가능한 것인지 여쭤보게 되었습니다.

몇마디라도 말씀 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_ _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명석한 칼 세이건*

2021.12.31

논문있으면 어필받아주실만한 교수님들을 컨택하시면 됩니다. 생각보다 선호하시는 분들 많아요,

대댓글 1개

2021.12.31

아 정말로요!? 감사합니다 꾸벅 ㅡㅜ

2021.12.31

혹시 다른 생각 있으신 분 계시면, ㅡㅜ 코멘트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1.12.31

독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글을 쓰는 걸 보니... 글쟁이가 되려면 노력이 필요하겠네요

2021.12.31

읽으시는 입장에 맞춰서 글을 적지 못해 죄송합니다..;; 너무 질문을 직설적으로 쓰는 것이 컨설팅을 받는 것도 아닌지라, 무리한 질문이 될 것 같아 조심스러웠습니다.

아마도 다음과 같은 질문이 될 것 같습니다.

대학원 가는 과정에 대해 아는 바가 특별히 없습니다. 검색해보니, 학부 때 학점 얘기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저는 학부 때 학점이 형편 없는데, 다만, 일하면서 SCI 논문 저자인 것이 하나 있고, 학부 때 여러 연구과제에 참여하여 관련 특허 발명자로 되거나, 국내 학술지에 논문을 등록되거나 한 상태 입니다. 특히 AI 쪽의 응용이나 풀스택 개발 등으로 일을 하다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하는 물리학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막연히 KAIST 나 그외 많은 멋진 대학원 관련 연구실을 찾아보고는 있지만, 너무 막연하고, 무엇보다 대학원을 갈 수 있는지 여부가 부정적이라, 주변에 문의하려고 해도, 관련된 분들이 적어서, 이곳에 대학원 진학 자체가 가능한 것인지 여쭤보게 되었습니다.

답변 주신다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_ _ ) 꾸벅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1.12.31

https://phdkim.net/board/free/25547/
위 글을 읽고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2021.12.31

학부가 어느정도 라인인지, 학부 학점이 얼마나 안좋은지 좀더 구체적으로 적어주셔야 원하는 답을 얻을수 있지 않을까요? 연구만으로 학부 전체를 커버치는건 정말 힘듭니다. 성실성과도 직결되는 부분이라서요

대댓글 4개

2021.12.31

흠 그렇군요... 성실성으로 이해되는군요. 혹시 서른 넘어서 대학원 가는 분들이 종종 있나요??

2021.12.31

석사 후 취업하셨다가 그만두고 박사 새로 시작하는 분들은 꽤 있고, 서른 넘어서 석사부터 시작하시는분도 간혹 있습니다.

2021.12.31

심지어 교수가 되신 케이스도 봤습니다. 나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2022.01.01

밑에 계신 분께서 학사편입을 추천한다고 하셔서 고민 중에 있습니다. ^^ 말씀 감사합니다.
깜찍한 공자*

2021.12.31

AI나 시뮬레이션을 하고 싶으시면 컴공을 가야지 왜 물리과를 가나요?

대댓글 3개

2021.12.31

물리학자가 되고 싶어서요..
깜찍한 공자*

2021.12.31

물리학자는 물리학을 하고 싶어야지 할 수 있는거구요.. AI를 개발 및 연구하는 사람은 AI 연구자지 물리학자가 아닙니다.

2022.01.01

물리학을 하고 싶어요.. 밑에 분께서 학사편입을 추천하셨는데, 따로 물리학 공부를 빡세게 해봐야겠네요.. 수학 공부는 좀 하고 있는데, 확실히 정작 물리학 베이스가 약하네요... 4대역학, 계산물리학 위주로 공부해나가고자 합니다. 말씀 감사해요 ㅡㅜ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2.01.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말씀하신 분야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의미 있는 학교에 들어가시기는 어렵습니다. 물리학은 백그라운드가 중요한 학문입니다. 학사편입 같은 길을 알아보셔서 물리학 학위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백그라운드가 있는 상태에서 컴퓨터 스킬이 있는 사람은 되지만 컴퓨터 스킬만 있으면 대학원생으로서는 절대 안됩니다. 미국에서는 테크니션으로 일하는 것은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도 보통 다른 분야 박사학위가 있어야합니다.

대댓글 7개

2022.01.01

그렇군요. 학사편입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혹시 물리학과 시뮬레이션을 연구하는 해당 분야에 대한 키워드 정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2022.01.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시뮬레이션을 쓰는 분야는 고체 물리 계산, 양자컴퓨터 계산, 핵융합 관련 플라스마 물리, 천체물리학, 뇌과학 등 복잡계 물리 정도 있는 것 같아요 ㅎㅎ 저는 천체물리 관련 이에요

2022.01.01

아, 그렇군요 .. 감사합니다 ( _ _ ) 저는 뇌과학, 복잡계 물리 관심있습니다!
학사편입을 알아보았는데, ㅜㅜ
안타깝게도 올해 학사편입은 다 끝났나보네요 ㅡㅜ 방통대라도 다닐 생각이었는데...

2022.01.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 분야는 외국에서는 활발하고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에선 하시는 분이 정말 적습니다. 대학원생으로 받아지려면 아주 좁은 문을 뚫으셔야 돼요. 물리를 혼자 공부하시는 것도 좋지만 실력을 입증할 방법도 필요합니다.

2022.01.01

아 문이 좁군요.
실력을 입증할 방법이라면, 보통 전공서 문제풀이 같은 것이 될까요? 아니면 .. 전 컴퓨터 기술이 있으니, 그쪽으로 토이프로젝트를 만들어보거나 해볼까요? ...

친절히 말씀 나눠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신년 새해 정말 건강하고 좋은 일들 많으셨으면 좋겠습니다.

2022.01.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런걸로는 어렵습니다.. 입학 시험을 보는 학교라면 면접에서 문제를 풀기도 하지만 보통은 정규 교육과정을 거친 사람을 뽑겠죠. 긍정적인 점은 복잡계는 전통 물리와는 동 떨어져 있어 통계역학 정도를 빼면 물리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분야이고 컴퓨터의 사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제가 추천드릴 수 있는 것은 당장 그 분야 교수님을 찾아보고 컨택해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부담스러우면 해당 연구실 학생에게 연락해보세요.

2022.01.01

(_ _ )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