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거국 재학 중인 졸업 예정인 학부생입니다. 내년에 대학원에 진학할 생각입니다. 둘 다 갈 수 있고 컨택도 마쳐서 고르기만 하면 되는 상황입니다.
1. 부산대학교 기계공학과 입자기반 시뮬레이션, 유한요소 시뮬레이션, 머신러닝 최적설계 연구실입니다. 신생 연구실이며 현재 대학원생이 없고 제가 처음일 예정입니다.
2. 충남대학교 선박해양공학과 전기추진선 동력 시스템 설계, 베어링과 같은 친환경 동력 시스템 설계 연구실입니다.
부산대의 경우 신생 연구실인 것과 입자기반 시뮬레이션과 같은 분야 취직에 대해 무지하여 괜찮은 분야인지 모르겠습니다. 부산대가 더 끌리기는 하나 분야와 연구실로 봤을 때 어디가 더 괜찮을지 말해주세요. (교수님은 두 분 다 좋으십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4.11.21
부산대 교수님 누군지 알겠네요 훌륭하시죠 시뮬레이션랩이면 신생랩이어도 셋팅이 많이 필요하진 않고 1년정도 지났으면 어느정도 준비돼있을겁니다. 과가 크게 중요하지는 않긴한데 굳이 부산대 기계 좋은 교수님을 두고 충남대 조선과로 가야되나 의문이네요 연구분야만 마음에 드시면 부산대 기계 추천드려요
대댓글 2개
2024.11.21
감사합니다. 입자기반 시뮬레이션 분야에 대해 잘 몰라서 전기추진선 동력 시스템 설계 분야보다 취직할 때나 매리트가 더 많을까요? 이 분야에 대한 랩실이 많지 않아서 회사 정보가 부족하여 고민이 됩니다.
2024.11.21
분자동역학으로 석사취업은 수요가 많지는 않아요. 석사 후 단순 취업을 원한다는 가정하에 전기추진선 동력시스템 vs 분자동역학 이라면 전자가 낫겠지요. 결국 동력시스템이라는게 선박만이 아니라 여러 곳에 적용이 되니까요. 근데 그분 분자동역학만 하는게 아니라 CAE과제도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석사 취업용으로 분자동역학을 전공하는건 추천드리지 않네요. 기계과 베이스로 기업수요가 많은 구조해석, 설계 생각하고 입학하신다면 후회할 수도 있어요.
2024.11.21
대댓글 2개
2024.11.21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