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연구 온다고하면 미국쪽 PI는 보통 어떻게 반응하는지 좀 궁금합니다. (BK연구단에서 지원해주고 초청하는 기관에선 비용부담이 없는 형식입니다.)
다녀오신 경험 있으시거나 미국 유학중이신 분들 조언도 환영합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4.10.11
1. 현 소속기관 지도교수의 의지가 중요함 2. 지도교수끼리 합의가 된것이 중요함. 3. 2번까지 완료가 된 경우, 현 지도교수를 참조로 넣으면서 메일을 보내면 됩니다. CV에다가 지금까지 이런이런연구 해왔고 이런이런연구 같이해보고싶다 등등을 보내면됩니다. 다만 이런이런 연구를 같이해보고싶다는건 1처럼 현소속기관 교수님과 상의해보시길.. 미국에서는 어차피 연구실에서 펀딩이 나가지 않는상황에서 해외인턴을 학생이 자유롭게 가는게 상당히 일반적이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그런문화는 조금 부족한것같습니다. 그래서 현 지도교수의 의견을 잘 듣고 조율해나가는걸 생각해보세요.
대댓글 2개
2024.10.11
현 지도교수님은 가고싶다니까 알아서 해라...라는 분위기라서요.. 제가 하는분야는 거의 모르셔서 추천서도 다른교수님께 받는것도 허락 받은 상황입니다. 2번에서 말씀하신 지도교수끼리의 합의라는건 제가 미국쪽 PI한테 연락하기전, 현 지도교수가 먼저 미국 PI에게 연락을 보내야한다는 말씀이실까요?
2024.10.11
보통 지도교수끼리 협의해서 공동연구처럼 진행되는게 깔끔하죠. 학생들중 BK등으로 방문연구원으로 짧게 잇다가는 경우에 예전지도교수와 사이가 틀어지는경우 많이봤습니다. 한국은 “내 제자”라는 인식이 강해서, 거기에서 연구를 하고왓을때 공동저자로라도 본인이름이 잇어야된다 생각하는 교수들이 꽤많아요. 저도 방문연구원으로 갈때 그런것들을 많이 들엇고요. 저는 학교프로그램으로 갓던거엿고, 깔끔하게 지도교수들끼리 먼저 합의를 보거나 최소한 모든메일에 참조로 보내서 어떤상황인지 공유햇엇어요
2024.10.11
대댓글 2개
2024.10.11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