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딴 괴수 밑에서 3년을 보냈는데 어느 미친 자가 학계에 남고 싶어하겠는가?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47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82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79 - 습작을 반복해야 대작이 나옵니다
그리고 실제 큰 임팩트를 줄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몇프로나 되겠나요?
언젠가 누군가가 당신의 논문을 보며 공부하고 영감을 얻는다면 그것 또한 공헌이죠
껍데기 연구를 하는 것 같습니다.
19 - GPT로 영어 표현 수정하는데 뭐라하는 놈들은 연구에 자신없는놈들일 뿐임.
논문 잘 못쓰던 사람이 GPT로 논문 잘쓰는거 보고 위기감 느껴서 그럼. 그냥 자기가 "연구" 자체를 잘하면 될것을...
무슨 영어 경진대회 할라고 박사받았는지 참..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17 - 대학원생은 대학원생입니다. 물론 사적인 연락이나 쓸데없이 주말, 늦은 밤에 연락하는건 예의가 아니지만, 연구나 프로젝트 관련이면 어쩔수 없죠.
그리고 혼나는것도 마찬가지구요. 나이따져가면서 다르게 지도하면 오히려 연구실 분위기 망합니다.
그리고 핵심은 "다른 20-30대 대학원생이면 이해되지만 나는 40대에 가정이 있으니까 불편하다" 는 본인만 차별대우 받겠다는 심보입니다.
아줌마라도 입학하면 동일한 대학원생입니다. 남들 개인 사정 다 봐줄 시간 없어요.
그리고 말씀하신거 들어보면 교수가 유난히 별난것도 아닙니다.
대학원생도 학생이고,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것이 당연하고, 부당한 지시는 전혀 아닌 것 같아 보입니다. 통제가 아닌 지도라고 생각하세요.
글에 정보가 얼마 없어서 그렇지만, 업무시간에 "개인공부"는 하면 안되는거고.. 당연히 연구실 소속으로 학교에 있을 땐 연구실 관련 공부를 해야합니다...
과목도 대학생처럼 듣고 싶은 거 듣는게 아니고요... 대학원 수업은 더 specific해서 오히려 강의해주시는 교수님도 학생들 걸러서 받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25 - 다른말씀 모두인정
다른 20~30대 대학원생은 이해되지만 이런말은 안 썼습니다.
별난교수라고 쓴적없습니다.
다른 조교들은 더 힘들겠다고 했는데요?ㅎㅎ
업무시간에 개인공부라고 안 썼습니다.
업무시간외 개인공부였습니다.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10 - 아, 우선 없는 말을 제가 한 것처럼 적어놓아서 죄송합니다.
다만, "가정이있어서", "나이차가 5살 이상 안 나기에" "젊은 사람들은 더 통제 당할듯", "이 나이에 이렇게까지" 라는 말을 짧은 글에 여러번 적으신것만 봐도 나이가 있어서 다른 대학원생과 다르다 라는 뉘양스를 많이 풍겨서 그랬습니다.
꼭 직접 적지 않았다고 저희가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는건 아니니까요....
그리고 업무시간 외 개인공부면 교수가 알 일이 없겠죠...? 통제 한다는건 교수가 컨트롤하는 시간 내에 일어난 일이라는 건데, 그러면 "업무시간외" 라는게 맞지 않을수도 있어요.
대학원은 직장과 달리 9시출근 6시 퇴근 이런게 정해져있지 않고 주 몇시간 일 이란 개념도 없거든요.
일이 아니고 공부와 연구기 때문에 그래요. 교수가 너 밥먹고 똥싸는거까지 나한테 보고해! 라고 하는 미친사람이지 않는한, 진짜 업무시간 외(교수가 알 길이 없는)에는 개인공부든 취미생활이든 하셔도 됩니다. 다만 그 시간이 항상 동일하게 보장받진 못할거지만요...
그게 박사과정입니다.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 전세계 어디든..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18 - 학부는 모르겠는데 대학원은 연구환경 좋아질거 확정인듯
수도권대 나와도 지거국 대학원가는게 전망좋으려나요
9 - 애당초에 학부 레벨과 대학원 레벨은 다른데요
부경은 대학원 좋은 곳 많음
수도권대 나와도 지거국 대학원가는게 전망좋으려나요
8 - 미국에서 살거면 미박 한국에서 살거면 국박이라고 생각하고 살았는데, 삼전에서 국박 vs 미박 오퍼 차이를 듣고 나서는 무조건 미박이라고 생각합니다.
T50 권 박사 유학 vs 서울대 카이스트 박사 진학
9 - ㅋㅋㅋ 남 물박사라 욕하지말고 본인이나 잘해여 ㅋㅋㅋㅋ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12 - 아니요 낮은 저널과 학회에 나오는 아이디어 99%는 탑티어 기술 적용해봤다 끝이고 의미없는 연구들이 99.99%입니다. 대기업 중소기업 개념이 아니라 그냥 디지털 공해입니다.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2
바이오전공이신분들 학위중 인건비 얼마받으셨나요?(과거 or 현재 무관)
2021.12.16

공대분들은 뭐 여기 글만 써도 박사학위 중 200~250은 디게 많은거같고
석사 학위 중 120~150도 많은거 같고 공학쪽 전공자분들이 120 아래로 받는다는 글,댓글은 거의 본적없네요.
저는 통합과정 중인데 1~3년차 80 4~5년차 100 6년차~현재 120씩 받고있습니다.
수도권 사립 4년제구요.. 연구분야는 퇴행성뇌질환쪽입니다..
아무래도 연구비 사용처가 많이 달라서 그런걸까요?
교수님 연구비 따오시는거 보면 3억 ,5억짜리들 꾸준히 따오시고
몇년전에 MRC되면서 94.5억 7년간, 12명 교수님들 구성으로 쪼개서 받으시는데
센터장이라서 그래도 꽤 그중에서도 젤 많이 받아가실텐데..
간접비 20%인가 30% 떼인다 생각하고,
나머지는 매달 저희실험실은 자기가 구매신청한 물품 확인받는데
한 재작년까지는 시약,물품등 구매 비용으로 적게는 800 많게는 1500씩 깨졌는데
올해인가 작년부터는 뭐 어디다 그렇게 깨지는지 2000대로 깨지네요 ..
그런곳에 깨지는게 많다보니 아무래도 인건비가 적을수밖에 없는건지,
아니면 여기서 아무리 많이 받아봐야 수억원대 연구비인 반면에
공대는 연구비 규모도 훨 다른건지 화공같은 곳이 아니면 시약,물품에 깨지는 비용자체가 적은건지...궁금하긴하네요..
다들 얼마쯤 받으세요 인건비?
---추가
등록금 지원 유무를 말씀하셨는데,
교수님의 연구비에서 등록금을 추가로 지원해주진않았고
학교 장학금정책상 저희 학교 의대지원 기준, 풀타임장학생의 경우
석사 2년 75%/ 박사 2년 100% 지원해주는 기준이 있었습니다.
이걸 따지면 석사땐 140, 박사땐 200 주는 셈이긴한데
제가 전문연구요원하느라 2년을 초과학기등록으로 170만원씩 직접 사비로 냈고, 올해부터 전문연 복무중입니다.
아무튼간에 5년차떄부터 200받거나 그러진않았습니다..
-
139 16 60310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 명예의전당 132 20 55679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 명예의전당 324 25 6776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천천히 살아도 충분히 잘할 수 있습니다.
70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44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106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93 - 대학원생을 위한 화법 레슨
24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24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27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29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35 -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24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29 - 제가 mz인건가요 선배가 꼰대인건가요
8 - 대학원 자퇴 그 이후
3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교수님이 대학원생들 연구실에 얼마나 자주 들어오심?
16 - 껍데기 연구를 하는 것 같습니다.
12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14 - 와씨 대학원 1학기 보내고 나니까 가스라이팅 집합체네
6 - 수도권대 나와도 지거국 대학원가는게 전망좋으려나요
9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9 - 카이스트 ai반도체 대학원
14 - S대 전기과 컨택 후에도 불합격 할 수 있을까요?
10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18 - T50 권 박사 유학 vs 서울대 카이스트 박사 진학
10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7 - 성균관대,한양대 석박통합 입학 스펙은 어느정도인가요?
5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천천히 살아도 충분히 잘할 수 있습니다.
70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44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106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93 - 대학원생을 위한 화법 레슨
24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24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27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29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35 -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24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29 - 제가 mz인건가요 선배가 꼰대인건가요
8 - 대학원 자퇴 그 이후
33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50 - 아무것도 모르는 초짜 미국 박사지원 질문드립니다.
8 - 교수님이 대학원생들 연구실에 얼마나 자주 들어오심?
16 - 껍데기 연구를 하는 것 같습니다.
12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14 - 수도권대 나와도 지거국 대학원가는게 전망좋으려나요
9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9 - 카이스트 ai반도체 대학원
14 - S대 전기과 컨택 후에도 불합격 할 수 있을까요?
10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18 - T50 권 박사 유학 vs 서울대 카이스트 박사 진학
10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7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1
2021.12.16
대댓글 1개
2021.12.16
대댓글 1개
2021.12.16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