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로봇관련 대학원 진학... 가능할까요?

2021.09.06

13

7910

안녕하세요, 로봇 제작 및 제어관련 연구실을 희망하는 졸업을 앞둔 학부생입니다. 우선 저의 스펙을 나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지방국립대 3.89/4.5에 공인 영어 성적은 토플 75점/120점입니다. 로봇관련 제1저자 Scopus논문 작성 경험이 있고, 학술대회 발표 2회(그 중 우수논문추천 1회) 경험이 있습니다.

자격증은 없습니다.
그 외 어학능력 증명자료는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진행중입니다.

3학년 후반기에 자대 랩실 들어가서 활동하다가, 학부 4학년이 되고나서야 대학원 진학을 진지하게 고민하게 되고, 최근에 영어 공인성적 받고나서야 대학원 컨택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큰 욕심은 안부릴려고 하고, 현재 ssh 대학원의 로봇관련 연구실들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한 연구실을 컨택했는데, TO가 다 찼다는 메일을 받고 불안한 마음에 고민글을 작성해봅니다.

석사 진학을 하기에 무엇이 부족한지, 과연 석사 진학이 가능할지, 당장 무엇을 해야할지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1.09.06

ssh에 로봇관련랩하면 성대 한분만 떠오르는데..(서강대교수가 카이스트로 갔으니) 해당랩은 성대자대생들도 들어가기 빡세다고 하더라고요.

대댓글 10개

2021.09.06

아 휴고로드리게 교수님이나 한양대 왕웨이 교수도 있네요. 두분다 젊고 외국인이셔서 잊고있었군요. 두랩도 한번 알아보세요. 전통로보틱스랑은 조금 다르겠지만요

2021.09.06

휴고 로드리게 교수님은 소프트 로보틱스쪽이라 일단 컨택 넣어볼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양대 왕웨이 교수님은 지금 알아볼게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09.06

YK라 해도 거의 없어요. 연대는 정말 로보틱스하는분 거의없고 (예전에는 그나마 양현석 교수님이 열심히하셨지만.. 요즘은 지도거의없는듯), 고대는 송재복 교수님인데 거기는 그냥 회사처럼 운영하는것같던데요. 필드내에서 인지도는 송재복 교수님이나 최혁렬 교수님 둘다 탄탄하죠.
DGU에서 차라리 로봇관련랩들 많고 잘하는분들 많은데 찾아보세요.
로봇쪽에서는 요즘 잘하는 젊은 교수들이 중대, 아주대 등에 임용됐는데, 사실 해당대학을 가기에는 좀 리스크가 많이 크죠. DGU에도 젊고 잘하는분들 많아요. 저희선배도 몇명있고요.

2021.09.06

여튼 저는 spk에서 박사까지 한 케이슨데, 언급드린 젊은교수들은 주변 연구실 선배들이 임용된 케이스긴 해요. 근데 저라도 아무리 친하고 잘하는 선배 교수라고 해도, 친한동생/후배한테 밑라인대학을 대학원진학을 권유하진 않을것같아요. 로봇분야도 사실 드론이나 자율주행까지하면 정말많은 잘하는교수가 있으니까 잘 찾아보세요.
단순한 매니퓰레이터 개발은 사실 시대가 가도 한참 갔어요. 아예 4족보행 아니면 2족보행을 하거나, 외골격로봇을 하거나, 특정분야 로봇을 하는게 필요한데, 언급드린 연구를 깔짝이는 곳들은 있지만 잘하는곳은 국내에서는 거의없는게 현실이긴 합니다. (대부분 카이스트에서 해당 연구들은 잘하죠) 오래된 교수밑에 가서 제대로된지도 못받고 적당히 흥미랑 비슷한연구 깔짝되시고 학위받을바에야 주제를 조금 틀어서라도 잘하는교수한테 지도받는게 좋을것같아요.

2021.09.06

실례지만, 제가 아직 이런 용어에 미숙해서요, dgu가 무엇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Dgu는 검색해도 자꾸 동국대만 나오네요;;

2021.09.06

그리퍼도 한번 잘 고려해보세요. 소프트 로봇도 사실 어느정도는 단물 많이 빠졌습니다. 말하는게 뭐 SMA나 공압으로 그리퍼 갈짝거리는건데, 쉽게말해서 이미 UR로봇에 맞게나온 soft gripper가 상용제품으로 나왔습니다. 상용화제품이 나온만큼 웬만한 기본연구는 다 나온상태고, 후발주자들은 그냥 조금 비슷하게 따라해서 적당한 저널에 내는 수준이에요. 본인이 특히 박사까지할거라고 생각하면 단순히 흥미만보고 주제찾을생각하지말고 본인이 먹고살수있는 주제를 찾도록 노력해봐요. 소프트로보틱스 재밌다고 학부생들 몰리는데, 소프트로보틱스하는 많은랩들도 다 어떤주제로 계속 먹고살수있을지 고민하는 수준입니다. 이건 대가라고 불리는 하버드 Roberts랩에서도 어느정도는 마찬가지일거에요.
즐거운 아담 스미스*

2021.09.06

과기원 대학들 (Dgist / Gist / Unist) 줄인 겁니다.

2021.09.06

과기원들이요.. d/g/u에 카이스트는 논외라서 dgu라고 많이 부르는것같네요.

2021.09.06

아,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가 많이 들어오네요.

2021.09.06

로봇계열은 사실 정량화된 수준은 다음저널/학회에 얼마나내는지로 결정됩니다.
학회 : IEEE ICRA, IEEE IROS, IEEE Robosoft(앞과 비교할때 애매함)
저널 : Science robotics, IEEE TRO, Soft robotics, IEEE TMECH, IJRR, IEEE TIE, IEEE RAL, IEEE RAM
그 외에 적당히 좋은저널들도 있긴한데, 로봇분야에 한해서만보면 저정도가 메인인것같네요.
특히 TRO나 Science Robotics에 최근에 연구실에서 제출했으면 훌륭한 연구실입니다.
너무 분야만 보기보다는 연구실 실력보고 들어가세요

2021.09.06

진짜 욕심은 안부릴려고요... yk대학교의 랩실이나, 그 외에 매니퓰레이터나 그리퍼 다루는 연구실도 다 알아보는 중입니다. 역시 ssp도 힘든가보군요;;

IF : 2

2021.09.06

로봇랩은 대체적으로 인기라...

휴머노이드면 서울대에 한분 계시고, KIST학연으로 ykssh 학위도 가능하겠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