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차피 다 논문으로 공개되서 연구인력은 많이 필요 없을거라는 이야기도 있던데 결국 핵심기술은 공개 안되어 있어
예를들어 스냅챗 성별전환 필터같은거 공개되어있나? 그거 지금이야 많은 앱들에서 지원하지만 첨 나왔을땐 완전 신세계였잖아
이런 기능들 다른 회사에서도 지원안해주면 도태되기 때문에 연구개발인력 수요는 여전히 클 거야
내가 보기엔 머신러닝은 지금까지 엄청난 성장을 이뤄냈지만 아직도 성장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본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정직한 아리스토텔레스*
2021.08.05
박사 배출의 측면에서 머신러닝의 진짜 치명적인 점은 박사 졸업생들의 domain knowledge 상실입니다. 최근 공학부문 졸업자들이 머신러닝 적용하는 데에 시간을 다 쓰다 보니 공학 기반기술에 대한 노하우와 지식이 형편없어졌어요.
대댓글 10개
이기적인 가브리엘 마르케스작성자*
2021.08.05
그게 왜 치명적인 문제야?
2021.08.05
옛날 분들에 비해 그 분야에 대한 지식이 좀 부족해진 건 사실이지요... CV 쪽만 봐도 CVPR, ICCV, ECCV가 옛날에는 geometry 기반의 비젼 논문이 대부분이었는데 지금은 그런거 하나도 몰라도 딥러닝 잘하면 논문 나오니깐 공부 안하는 사람 많지요. 여전히 그 분야를 이끌어 가시는 분이 있긴하지만, 먼 미래에는 정말 하는 사람이 없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어려운 수식을 풀기 힘들면 data랑 gt만 잘 뽑아서 딥러닝 돌려가지고 박사 졸업하시는 분들 많은데 이것도 큰 문제죠. 물론 그 사람들이 잘못되었다는 건 아닙니다.
2021.08.05
대충 어떤 느낌인지 알 것 같은 느낌...
이기적인 가브리엘 마르케스작성자*
2021.08.05
근데 대부분의 비전 도메인에서 딥러닝 기반 기술들이 훨씬 성능이 좋은데 왜 고전 컴퓨터비전을 연구해야 하는거야?
로켓엔진 나왔는데 증기기관 연구할 필요는 없잖아
2021.08.05
이 사람말은 로켓엔진 원리도 모르고 메뉴얼만 보고 로켓엔진 조립해서 만든다. 이 뜻 아님?
이기적인 가브리엘 마르케스작성자*
2021.08.05
그런 비유였다면 난 틀렸다고 얘기할게
고전 컴퓨터비전 지식은 대부분 현 머신러닝 기반 컴퓨터비전에 대한 기초에 해당하지 않아.
그냥 패러다임 자체가 바꼈다고 보면 될 듯.
2021.08.05
제가 말하고 싶은 핵심도 그거입니다. 원리를 모른채, 다른 곳에 잘 쓰인 매뉴얼만 가지고 결과만 가져온다는 것이죠. 그 분야의 domain knowledge는 충분하지 않은 상태로, 원리도 모른채 결과만 잘 나와서 논문이 되기 때문에 그건 좀 문제인거죠. 물론 과거 기술로 돌아가자고 주장하는 건 아니고, 해결 방법도 딱히 떠오르는건 아닌데, 과거 CV 했던 외국 거장들 입장에서는 이게 CV 학회인지 딥러닝 학회인지 헷갈린다고 하더군요. 막상 실적 좋은 사람을 본인 연구실에 데리고 오면 CV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딥러닝만 아는 경우도 허다하다고 합니다.
2021.08.05
제 생각에는 틀리고 맞고의 문젠 아닌게, 요새 딥러닝은 거의 application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제가 cv 연구하는 사람이다 보니깐 예시가 CV로만 되지만, 새로운 domain이 생기지 않으면 언젠가 cv에서 딥러닝은 죽고 결국 cv도 몰락하겠지요. 물론 어느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만능 method이다 보니깐, 다른 분야로 퍼져서 잘 쓰이겠지만, 한 분야를 연구하는 입장에서 보면 딥러닝에 대해서 만능 찬사를 보내는 것은 좋은 방향으로 이루어질거 같진않아요. 달콤한 독 같다고 해야하나.
이기적인 가브리엘 마르케스작성자*
2021.08.05
딥러닝도 언젠간 증기기관처럼 옛날 기술이 되겠지 하지만 그 대안이 전통 컴퓨터비전일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 또다른 기상천외한 새로운 방법론이 나와서 컴퓨터비전의 대세가 되겠지 그러면 딥러닝은 지금 전통 컴퓨터비전 같은 취급을 당할테고
2021.08.06
제 분야에서도 ML로 spamming하는 사람이 너무많아서 일단 ml한다고 하면, 특출한 insight가 없는한 동네 잡부로 봅니다. 아주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어요. 예전 김대중 정부에서 SI 지원을 해서 병신 프로그래머만 양산해내고 필드 망친거랑 비슷합니다.
IF : 1
2021.08.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개나소나 컴파일러, 프로그래밍언어를 쓰고있지만 지금 컴파일러나 프로그래밍 언어'만' 연구하는 사람이 몇명이나 됨?
개나소나 쓰게 되면 그냥 commodity이자 basic skillset이 되버리는거임
대댓글 2개
2021.08.06
한국이 뒤쳐져서 그렇지 많습니다.
재밌는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1.08.06
ai/ml 보다 적을진 몰라도 compiler나 pl 쪽이 사장된 분야는 아닌데 무슨 ㅋㅋㅋㅋㅋ
IF : 1
2021.08.06
꽤 정확한 지적임. data type과 goal의 특성만 맞으면 하나의 테크닉으로 많은 도메인에 이용할 수 있는게 ML의 조홀라 큰 강점이라, 아직 business측면에서 성장할 가능성은 무궁무진함. 하지만 도메인의 특성을 잘 이해하지 못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Core technology는 시장의 니즈에 비해 너무 앞서나갔다는 생각도 듬.
2021.08.05
대댓글 10개
2021.08.05
2021.08.05
2021.08.05
2021.08.05
2021.08.05
2021.08.05
2021.08.05
2021.08.05
2021.08.05
2021.08.06
2021.08.05
대댓글 2개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