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사립(조선, 원광) 3학년이고 학점은 4.47/4.5입니다. 자대 인턴 3개월, 뉴텝스 500초반인데 ai대학원 진학을 하려고합니다. 서울대 카이스트 랩실들을 찾아보고있는데 이쪽에서 인턴하고 진학 가능할까요? 아니면 yk ist에서 인턴하고 진학하는게 더 현실적일까요
그리고 괴수랩은 진학하고 싶지 않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6개
씩씩한 피보나치*
2022.07.23
SK 인기랩은 어렵지 않을까요?
대댓글 1개
2022.07.23
아무래도 그렇겠죠? Sk인기랩 말고 적당한 랩실도 좋을것같은데 학부가 너무 안좋아서 될지 모르겠네요
2022.07.23
학부가 너무..
2022.07.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돈 드는것도 아닌데 걍 다 찔러봐요.
님 PR 잘해가지고, 얻어 걸리면 개꿀이지 뭐
낙천적인 아리스토텔레스*
2022.07.23
ist나 상위 지거국은 인기랩 가능
yk 부터는 힘들듯
편입도 고려해보시면 좋을 듯
대댓글 2개
2022.07.23
Yk가 ist보다 가기 힘드나요?
낙천적인 아리스토텔레스*
2022.07.23
연고는 케바케지만 기타 스펙보다 학벌을 더 봐요
ist는 연구경험이나 기타스팩도 많이 봄니다.
그래서 타대출신들도 학부 다양하고요
시끄러운 그레고어 멘델*
2022.07.23
Ai면 인기랩은 자대출신 아니면 자리가 없어요
윗님 말처럼 편입해서 자대가거나 부경 정도 지거국이 현실적인거 같아요
아직 젋으니깐 편입준비 하시는것도 좋아보여요
대댓글 1개
2022.07.23
편입도 생각해봐야겠네요..
2022.07.23
SKP는 거의 불가능이고 YKIST는 인기랩 빼고는 가능할듯
대댓글 1개
2022.07.23
희소식이네요
선량한 막스 베버*
2022.07.23
yk는 어렵고 ist 등등은 쉬울듯
2022.07.23
솔직히 서성한도 어려운게 사실임
우리랩도 그리 인기많은건 아닌데도 교수님이 직접 인서울 하위나 지거국 미만은 메일 읽씹한다고 하심
교수입장에선 솔직히 처음 들어본 학부일 수도 있어서 편입이라도 하는게 좋을듯
대댓글 1개
2022.07.23
편입.. 제 모교에 정이있고 이 학교를 빛내고싶다는 생각이있는데 고민이네요
하라면 충분히 가능은 할것같습니다
2022.07.23
석사는 일단 지거국으로 먼저 가보세요. 이정도면 별 거 아닌데 싶으면 그때 박사를 더 높게 잡아보시고
대댓글 2개
2022.07.23
지거국은 아쉽긴한데 고민해보겠습니다
2022.07.25
본인 학부를 생각해요 지거국 ai도 감지덕지임.. 뭐가 아쉽다는거지
2022.07.23
아직 3학년이면 일본이라도 고려해보시길
2022.07.23
다른걸 떠나서 뉴텝스 500이면 겁나 높은거아님? 나는 서카포 인턴 등으로 다 있어봤는데 뉴텝스 500이면 거기서도 상위 10퍼쯤 될껀데 ..
대댓글 4개
2022.07.23
안시켰는데 영어로 면접보고 이러면 ksp도 가능할듯? ㅋㅋ
2022.07.23
뉴텝스는 530점대고 영어회화 원어민 수준으로 가능합니다. 이걸로 제 안좋은 학부를 커버할 수 있을까요?
2022.07.23
원어민 수준이라 .. 포스텍은 영어로 말할 기회가 없고, 카이 설대에서는 저라면 걍 영어로 면접 답변할 듯 ㅋㅋ 특히 설대는 ai를 제외하면 서류 탈이 없어서 면접에서 더 만회가능
2022.07.23
영어실력 물론 중요한데 학부때부터 대학원까지도 외국인도 많이 봤고 미국같은 영어권 국가에서 10년 가까이 살다온 애들 많이 봤는데 대학원에서 제일 중요한건 전공실력이죠
영어 잘한다고 뽑을거면 한국인들 극소수 뽑고 파키스탄 인도 이런 나라 애들로만 다 채워야되는데 정작 한국에 온 영어 잘하는 사람들 보면..음..길게 말 안해도 다들 공감하시리라 봅니다
영어는 사실 합격기준 중에 선순위로 따졌을때 결격 사유수준만 아니면 된다고 봅니다 영어 실력 잘할수록 당연히 좋은게 맞는데 논문만 제대로 읽을 수 있을 정도면 석사생 뽑는데에 큰 의미를 두진 않죠 다른 스펙이 훨씬 더 중요하죠
팔팔한 장자크 루소*
2022.07.23
Spk 4년 다니면서 과 막론하고 조선, 원광에서 오신분을 단 한번도 본적이 없어요. 아마 yk가 현실적이지 않을까 싶네요.
2022.07.24
근데 디스하려고 하는 말이 아니라 댓글보다 보니깐 영어는 원어민 수준에, AI를 하고 싶다는거면 적어도 학부 딥러닝 수업에서 기본적으로 배우는 수학적인 내용 정도는 이해했을거라 보는데요 얼마나 깊게 이해했는지는 몰라도 대부분 처음 배울때 이해하는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한건 자명합니다 근데 어떻게 학부가 원광 조선대이신지가 더 궁금하네요 그 학부를 잘몰라서 학점을 얼마나 따기 어려운지 모르겠지만 4.47이면 입학했을때부터 동급생들보다 열심히 한거일텐데 아쉽지 않나요?
글이랑 댓글에 드러난 바로는 영어는 원어민급의 수준급 실력에 수학은 평타 이상치는 듯하고 나머지를 적당하게만 해도 수능을 다시쳐도 서성한 정도는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3학년이면 23~24살 쯤일텐데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편입말고 수능을 다시 치는게 어떨까 진심으로 권해봅니다 서울대나 카이스트를 가고싶어할 정도면 자기 실력에 자부심이 있는듯한데 영어가 정말 원어민 급에 수학은 그정도면 적당히 공부하고 나머지 과목 좀 투자해서 학부를 서성한정도는 오는게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더 높아보이네요 아무리 실력위주의 사회로 바뀌었다고는 하지만 학부 꼬리표 정말 지겹게 따라오긴합니다 우스개 소리로 저희학교 학생들이 대원외고 민사고 이런데보다 서울대를 더 많이 간다고 할정도인거 보면 학부가 어디인지가 본인이 생각하는거보다 매우 강력한 영향을 가진다는걸 다시 한번 고려해보시면 좋겠네요
대댓글 1개
2023.02.20
제가 이 글을 오랜만에 들어왔네요.. 조언 감사드리고 저도 편입의 필요성을 느껴 이번에 yk 서울캠 컴과로 편입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학부 덜보는 외국으로 가고싶다는 생각도 드네요
2022.07.24
연구실적 더 따서 미국 석사가는게 나을수도, 한국은 너무 학교 이름에 집착하는듯
대댓글 2개
2022.07.25
다른 나라도 정도만 완화됐지 학교이름 보긴함. 글쓴이가 연구실적이 없고 국내 지거국 대학원도 어려운데 어떻게 유학을 감.. 석사면 캐시카우라 쉽지만 ai 미국석사는 요즘 박터짐
2022.07.25
*연구실적 더 따서 안보임? 실적없으면 힘들겠지. 컴공이나 데이터사이언스라도 들어가는게 나을수도. 일단 들어가면 연수할수잇으니
2022.07.24
유럽 일본 북미 같은데 가는것도 좋아보이네요 한국은 학교이름 볼 수 밖에 없어서
대댓글 1개
2023.02.20
그래서 올해에 연고대 편입은 성공했지만 북미 대학원도 생각중입니다
2022.07.24
영어는 걍 커트라인만 넘기면 되는거라 그닥 메리트는 없고. 자대 인턴 3개월..이것도 별로임. 인턴 기간이 짧아도 너무 짧음. 자대 인턴이여도 6개월 이상은 해야 인정받을까 말까한데...인턴해서 논문을 썻다던가 어디 자율주행 대회 나가서 입상을 한 수준인거임? 이정도 아니면 의미없음. 객관적으로 서성한 인기랩도 힘들거같네요. YK도 지금 ai연구실들은 몇년치 애들 이미 다 뽑아놓은 상태입니다..
2022.07.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댓 읽어보니까 그냥 작성자 본인이 눈만 높은듯
2023.02.20
저랑 비슷한 길을 걸어왔네요 (학부 라인 동일) 저는 학사취업과 대학원 진학이 어떻게 될지 몰라 지거국 동일계로 편입했습니다 편입한 대학 대학원 진학하시는 선배님들 보면 SKP쪽 많이 뚫리는 모습이 보이네요 탑티어 대학원 희망하시면 편입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2.20
감사합니다 저도 연고대 동일과 편입 성공하고 오랜만에 들어왔는데 편입이 답이었던거같아요
2024.12.19
안녕하세요. 편입 축하드립니다. 작성자님의 굳은 의지와 멋진 실행력으로 모두가 힘들다 하는 길을 성큼성큼 가시는 모습이 참 멋지다는 생각이 듭니다. 혹시 현재는 어떻게 지내시는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2022.07.23
대댓글 1개
2022.07.23
2022.07.23
2022.07.23
2022.07.23
대댓글 2개
2022.07.23
2022.07.23
2022.07.23
대댓글 1개
2022.07.23
2022.07.23
대댓글 1개
2022.07.23
2022.07.23
2022.07.23
대댓글 1개
2022.07.23
2022.07.23
대댓글 2개
2022.07.23
2022.07.25
2022.07.23
2022.07.23
대댓글 4개
2022.07.23
2022.07.23
2022.07.23
2022.07.23
2022.07.23
2022.07.24
대댓글 1개
2023.02.20
2022.07.24
대댓글 2개
2022.07.25
2022.07.25
2022.07.24
대댓글 1개
2023.02.20
2022.07.24
2022.07.25
2023.02.20
대댓글 1개
2023.02.20
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