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는 대부분 좋게 왔습니다. 점수도 준수하게 나오고 누가봐도 충분히 어셉될만한 점수가 나옵니다.
그런데 항상 최종에선 리젝을 당합니다.
교수님은 '이번에는 정말 붙었다. 너무 걱정 마라' 라고 하시는데 계속 떨어집니다..
다들 운이 없어서 그렇다는데 정말 이게 운이 없어서 그럴까요..?
대체 뭐가 문제일까요..?
이젠 점수가 잘 나와도 전혀 기대가 되지 않습니다.
연구가 정말 좋아서 대학원에 진학했고 연구가 정말 즐거운데
계속 리젝만 당하니 정말 이게 제 길이 맞는건가 싶습니다.
저보다 연구 늦게 시작한 주위 친구들도 논문 잘 들 어셉되는데 지금까지 논문 하나 어셉되지 못하니 미치겠네요.
아무리봐도 충분히 붙을만한 논문들이고 정말 누구에게도 부끄럽지 않을 노력을 했다고 생각하는데..
노력을 하면 할수록 불행해지는 기분이네요
대학원 그만두는게 맞을까요..
너무 우울해서 한풀이 글을 써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02.27
혹시 분야가 어디쪽이신가요?
대댓글 3개
2025.02.27
Ai 입니다..
2025.02.27
저도 주니어 대학원생이라 제가 조언할 위치는 아니다만 제 생각은 이렇네요. 어떤학회가 목표이신지는 모르겠으나 ieee access 같은곳에 우선 던지고 머리를 좀 비우시고 (이전 연구들로 받았던 스트레스를 좀 내려놓으시라는 얘기입니다) 새로운 주제를 잘 잡아서 빌딩을 해나아가면 어떨까요? 주제가 바뀌면 연구에 정이 떨어지다가도 다시 흥미나 열정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어쨌든 좋은 학회가 아니더라도 논문을 작성하고 완성해본것만으로도 이후 연구에 충분히 도움이 될테니까요. 정 안되면 제가 선배중에서는 리젝된 이후에 아카이브에만 올리고 그냥 해당 연구는 손놓고 다른거 다시 해서 cvpr 낸 선배도 봤습니다. 리젝이 되면 심적으로도 힘들지만 그또한 결국 이겨내야겠죠,,,다만 이게 운도 많이 작용되다보니 왜 남들은 탁탁 붙는데 나만 떨어지지 이런 생각이 안들 순 없는거같아요. 그래도 남과 비교하지말고 자기 자신과 싸우세요
2025.02.27
조언 감사합니다.
다만 지금 너무 많이 떨어져서 이미 아카이빙 해놓은 각기 다른 주제의 논문들이 너무 많네요..
정말 제 새끼들 같은 애들이고 정말 좋은 논문들인데.. 빛을 보지 못 하고 창고에 박혀있는게 너무 안타깝네요 ㅎㅎ..
IEEE ACCESS는.. 교수님께서 허락을 아마 안 해주실겁니다.
이런 푸념글에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2025.02.27
최종 이유가 technical 인가요 아니면 novelty인가요?
대댓글 3개
2025.02.27
테크니컬 때문일 때도 있고 노벨티일 때도 있습니다.
근데 웃긴건 한 번은 이전 리뷰에서 노벨하지만 평가 데이터셋 수가 적다고 리젝당했었던 논문을 리뷰대로 추가 데이터셋을 만들어 평가하여 보완 후 다른데에다 냈더니 노벨티가 부족하다고 리젝 당했습니다 하하..
2025.02.28
리뷰 리스폰스할때 포맷의 문제 아닐까요? 질문의 요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일목 요연하게 답변을 해야할 것 같아요. 왠만하면 토달지 말고, 전선을 넓히지 말구요. 그리고 질문에 대답을 해야합니다. (질문과 다른 얘기하면 안됨) 아래 포맷과 같이 워드로 30~50 페이지 정도 작성해서 보내보세요.
1. Reviewer Comment 2 : figure 1의 xxx를 고쳐라 2. Our response : Thank you for the valuable comment. We agree with the reviewer that xxxxxxxx. We modified the manuscript accordingly to address this issue. 3. Modification to the manuscript : We modified figure 1 and added additional paragraph, highlighted in xx color, to address this issue. (Page 4, line 21-25) “sssssssss” Modification to the figure1 (피겨 수정본 첨부)
2025.03.01
조언을 참고해 다음번엔 좀 더 잘 대응하도록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쁜 칼 세이건*
2025.03.01
정확한 상황을 모르니 정확한 답변은 받기 어려울겁니다. 저희 랩실에서 이번에 333 받은논문은 붙고 552 받은논문이 떨어졌습니다. 점수가 절대적이지 않더군요.
그리고 친구들은.. 이라는 얘길한거보니 주변과 비교하고 계신것 같은데 연구계에서 그런마음 갖고있으면 될일도 잘 안됩니다. 내가부족해서 떨어진거고 더 잘히기위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야하는데 주변과 비교하다보면 마음이 병들게되고 주변탓 내탓을 과하게 합니다. 냉정하게 뭐가 잘못된건지 성찰하고 다시 도전하시길.
기쁜 칼 세이건*
2025.03.01
그리고 리뷰 너무믿지마세요. 특히 ai분야는 전문성없는 리뷰어들과 과정생들 리뷰가 너무많아서 글쓰이님의 발전을 바라고 리뷰를 써주지도 않고 일관된평가를 받지도 않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3.01
남들에 휘둘리지 말아야하는건 아는데.. 머리로는 아는데 마음에서 잘 받아드려지지가 않네요. 그래도 저를 위해선 어떻게든 받아드려야겠죠..
리뷰는.. 다른 분야는 잘 모르겠지만 ai는 진짜 복불복같습니다. 선배들 중에 5년 동안 논문 못 쓰고 결국 자퇴한 선배가 있었는데 맨날 리뷰어 탓만해서 학부연구생 때는 선배가 이해가 안 갔는데 이제 이해가 잘 가네요 :)
2025.03.03
리젝이 계속되면 자존감도 많이 떨어지죠 그래도 교수님과 상의해서 논문 수정 보완하고 계속 도전해보세요
2025.02.27
대댓글 3개
2025.02.27
2025.02.27
2025.02.27
2025.02.27
대댓글 3개
2025.02.27
2025.02.28
2025.03.01
2025.03.01
2025.03.01
대댓글 1개
2025.03.01
2025.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