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 컴과vs전전 어느 대학원이 더 경쟁률이 높고 합격하기 어려울까요?(인공지능 연구실 희망합니다)

2019.09.25

21

11480

먼저 저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개인정보는 자세히 공개하기 어렵습니다만

출신 학교 및 학과와 학점은 선배들에게 듣기로 서울대 대학원에 들어가기에는 좀 부족한 편입니다(아주 되도 않는 건 아니고요)

제목에 써놓았듯이 인공지능과 관련된 랩실에 들어가고 싶습니다. 인공지능 관련 전공 지식은 관심 많은 학부생의 수준 정도라고 생각하는데요. 웬만큼의 전공 용어는 이해하는 정도이고, 논문 하나를 한국통신학회에서 발표한 경험이 있으나 그다지 대단한 논문은 아닙니다

Coursera에서 인공지능 강의를 수강 중이고 서류지원 전까지 두개의 강의 수료증을 받아 자료로 제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제 본론을 말씀드리자면,


인공지능 관련 연구를 하고 있는 연구실은 서울대 컴공과 전전 모두에서 찾을 수 있는데, 어느 학과가 학점 컷이 더 높은지 알려주실 수 있는 분 계신가요? 위처럼 애매한 학점과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학점컷이 낮은 학과에 지원하고 싶어서 입니다. 그리고 한시 바삐 컨택 할 연구실을 정해야 하는데 공식 사이트들을 둘러봐서는 뭐가 뭔지 잘 모르겠어서 연구실의 실적을 비교하기가 쉽지가 않네요. 김박사넷의 통계에 의존해도 괜찮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Barbara W. Tuchman*

2019.09.25

인공지능은 인기가 많아서, 서울대 자대생들이 이미 컨택을 해 두어서 카이 합격할 수준이 아니면, 타교생이 가기 어려운 것이 냉정한 현실입니다
Barbara W. Tuchman*

2019.09.25

컴공, 전전 모두 서울대 자대생들이 몰립니다
Barbara W. Tuchman*

2019.09.25

인공지능은 서ㅇ
Barbara W. Tuchman*

2019.09.25

인공지능은 서울대 (전전: 이경무, 한보형, 컴공; 김건희 교수님)가 국내 top 이고, 카이는 그 아래입니다
Barbara W. Tuchman*

2019.09.25

현재 카이는 인공지능 분야에 저명한 교수님이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논문 실적을 보면 서울대 아래입니다
Barbara W. Tuchman*

2019.09.25

카이가 좋은 공과대학이지만, 당연히 모든 학문 분야에 국내 top 이 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

2019.09.25

카이에 인공지능 분야에 저명교수가없다구요? 신진ㆍ양은호ㆍ황성주 교수님등을 비롯해서 우리나라 최고의인 공지능 연구 교수님들 여럿 계십니다
Barbara W. Tuchman*

2019.09.25

논문 실적을 보세요. 저명 논문이 얼마나 되는지..
Barbara W. Tuchman*

2019.09.25

기계학습 분야로 한정하면, 카이 별 볼 일 없습니다.

IF : 1

2019.09.26

카이가 별볼일이 없다뇨 ㅋㅋㅋ 위엣님이 쓰신 서울대 교수님 이경무, 한보형 교수님 연구실 가봤는데 거긴 인공지능이라기보다 컴퓨터 비전랩이라고 봐야하고 김건희 교수님 정도가 진짜 인공지능 전공이신거 같던데요. 그리고 카이 신진우 교수님이나 양은호 교수님 인공지능 논문 실적보면 미친 수준입니다. NIPS oral paper 국내 최초 발표가 카이에서 나온건 알고 떠드시는건지 ㅉㅉ
Barbara W. Tuchman*

2019.09.26

ㄴ 인공지능을 너무 좁게 보는 것 같군요. NIPS 보다 IEEE T-PAMI 논문이 내기 더 어렵습니다.

IF : 1

2019.09.26

탑을 달리고 있는 구글, U.C 버클리랑 스탠포드 인공지능 연구실등에서는 저널 논문 몇 편 내고 있나요? 최근에 튜링상 받은 힌튼교수나 벤지오 교수는 T-PAMI 주저자 실적 몇개 있나요? ㅋㅋㅋ 인공지능 논문들 속도전 싸움이라 무조건 학회 우선이고 심지어 요즘은 학회도 너무 늦다고 아카이브 부터 내는게 대세가 되었습니다. 탑티어 인공지능 연구자들 기준으로 저널은 '못' 쓰는게 아니라 '안' 쓰는 겁니다.
Barbara W. Tuchman*

2019.09.26

ㄴ 솔직해지십시다. 안쓰는 것이 아니라 못쓰는 겁니다. NIPS, ICML 등의 학회 논문을 잘 모아서 완성도 있는 논문이 IEEE T-PAMI, IJML 같은 저널로 갑니다.
Barbara W. Tuchman*

2019.09.26

IJML 은 오타입니다. JMLR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http://www.jmlr.org/) 로 수정합니다
Pythagoras*

2019.09.27

ML분야 탑 컨퍼런스 양대산맥은 NIPS랑 ICML입니다. 그것도 요즘은 일단 arXiv부터 내놓고 시작합니다. 저널은 아무도 안 쓴지 오래이고, 서울대 카이스트 모두 탑 컨퍼런스를 졸업요건으로 인정해 줍니다. 두 컨퍼런스 기준으로 서울대나 카이스트나 비슷한 실적을 냅니다. 위에 언급한 카이스트 교수님들 모두 아주 productive하신 분들이구요. 추가로 S대 (SNU가 아닌) M교수도 그에 뒤지지 않을 정도의 실적을 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컴퓨터 비젼은 ML의 한 분야이고 S대 김, 한교수 모두 원래 비젼하던 분들이고 지금도 ICCV, CVPR같은데 계속 내고 계십니다. 양자를 나누는건 의미가 없습니다.

참고로 ML전공한 현직 교수이고 위에 언급한 분들 대부분 개인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Niels Ryberg Finsen

IF : 1

2019.09.27

갑자기 댓글이 컨퍼런스 vs 저널 토론이 되어버렸네요. 개인적으로는 나라 별 선호도도 갈리고, 딱히 어느쪽이 더 좋다 말하기도 애매한 것 같습니다. 대체적으로 중화권에서는 저널에 훨씬 더 힘을 쓰고, 미국의 기업이나 연구소 등은 컨퍼런스에 더 힘을 실어주는 것 같습니다. 서울대도 딱 집진 않겠지만 최근년도 실적 중에는 1~2건 빼고는 컨퍼런스밖에 없는 곳도 있구요. (연구실 규모나 이전 실적을 보았을 때 저널을 못 낸다기보다는 컨퍼런스 쪽으로 집중하는게 눈에 보입니다.)

카이 같은 경우는 ICML이나 NIPS 쪽 랭킹에 항상 상위권에 들어가며, 서울대는 비전 쪽이 지나치게 중심이긴 하지만 전체 AI로 따져도 실적을 딴지 걸 수 없을 정도로 굉장히 훌륭한 곳입니다.

2021.08.08

아니 ㅋㅋ 카이 까내린다고 서울대가 좋아지나요
Barbara W. Tuchman씨 대학원생 아니고 학부생이시죠?

2021.08.24

아니 ㅋㅋ 벤지오도 닙스와서 컨퍼런스 수준 떨어졌다고 ㅈㄴ 욕했자나.. 학회뽕맛에 취한분들 많네; IEEE T-PAMI은 솔직히 넘사벽이지

2021.08.24

탑컨퍼런스: 단순 퍼포먼스 싸움, 어플리케이션 속도 싸움 // 탑저널: novel technique 로 보는게 일반적이고 예외는 있음 ^^ 그리고 요즘은 탑컨퍼런스 레드오션이 되버려서 큰게 안나옴 ㅋㅋ

2021.08.24

AI탑컨퍼런스들 IF 4점따리로 못박힘 공식화되서 한국연구재단 정부과제, 학교에서 쓰이고있음. 참고하셈. 자꾸 4점따리로 17점따리 IEEE T-PAMI 비비려고 하지마셈. 님은 4점따리 수준인건데 자꾸 17점따리랑 어깨동무하려고 하네;

2021.08.26

적어도 제가 아는 탑 10위권 미국 랩실들에선 T-PAMI 보다 NeurIPS / ICLR / ICML / CVPR / ICCV / ECCV / EMNLP가 더 높게 처 줍니다.
T-PAMI는 저 탑 컨퍼에 먼저 제출 한 뒤에 조금 다듬어서 저널편으로 확장해서 제출하는 느낌이 강해요 (IJCV처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