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nato Dulbecco
심심해서 실리콘 밸리 AI/ML research scientist 취업관련 질문…
좋은 연구실을 고르는 방법 (박사 졸업생이 생각하는)
연구실 컨택할때 꼭 알아두면 좋을 것들
좋았던 교수님이 변하셨다
학부 졸업하고 입학하는 새내기에게 주는 팁 아닌 팁
SPK와 비SPK의 차이가 어느 정도냐는 질문이 많아서 한마디...
좋은 연구자의 태도란??
외부에서 괜찮은 랩을 알아보는 방법 (장문주의)
김박사넷 로그인을 하면
더 많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10,000명의 김박사넷 유저들과 함께해보세요!
신고하기
신고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추후 김박사넷 게시판 서비스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IF뱃지가 일정 개수 이상일 경우
닉네임 수정이 가능합니다.
회원 프로필 완성 후 글쓰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완성하기
댓글 10
Renato Dulbecco (작성자)
2021.01.14
학사 석사 다 포함 그 분야에서
대댓글 0개
Mary Wollstonecraft
2021.01.14
그걸 누가알어 ㅋㅋㅋ
대댓글 0개
Octavio Paz
2021.01.14
아니 서포카나온거랑 해당 분야에서 영향력이랑 뭔상관입니까 도대체. 질문수준이..
서포카 박사나온사람들 중 해당분야에서 영향력있는 사람들이 많을뿐이지
대댓글 0개
Tintoretto
2021.01.14
지방대생 궁금해여?
대댓글 0개
Christiaan Barnard
2021.01.14
간판은 직접적인 상관 관계를 갖지 않음. 간판이 좋으면 연구환경이 좋은편이고 성과가 잘 나올 확률이 높을뿐 그 이상 역할은 안함. 학부가 서울대건 지방사립대건 대학원이 설카포건 본인이 개죽쑤면 그냥 시간 돈 낭비한 물박사 되는것뿐.
그리고 학 석 박 모두 커리어상 지향점이 달라 포함하고 나발이고 서로 별로 상관 없음.
학사가 박사보다 하등하고 박사가 학사보다 상위의 뭔가라고 생각하는거면 말도 안되는 거임.
같은 박사중에서도 인더스트리로 가는 사람, 학계에 남는 사람으로 커리어 다 갈리고 그 중 분야 1퍼센트 내에 드는 사람은 손에 꼽힘.
대댓글 0개
William Makepeace Thackeray
2021.01.14
/Christiaan Barnard 이거 마따... 나처럼 SPK CS 인기랩 들어와도 물박사로 가는 길에 있는 사람도 있는데...ㅠㅠ
대댓글 0개
Renato Dulbecco (작성자)
2021.01.14
그건 나도 아는데 그냥 통계적으로 궁금해서
대댓글 0개
Fernand Braudel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01.14
그 분야의 지식을 기준으로 말하는거면 1퍼는 맞다고 생각함.
대댓글 0개
Georgia O'Keeffe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01.17
순혈 설포카면 대한민국에선 1퍼 이하 맞지
근데 학부가 쩌리면 1퍼라고 보기 어렵지
대댓글 0개
Galen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01.17
사스가 김박사넷ㅋㅋㅋㅋㅋ 뭐 질문도 못하노 인생쩌리들...
대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