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관련 논문들은 어떻게 읽는게 좋을까요?

2021.06.10

9

1721

이번에 석사 1학기로써 코스웤이나 랩 적응기간을 좀 지나고나니 제가 연구가 맞는지 의문이 많이 들긴 합니다.

그래서 일단 방학기간을 이용해서 논문을 읽어보려고 합니다.

지금은 공부하는 중에 눈에 자주띄는 네트워크(vggnet,resnet 등등.._)의 논문을 찾아보고 읽어보고, 구현을 해보면서 지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들이 너무 시간만 보내는거 같아서 이렇게 하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 듭니다.

혹시 방학에 공부를 어떻게 진행을 하면 좋을까요. 논문을 참고할 곳,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지 아니면 기타 조언같은것도 해주셨으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1.06.1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학원도 방학이 있나요?
있어도 몇일정도 방학일껀데요

대댓글 1개

2021.06.10

코스웤 부담은 없어서 더욱 집중할수 있는 시간인거 같습니다.
성급한 프리모 레비*

2021.06.10

탑컨퍼 oral 보고 학계 흐름 파악하고 프레임워크 짜보는걸 우선으로 해요

IF : 1

2021.06.10

냉정하게 학부때 이미 하셨어야 하는 일이긴해요.

대댓글 2개

조급한 알베르 카뮈*

2021.06.10

그래서 지금 한다잖아요;

2021.06.10

맞습니다. 근데 학부때는 크게 진학에 대한 욕심이 없었습니다. 아직 감을 잘 못잡겠습니다.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조언을 받으려고 합니다.
징징대는 루이 파스퇴르*

2021.06.10

유명한 논문 다 읽어보고, 더 읽고 싶고 알고싶은 주제를 찾으면 그 주제에 관련된거 몽땅 읽어보는게 좋음. 근데 그런 주제를 못 찾으면 대학원은 잘 안맞을거임. 그런 주제가 없으면 코테 준비 조금 하고 유명한 논문 구현해서 깃허브에 올리는게 취업에 도움 됨.

대댓글 2개

2021.06.11

도움 되는 댓글인 것 같아서 추가 댓글 남깁니다.
그러면 리딩과 구현을 어느정도의 비율로 유지하면서 연구활동 이어나가면 좋을까요?
구현 능력도 향상하고 싶고, 제 논문을 쓰려면 구현 능력도 뒷받침 되어야할 것 같아서요.
징징대는 루이 파스퇴르*

2021.06.11

그냥 논문 하나읽고 구현하고 하나 읽고 구현하고 하는 방식으로 시작해보시죠. 그 때 논문 추천은 주변에 잘 아시는 분이나 레딧, 페북에서 보고 찾아보시고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