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박에 33살이면 군필이라는 가정하에 학석박,군대,유학준비 모든걸 딜레이 없이 착착 다 해야 나오는 나이인데. 이 나이가 늦어서 까였다고? 게다가 그 글쓴이처럼 자연과학전공이면, 오히려 빠른 것 같은데.
그냥 국내 연구소 무시하려고 지어낸 이야기 아님?
정보 얻으러 왔다가 오히려 햇갈리기만 하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0개
Thomas Hunt Morgan*
2020.12.09
33살이면 남들보다 1, 2년정도 늦은거죠. 물론 많이 늦은건 아니구요. 학부 4년 + 군대 2년 (요새는 1.5년) + 박사 5-6년 하면 30-32살엔 박사 나옵니다.
Hannah Arendt*
2020.12.09
음..자연과학은 5년은 거의 없고 국내박사 대부분 6~7년 걸려요. 해박도 마찬가지. 유학생들 기준으로만 치면 유학준비기간도 고려해야하고, 다이렉트박사가 아니고 국내석사하고 해외박사가면 더 걸리고요.
해외 군필 박사인데 30살에 받았다? 조기졸업같은거 없이정상적인 교육과정 거쳤다는 가정하에 군대갔다온 남자가 30살 이전에 해박 받는거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군대 1.5년이란것도 2018년도부터 점진적으로 줄어서 1.5년된건데 그 혜택 받은 애들이 박사받고 잡시장 나오려면 앞으로 최소한 10년은 더 있어야 하는데..
Hannah Arendt*
2020.12.09
위 댓글에 6~7년 걸린다는 건 석박통합으로 그렇다는 말.
Thomas Hunt Morgan*
2020.12.09
1. 7년이면 자연과학이어도 긴편입니다. 펀딩이 5-6년을 기준으로 잡혀있구요.
2. 유학 준비는 4학년 여름방학 2-3달이면 끝납니다.
3. 국내석사하면 당연히 더 오래걸리죠. 근데 요새 spk 에서 국석하고 유학가는 사람이 얼마나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저 글쓰신분도 국석하신분은 아니구요.
길고 짧다는게 주관적이라.. 이런 논의가 어떤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제 기준엔 그렇습니다.
2020.12.09
ㅋㅋㅋㅋㅋㅋㅋㅋ 국박 출신 만 35에 kriss 들어간 경우도 봤는데 무슨 ㅋㅋㅋ
Hannah Arendt*
2020.12.09
유학준비에는 영어뿐만 아니라 연구경력 및 각종 스펙준비도 포함됩니다. 학부 4년 학점 높은것만 가지고 탑 대학에 다이렉트 박사 상당히 어려워요. 모든게 다 완벽해서 26살에 바로 박사 간다고 쳐도 6년하면 벌써 32살이고요.
spk는 몰라도 제 학부 (yk) 에서는 석사 많이 하고 갔습니다.
google에 us phd 기간 검색해 보면 평균 6.5년 나옵니다. 사실 실험쪽에서는 6년 넘는 랩도 많습니다. 박사 끝나고 포닥갈때 준비때문에 더 추가되기도 하고요.
30-32살이 남성 평균이라는 건 좀 low bias 된 수치인것 같습니다. 오히려 여성분들 평균이 저정도라면 믿겠는데요.
Thomas Hunt Morgan*
2020.12.09
유학 준비가 대단한 것을 하는게 아니라 2학년때부터 학부 연구생 시작하면 총 3년 동안 연구실 생활을 하게 되는데, 그동안 필요한 논문 실적과 성과를 쌓는건 어렵지 않습니다. 다이렉트 박사 지원자들한테 엄청난 성과를 요구하는 것도 아니구요. 물론 저는 30-32살이 평균이라고 주장하는게 아니라 정석 코스를 따르면 그 정도에 박사가 나온다는 겁니다. 평균은 아웃라이어가 많아서 (대기업 오래 다니다가 뒤 늦게 박사 가는 경우, 적응 실패해서 7,8년 다니는 경우 등등) 훨씬 더 길겠죠.
Hannah Arendt*
2020.12.09
자구 딴지거는거 같아서 죄송한데, 정석 코스를 밟으면 벌써 32살이라 하는 말이에요.
또 다이렉트 박사는 석사 하고 박사 온 사람들에 비해서 약간 더 오래 걸리는 경향도 있고요.
제 주변 수학,물리,생명,지구과학,전컴,기계 이쪽으로 박사간 친구들 중에서 32세 이전에 학위 받은 친구는 군대 안가고 바로 온 친구밖에 없네요. 컴공이나 산공, 경영은 좀더 짧을 수도 있겠네요.
주변에 박사받은 친구가 많다고 하셨는데 김박사넷에서 취업 정보를 얻으러 오셨다는것도 신기하네요 ㅋㅋㅋ
Henryk Sienkiewicz*
2020.12.09
그냥 그 글쓴이가 좆병신에 인성 쓰레기임
지가 병신이라 면접에서 까여놓고 정출연 싸잡아 무시하고 한국 지방대 교수들 병신취급하고
ㅋㅋㅋㅋㅋㅋㅋㅋ
꼴 보니 한 10년쯤 여기저기 포닥 더 하다가 포기하고 테크니션이나 하면서 살 듯
Hannah Arendt*
2020.12.09
Thomas Hunt Morgan // 본인이 30-32살이라고 해놨잖아요. 왜 은근슬쩍 32살로 숫자 올리시는지?
그리고 친구 많은거랑 정보 알아보는거랑 뭔 상관인지. 님은 친구들 말 100% 믿고 교차검증 안하나요? 정보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거지.
혹시 님이야 말로 그 전 글쓴이 아닌지. 탈퇴하고 재가입하셨음? 한국남자 그것도 해외박사 평균이 30-32살이라면서 공포분위기 조성하는거 보니 그 글쓴이 같아 보이는데.
Hannah Arendt*
2020.12.09
Henryk Sienkiewicz //
정출연 면접 본것도 아니고, 그냥 공포분위기 조성하려는 듯. 나도 까였으니 니들은 어림도 없다 이런식으로. 그냥 학부생일지도 모름.
Thomas Hunt Morgan*
2020.12.09
평균이 30-32살 이라고 한적 없구요. 제 주변은 정석코스가 32고 중학교, 과고 조졸인 경우 혹은 박사가 5년만에 끝난 경우를 포함하여 안전하게 30-32살이라고 한겁니다. 왜 자꾸 트집잡으시는지 모르겠네요. 32살은 30-32살 범위가 아닌가요?
Hannah Arendt*
2020.12.09
에휴 그러니까 그게 low bise 된 경우라고요.
과고 조졸에 박사 다이렉트, 게다가 박사마저 4.5-5년만에 받아버리는 케이스는 고려하면서 반대로 유학준비 1년 더 하거나, 재수나 휴학 했거나, 군복학 꼬였거나, 박사 다이렉트로 안하고 석사하거나 하는 케이스는 다 무시하고 30-32라고 band 를 잡아버리니 이상해 보이죠.
그리고 박사받고 바로 회사갈거 아니면 실적 필요해서 평균 기간보다 더 잡아야 합니다. 탑대학일수록 학위 그렇게 4-5년만큼 빨리 안 주고요. 펀딩이 5년이라도 extension 할 수 있는 fund는 다 갖고 있습니다. 펀딩없다고 빨리 졸업시켜주는 랩은 top20 이내에는 별로 없어요.
Hannah Arendt*
2020.12.09
위에 bise -> bias.
Hannah Arendt*
2020.12.09
다이렉트 박사 지원자들한테 엄청난 성과를 요구하는 것도 아니구요.
--> 어느정도 대학을 염두해 두신건지 모르겠지만. top10은 물론이고 top20 안으로 가는 사람들 연구경력 꽤 없으면 힘들어요. 추천서는 어떻게 받나요?
top10으로 한정하면, 동부 Y대에 direct로 간 친구 하나가 PRB 1저자 들고 있었고, H대 간 같은 연구실이었던 학생은 PRA 하나 1저자로 서밋한 상태였습니다. 이 외에도 학부생때 논문쓰고 간 경우 요즘 꽤 많아요. S대 모 광학 연구실에는 학부생이 PRX 쓰고 서부쪽 탑 학교 간 경우 최근에 있습니다. 요즘 스펙 인플레 장난 아니고, 그나마 한국이 이정도고, 중국애들 지원서류 보면 기절하실듯.
ㄴ 그럼 과고조졸은 정석코스인가요? 자기 유리한대로 해석하는군요. 그런 논리로 논문은 어떻게 쓸런지. 딱 봐도 유학 지원도 안해본 사람 같은데 시간낭비했네.
Thomas Hunt Morgan*
2020.12.09
지금 시간에 깨어 있는걸 보시면 아시겠지만 서부 탑스쿨 박사 고년차입니다. 네 그럼 수고하세요.
Hannah Arendt*
2020.12.09
저는 지금 학위마치고 유럽에서 일하고 있어서 저녁인데 박사과정이라는 사람이 아침 9시부터 김박사넷에서 열일하시네요. 부럽습니다. 널널하게 박사과정해서.
Henryk Sienkiewicz*
2020.12.09
혜화동 과고 나왔는데 미박을 30-32살에 딴 남자는 본 기억이 없는데
울학교는 공대박사도 6-7년씩 하는 경우가 보통이었고
Henryk Sienkiewicz*
2020.12.09
해박은 당연히 이거저거 감안해서 국내 전문연 박사보다 나이많아도 아무도 신경 안 쓰는데
대체 말도안되는 소리 퍼트리는애 정체가 뭐임?
IF : 1
2020.12.09
그 분 글 저도 봤는데 박사를 받았는지조차 의심되는 분이었습니다. 박사 이미 받으시고 자리 잡은 분들은 알겠지만 커뮤니티에 글 쓸때 조심해서 씁니다 (아무리 익명이라도). 나중에 어떻게 돌아올지 모르니까요. 말의 내용은 공격적일지 몰라도 욕설을 함부로 내뱉지는 않아요. 하이브레인넷 가보시면 느껴질 겁니다. 서로 싸움은 하더라도 최소한의 예의 (x발, 개x <- 이런 표현 사용 안함) 는 지키는 편이죠.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09
2020.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