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5시간씩 실험해도 안지치고, 계속 발전할 방향이 생각나거나 하는 각성상태가 있잖아요. 여러분들은 그런 상태가 오면 끝날때까지 계속 연구에 몰입하시나요?
그런 상태가 오면 평소보다 늦게 퇴근하기는 하지만 12시 넘어서까지 연구하고 실험하지는 않는데 그 과정을 잘 붙잡아야만 좋은 결과가 나오는건지 해서요
밤을 새고 다음날 점심 이후에 출근해야할지, 적당히 컨디션관리하면서 페이스를 유지해야할지 참 어렵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12.1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니요. 학위는 마라톤입니다. 철저한 관리가 오래 지속적인 퍼포먼스를 내요.
보통 그런 각성상태에서는 특정 부분에 심취해 다른부분을 놓칠 확률이 높습니다. 메모를 해놓고 다음날 다시돌이켜보면 엉뚱한 실험을 한 경우가 많죠.
물론 어느정도 필요는 합니다만, 루틴을 깨면서 까지 할 필요 없습니다.
고수는 자기자신의 통제를 자유자재로 컨트롤 합니다.
2024.12.10
몰입이 좋기는한데 젊을때야 밤새지 늙어서 밤새면 일주일 내내 맛탱이가요..
2024.12.10
메모를 해두고 완전히 잊어버린 채 쉬고나서 다음날 다시 보면 더 좋지요.
2024.12.10
루틴이 없는 애들을 보면 대체로 깝깝해 보였습니다.
2024.12.11
케바케. 저는 루틴 깨지는게 싫어서 지키는 편인데 날잡아서 몰아치는 분도 있더라고요. 한 번 둘 다 해보시고 자기한테 맞는 방법으로 정해보세요.
2024.12.11
사바사입니다. 윗분 말슴대로 학위는 마라톤입니다. 새벽에 몰아치는 방식을 몇 년 간 지속하면서 효율 낼 수 있으면 그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보통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것이 문제겠지요. 만약 본인은 가능하다 하시면, 그 방법으로 연구하시는 편이 좋겠지요. 다만, 초기에는 교수님의 지도 방향이 맞추어 가시길 바라고, 추후 어느정도 실적을 낼 수 있음이 입증된다면 교수님과 이야기하여 작성자에게 효율 좋은 방법으로 연구하겠다 말씀 드리는게 좋겠습니다.
2024.12.11
저는 몰입할 수 있을 때 더 하고 싶어서 좀 더 하다가도 컨디션이 무너질 것 같으면 일단 끊고 쉬어요
2024.12.11
저는 연구실 생활을 오래 해서 그런지 몰입이 잘 될 때는 밤을 새기도 했지만 컨디션이 안 좋을 때는 몰입이 잘 안 되더라구요 그래서 컨디션이 좋을 때 몰입해서 밤을 새거나 실험을 많이 했습니다 지금은 박사논문 쓰는 중이라 컨디션이 안 좋든 좋든 무조건 몰입해서 밤을 새거나 실험을 많이 했습니다 ㅋㅋㅋ 어쨌든 졸업이 목표니까요 ㅋㅋㅋ
2024.12.10
2024.12.10
2024.12.10
2024.12.10
2024.12.11
2024.12.11
2024.12.11
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