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박사가 가지는 의미가 얼마나 되나요?

온화한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1.08.22

12

3543

SPK가 아닌 서울권 재학중인 28살 석사생입니다.

졸업은 1년이 남아서 29살에 졸업을 하게 됩니다.
개인적인 사정이 있어서 석사 졸업이후에 1년정도 국내에 있어야 할 것 같은데 계속 시간이 허비되는거 같아서 걱정이 됩니다.

주변에서는 대기업 다니면서 돈 버는 친구들은 이미 많이 모아놨고 슬슬 결혼하는 친구들도 있어서 현재 하고 있는게 잘 되고 있다고 해도 불안정한게 상당히 심적으로 부담이 됩니다.
현재 논문 실적으로만 보면 다른 친구들보다 꽤 쌓여 있어서 미박으로 가게 되면 상위 10위권 안으로 갈 수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 이게 지금 제 나이에서도 1,2년 정도는 아무것도 아닐 정도로 무마할 수 있을정도로 도움이 될까요? (지도 교수님은 해외가는것을 밀어주시고 있으나 주변에 터놓고 물어놓을 선배가 없어서 혼자서만 고민을 계속 하고 있습니다.)

미박 이후에 교수할 생각은 없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체한 알프레드 노벨*

2021.08.22

미박 메리트를 활용가능한 직장이 교수직, 연구직인데 큰 뜻이 없다면 나이도 있는데 굳이 미박해야할까요?

대댓글 5개

2021.08.22

CS등 전공이면 미박후 현지 업체 취직도 좋은 길이죠..

2021.08.23

딱 우물 안 개구리 마인드.
체한 알프레드 노벨*

2021.08.23

ㄴ ^^.. 미박 후 국립대 교수 현직입니다

2021.08.23

미박후 국립대에 교수로 계시면서, 미박후 다양한 기회가 생기는 걸 모르시다니.. ^^

2021.08.23

미국생활 해 보신 분이 나이타령이라니?

2021.08.22

미박이 가지는 의미를 모르면 취준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IF : 1

2021.08.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CS라면 미박 상위 10위권이 그리 쉬운게 아님

IF : 1

2021.08.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게다가 SPK도 아니라면 그냥 불가능할 것 같은데

2021.08.22

석사든 학부든 spk가 아니라도 유학 top10가는 케이스는 사실 꽤많긴하죠. 연고대만해도 top10 유학, 특히나 자대석사까지 하면 그래도 빈번하게 갈텐데요. ssh에서도 그럴거라 예상되고요.
그리고 뭐 추천서영향이 크다보니, 추천서잘받으면 길이 열리기도 하겠고요. 저는 국박입장에서 개인적으로는 해외에서 경험해오는게 나중에 어딜가시든지 도움은될것이라 봅니다. 근데 미박의 가치가 단순히 삼전 들어가기 위한거면 해외가서 고생하시는거 생각하면 득보다 실이 클수도있지않을까요.
점잖은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1.08.22

박사 나가고 나가면 시야가 알아서 넓어질 테니, 나간 이유는 나가고 나서 찾으면 됩니다.

IF : 1

2021.08.23

대학원 하다가 인턴가서 취업되면 석사만 받고 인더스트리로 가기 가능합니다. 교수보다 리서치랩 연구원으로 지내는게 더 좋은 사람도 믾고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