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lumni가 좋은건 어떤기준을 말하는건가요?

2022.09.21

23

1747

제가 지금 인턴하고있는 랩실이 모두 S전자를 가셨길래 alumni가 좋다고 생각하고있었는데

얼마전에 여기에 글을 쓰니까 그게 뭐가좋은거냐고 그게 좋은거임? 이러셔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2.09.21

교수임용이나 정출연 or 해외 빅테크 취업 현황이 더 급이 높죠

2022.09.21

과마다 달라요. 그리고 대부분 박사들이 삼슼현 이상 가는 곳이면 충분히 좋다고 소리 듣죠. 포닥하기 싫고 빨리 돈벌로 나가고 싶어서 교수는 시도조차 안하는 경우가 많아서 실적 좋고 오래된 렙도 취업잘되는 분야면 알럼나이에 교수된 분들 많이 없는 경우도 많아요.

2022.09.21

삼전은 학부생들도 가는 곳인데 그게 뭐가 좋다고..
그냥 석박사 때 논문 못 쓰는 애들이 가는 곳이에요

대댓글 1개

2022.09.21

이런 애들이 막상 실적 까면 아무것도 없더라 ㅋㅋ

IF : 5

2022.09.21

자기가 가고 싶은 진로에 있는 선배가 많으면 좋은 곳입니다.
약삭빠른 프랜시스 베이컨*

2022.09.21

상위권 연구실들에게 삼전은 사실 외국계 다 떨어지면 그냥 보험식으로 가는 곳이라…
무심한 노엄 촘스키*

2022.09.21

까놓고 말해서 고졸, 학부생들도 가는 삼전을 박사 6,7년 개고생해서 가고 싶은 사람이 많겠어요..? 물론 직급의 차이는 있다지만ㅋㅋ 냉정하게 말해서, 박사 받고 대기업 가는 80% 이상은 연구 성과가 안좋았거나 연구가 적성에 안맞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대댓글 5개

2022.09.21

근데 궁금해서 그러는데요. 고졸로 삼성가는 사람들은 가서 머하나요? 오랫동안 근무하나요?

2022.09.21

삼성은 무노조라 모르겠는데, 노조있는 다른 대기업들은 고졸 생산직은 노조라 정년 다 채웁니다. 가방끈 길수록 고민많고요. 회사 좀 다녀보면 생각 많이 바뀌실겁니다.

2022.09.21

어느정도 위치에있는분인지 모르지만 현재 트랜드를 아예 모르시네요.
정출연(ETRI)랑 삼전이랑 책임급으로 볼때 연봉차이가 얼마나 나시는지아시나요? 처음들어갈때도 수당들 모두 더한값 비교해도 4-50%정도 나는데, 연봉격차는 연차쌓일수록 더 커집니다.
최근 etri같은곳도 중간이직도 많은편이에요. 후배들보면 이제는 예전처럼 무조건 교수/정출연 선호도가 무조건 높고 사기업가는사람들은 실적나쁘고 그런시대가 아닙니다.

2022.09.21

참고로 4-50%는 선임급이고, 책임급되면 2배이상 차이납니다.
아무리 본인이 연구가 너무 좋고 워라벨이 중요하다고해도, 연봉이 2-3배 차이나면 누구든 고민하게됩니다.
약삭빠른 프랜시스 베이컨*

2022.09.21

정출연 선호도 낮아진거 팩트 맞고, + 박사 받고 대기업 가는게 쉬운건 맞지만 가는 사람들이 연구 성과 안좋았다거나 실적 하위권이라는 건 ㄹㅇ 개쌉소리임. 성과 존나 좋은 사람도 대기업 그냥 대기업 가는 사람 많고 오히려 교수 하고 싶고 한 사람이 소수임. 자기 하고 싶은 거 하는거지 뭔 판검사 변호사도 아니고 실력따라 어디가네는 ㄹㅇ 개병신소리인듯. 삼전은 고졸이랑 학부생이 들어가서 하는 일이랑 박사후 과장으로 들어가서 하는 일이랑 아예 다름. 구분이 다름. 그게 같다고 하는 건 대학교 청소하는 정규직 청소부랑 테뉴어 받은 교수랑 똑같다고 말하는거랑 다른 개 없음.

2022.09.21

본인 대학원 목적에 따라 사기업, 교수, 정출연 배출 인원을 보시면 됩니다.
다만, 교수, 정출연은 해외 유학가기전에 교수는 포닥,연구교수, 정출연은 반년에서 1년 정도 계약직으로 있다가 가는 경우가 있어서 잘 확인하셔야... Status를 업뎃안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ㅋ

2022.09.21

자기가 가고 싶은 곳으로 많이 보낸게 좋은거죠
일반적으로 얘기하면 최상위권 대학원에서 삼전은 보험입니다.

2022.09.21

예전이면 사기업선호도가 정출연/교수직에 비해서 많이 떨어지는건 사실입니다.
막말로 윗분말대로 웬만한 spk중 잘굴러가는 연구실에서는 학생들마다 '연구적성 안맞는데 워라벨챙기면서 실적 적당히쌓고 삼전이나 가야겠다' 라는 느낌이였습니다.
근데 현재는 정출연과 사기업간의 연봉격차가 많이 커지면서, 꼭 실적안좋은사람들이 사기업가는건 아닌것같네요.
아직까지 KIST/KIMM같은곳은 선호도가 괜찮지만, ETRI만해도 삼전으로 중도이직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난이도로 볼때는 교수임용이 월등히 어렵기때문에, 교수임용이 많은 연구실이 평균적으로 연구실적도 괜찮고 alumni의 진로도 괜찮다고 생각하는것같습니다.

2022.09.21

몇분들이 말씀하신것처럼, 최근 몇년간 선호도가 많이 바뀐것 같습니다. 교수는 버티고 있습니다만, 저희 과에서는 '박사졸업하고 그돈받느니 사기업가서 대우받는게 낫다'면서 삼슼현가는사람 수두룩합니다

대댓글 3개

2022.09.21

그리고 대기업 연구소들이 기를쓰고 수도권에 머무르려고 하는 반면 정출연들은 좋아야 대전이고 오창 창원 정읍에 박혀있는 곳들도 수두룩하니.. 수도권 선호 분위기와 맞물려 사기업 선호도가 지금은 높은편입니다

2022.09.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교 어디신가요?

2022.09.22

K입니다만 과바과라 생각되네요

2022.09.21

대기업 원하는 사람은 작성자분의 랩실이 좋아보이는거고 교수나 정출연 원하는 사람은 안좋겠네요.
각자 어떤걸 원하는지 잘 생각해보는게

2022.09.21

하이브레인넷에 최근에 S에서 수도권 정출연으로 옮겼다는 글이 올라왔음. 교수, 정출연 위상이 아무리 낮아졌어도 삼전보다는 위라고 생각함. 참고로 S DS 부문 잘나가는 사업부 뿐만 아니라 S연구소들에 연구실 선후배들 많고 적어도 주변 지인중에 조금 실적이 있는 사람들은 다 나와서 교수 혹은 정출연 가고 싶어하고 실제로 나온 사람들도 많음.

대댓글 2개

2022.09.21

결정적으로 S와 포닥을 고민하고 있을때, S에서도 어느정도 위치에 있는 내가 아는 모든 선배님들이 S도 요즘 많이 좋아졌지만 일단 할수있는거 다 해보고 안되면 S 들어오라고 했음.

2022.09.21

22 합격하고 안가는거 아닌 이상 저 포도는 신포도일거야 그거죠.. 회사 가시는 분들 대부분은 교수 정출연 지원해도 안됩니다. 회사 다니다 밤새면서 논문쓰고 학교 연구소로 나가려는 분들 수두룩빽빽한데.. 다른 이유가 아니고 돈 몇푼 더 벌자고 사기업 가는 분들은 박사를 하지 말았어야 한다고 봅니다. 학사로 바로 회사 가도 어차피 같은 나이면 비슷한 직급, 연봉이 되는데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