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로봇 대학원 순위

2021.07.19

6

17002

물론 랩마다 다르다는 건 진리 겠지만 대체적으로 어떤지 궁금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1.07.19

이게 뭔소리여.. 학교별로 카테고리 해달라는거에요?
포공은 사실상 로봇하는 랩이 거의없다가 최근 KIST에서 부임하신 교수님 한분계시니 제외하고,
전통적인 기계베이스 로보틱스는 카이스트가 세고, soft robotics 쪽은 서울대가 강세긴하죠 (정확하게는 조xx, 박xx 두 교수님이 soft robotics 초창기 맴버로 하버드 대가랑 컨낵션이 강하다는느낌.. 조xx교수님 출신분들이 최근 임용도 많이됐고요) 그 외에 SLAM쪽은 비슷할것같은데요..
sk를 제외하고는 남는곳 해봤자 거기서거기일것 같네요. 워낙 로봇관련 잘하는교수님들을 최근 카이스트에서 다 쓸어오기도 했고요. 물론 성대의 최xx 교수님은 로보틱스 분야에서 영향력은 셉니다. 다만, 출신분들이 각 분야에서 뛰어나게 잘하는 분이 많지는 않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두세분 정도 확실히 잘하는분계심)
여튼 지금은 모든학교에 능력있는 젊은 교수님들이 골고루있는 느낌입니다.

대댓글 3개

2021.07.19

그냥 s,k 로봇랩에서 박사학위받고 해외포닥 준비중인 사람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저도 모르는분야는 잘 몰라서 확실하게 말하긴 어렵네요. 여튼, 전반적으로 s든 k든 p든 로봇랩들의 선호도가 높아서 수준높은 자대생, 타대생이 많이 오는건 사실입니다. TO가 정해져있다보니 어쩔수없이 자대생이 유리할수밖에 없겠지만요..

2021.07.19

답변감사합니다. 질문이 또있는데 yk나 ssh도 마찬가지로 생각하시는 건가요?

2021.07.20

감사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보다 고려해야할 저널들이 더 많았네요. 감사합니다.

2021.07.19

답변감사합니다. 더 질문드리자면 ist 나 ykssh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시나요?

대댓글 1개

2021.07.20

그 아래에서는 그냥 교수님 보고 가시는게.. 각 학교마다 잘하는 분야가 다를거에요. 연대는 솔직히 잘 모르겠고, (그나마 양현석 교수님 출신분들을 조금 뵀음), 고대 송재복 교수님, 성대 최혁렬 교수님 등 각 분야에서 이름있으신분들은 있죠. 그 외에 한양대나 성대도 최근 부임한교수님들은 다 잘하시는 분들이에요. 서강대는 잘하시던분이 카이스트로 부임하셨고요. ist는 로봇분야에 한해서는 정확히는 모르지만, dgist 로봇전공인가? 그쪽 교수님들이 좋은논문 발표하시는것같던데요. 솔직히 spk아니면 자대로 가시거나 ykssh-ist면 연구실보고 가세요. 로봇에 한해서는 IEEE TRO, IEEE TMECH, IJRR 등이 좀 전통있는곳이고, ICRA/IROS나 RA-L 많이쓰는곳도 괜찮아요. 소프트로보틱스하는 곳들은 Science robotics, Soft Robotics, Nature com, Sci. Adv., Advanced Mater. 이런쪽으로 많이 내더라고요. 다 좋은저널들입니다. 대충 실적에 제가언급한곳들 많이쓰면 충분히 훌륭한 연구실이에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