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9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대부분 맞는 이야기이긴 한데요.
조교수 랩에 대해 너무 긍정적인 이야기만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처음 셋업하는 랩에서 고생만 하고 졸업하거나 포닥 때는 좋은 논문 많이 낸 사람이 교수 임용 되고 본인 교신으로는 좋은 논문 못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신생랩 선호하지 않는 거고요.
결론은 일단 최근 퍼블리케이션을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그 랩 멤버가 일저자, 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만 봐야하고,
랩 멤버 수 대비 논문 양과 질이 괜찮은지,
좋은 논문들이 한 두 명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쓰는지 보면 됩니다.
결국 대부분 멤버가 좋은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랩에 가면 본인도 그렇게 되고요. 그 중에서 많이 가르쳐주고 챙겨주는지 자유방임인지는 면담 때 파악하고 본인에 맞춰 선택하면 됩니다.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1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1
대학원 재수 vs 취업
2020.08.10

안녕하세요. spk 생물 관련 과에서 4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이번 여름까지 학부생 연구실습을 했는데, 실습을 한 연구실에서 TO가 다 차서 대학원생을 받기 어렵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내년 2학기 후기 입학도 불확실하다고 말씀하시더라구요. 후기 입학이 가능한지는 올해 겨울에 답변해주실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다른 연구실을 찾아봤는데, 제가 관심있는 분야를 다루는 연구실은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딱 한 군데 찾았는데 괜찮은 연구실인지 확신이 잘 안들더라구요(아직 컨택은 안해봤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세 가지 방법을 생각해보았는데,
1. 내년 2학기에 지금까지 실습을 한 연구실에 다시 지망한다.
2. 취업준비를 한다.
3. 확신이 잘 안드는 다른 연구실에 컨택해서 내년 1학기에 입학한다.
이 세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이 가장 나을까요...? 개인적으로는 이 분야의 연구를 하고싶은데, 내년 2학기 입학도 불확실한데다가 현재 나이가 24여서(중간에 휴학을 했습니다) 살짝 늦은 감이 있는 것 같아 매우 고민됩니다...
올해 2학기에 들어야 하는 학점이 18학점인데, (학점챙기기 + 졸업논문 + 취업준비or연구인턴) 이 세 가지를 병행하기에 무리가 있을 것 같아 차라리 내년 가을졸업을 목표로 하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구요.
혼란스러운 심경에 글을 써서 그런지 중구난방한 글이 되었네요... 그럼에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원 진학 vs 취업 김GPT 2 9 8565
대학원vs취업 김GPT 5 9 3938
학사취업 vs 석사학위 김GPT 0 4 12593
서울대 대학원 진학 vs 취업 김GPT 4 6 5879
학사VS 석사이상 김GPT 0 16 3277
대학원 vs취업 꼭꼭 조언부탁드립니다 김GPT 0 5 7658
님들 대학원 진학 vs 취업? 김GPT 1 5 5348
대학원을 가는게 맞는걸까요? 김GPT 1 7 1574
대학원 진학하는 게 맞을까요? 김GPT 3 1 2496-
157 32 41896 -
302 33 82655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73 18 3258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0.08.11
2020.08.11
2020.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