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카이스트 학석이면 서류는 프리패슨데;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20 - 반도체 취업시장이 워낙 망하긴했는데 카이스트 학석이 서탈이란건 좀ㅋㅋ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17 - 카석사생들 현실부정하네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19 - 초년생들이 많이들 하는 실수가 본인이 노력해서 얻은 데이터 및 산출물이니 그것들이 본인 것이라 착각한다는 부분이죠. 어디에 소속되어 작업한 결과는 본인 것이 아니라 소속 기관의 것입니다. PI가 데이터 공유 및 공저자 추가를 지시했다고 기분 나빠할 이유가 없습니다.
석졸 예정인데 이런 걸로 기분나빠하면 안되겠죠? (동기에게 제 데이터 공유 및 양도)
13 - 학부가 안좋은 사람이 연구 잘하는거보단 훨씬 흔한것 같습니다.
제가 그동안 봐온바에 따르면 (본인은 박사졸업한지 몇년됨)
학부가 SKPYK정도면 학점이 높지 않더라도 대부분 박사과정 중에 좋은 저널에 논문을 냈었고, 학점이 높지만 학부가 낮은 경우는 SKPYK에서 박사를 받더라도 박사과정 중에 좋은 저널에 논문을 못낸 경우가 대다수 였습니다.
전공 지식이 좀 부족해도 상관 없다고 느끼는게 연구 과정 중에 막힐때 파고들어서 공부하고 해결책을 찾아내기만 잘하면 된다고 봅니다. 일반적으로 학부가 높은 애들이 연구 과정 중에 파고드는건 잘하고 해결책을 잘 찾더군요. 학부가 낮은 경우는 일정수준까지 실력이 오른뒤 더이상 안오르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학점이 낮으면 전공 지식이 부족한게 사실인데, 학점이 높다고 반드시 전공 지식이 좋은건 아니라고 생각하는게 지방대의 경우 수업의 퀄리티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단순 족보 암기로 학점 따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학점이 낮고 연구를 잘하는게 흔한 케이스는 아니지요?
15 - 지방대 싸잡아 무시하는?
전 ~~ist 박사인데 인서울+경기쪽 출신이 지거국출신보다 낮은 논문 썼다는~~그래서 인서울출신은 대부분 기업으로 가고 오히려 지거국출신이 출연연+교수직으로~
학점이 낮고 연구를 잘하는게 흔한 케이스는 아니지요?
17 - Ai 박사가 라쿠배하닉을 왜 가죠..?
AI 탑티어 1저자 논문가 1개라도 있으면 취업이 수월한가요?
11 - 이 말투쓰시는 분 정체가 뭐임? 보일때마다 ist 보다 yk가 낫다고 주장하시네 ㅎㅎ
연고대 대학원 합격 가능 여부 및 객관적 현 스펙 평가
11 - 좋게 포장 하지만 결국 간 보다가 다른 곳 가신다는 거네요. 제 연구실에는 이런 학생이 없으면 좋겠습니다.
교수님의 석박통합 권유 어떻게 거절드려야 할까요
18 - ㅋㅋㅋㅋ 이걸 이렇게 생각하네
저는 이런 지도교수 안만나서 다행입니다 ^^
교수님의 석박통합 권유 어떻게 거절드려야 할까요
11 - 저도 이런 학생 분 안 만나서 정말 다행입니다. 화이팅 입니다 ^^
교수님의 석박통합 권유 어떻게 거절드려야 할까요
10 - 그런 고민은 진지한 관계가 된 다음에나 시작하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6 - 보통 동양인 남자는 다른 인종에게 인기가 정말 없습니다. 이성으로 볼 확률은 희박하니 (우리가 흑인 여자 보는것과 비슷하려나요) 괜히 상처주지 마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0
학벌과 학력에 대하여
2020.08.02

김박사넷에서도 학벌이랑 학력 이야기에 많은 이슈가 있어서 토론하고 싶어서
발제드립니다.
다름이 아니고, 좋은 학교나 질 높은 교육을 받기 위해 입시를 치르고,
사회에 진출했을때 좋은 학교로 인한 학벌로 인해 대우를 받고, 사회적인
차등이 필요할지 궁금합니다.
또는 현재 대학원으로 학력이나 학벌 세탁을 하는 것처럼
대학원 진학으로 인한 노력도 사회적인 인정을 받아야하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학벌과 학력을 떠나 개인의 평가를 객관적으로 따져봐야할지
혹은 학벌과 학력이 높은 사람만이 차등적인 직업군을 가지고 더 높은 임금과 대우를
받는 것이 좋은건지, 여러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저는 참고로 학벌과 학력에 대한 개인의 노력이 나쁘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다만, 왜 현재의 시대는 노력하지 않는 사람도 같은 결과의 평등(혹은 노력한 결과에 대한 대가를 똑같이 받는 것)을 공유해야만 하는 것인지..
과연 이러한 시대의 흐름이 정당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이제, 학벌과 학력의 시대는 무너졌다고 이야기들 합니다.
정말 미래 사회는 무너진 유리천장에서 개인의 능력이 평가받을 수 있는 기준(학력, 학벌 등)과
스펙이 필요가 없어지는 것일까요?
학벌논란 이해안가는게 김GPT 45 57 18576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김GPT 38 64 10838-
23 42 16842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김GPT 29 26 14366-
33 23 8979
지겹지도 않냐? 김GPT 30 11 4903-
17 15 3245
학벌 김GPT 12 48 7081
학교 혹은 학벌 비교하는 분들에게 김GPT 11 5 2930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 명예의전당 21 81 33299-
69 57 10812 -
158 32 4313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142 - 연구실 고를 때 몇 가지 위험신호들
62 - 대학원 오지 마세요 제발 경고합니다
172 - 대학원을 왔는데 생각과 많이 다릅니다.
19 - 이재x xxx. ㅅcㄲ 좋냐?
42 - 박사과정때 교수님이 본인논문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셨나요?
3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01 - 신임 교수를 뒤에서 욕하는 인간 부류 제일 경계하고 조심해야함.
21 -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7 - "외대" 라고 하면 어디가 먼저 떠오르나요?
22 - 남자들 군대가는게 커리어적으로 진짜 개손해다
23 - Frontiers 논문은 전부다
4 - 신임 교수 연구실 선택 시 유의점
2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인턴을 하면서 타대에 원서 넣기
39 -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20 - 석사 1학기인데 랩실 내 소외감이 듭니다
8 - 석졸 예정인데 이런 걸로 기분나빠하면 안되겠죠? (동기에게 제 데이터 공유 및 양도)
18 - yk ssh 이공계분들 월급 얼마 받으시나요?
25 -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연락하는 것인지...
11 - 학점이 낮고 연구를 잘하는게 흔한 케이스는 아니지요?
14 - 공대 박사 주저자 논문이 없어요
12 - 교수님 의견이랑 선배 의견이 다른데 어찌합니까?
20 - AI 탑티어 1저자 논문가 1개라도 있으면 취업이 수월한가요?
12 - 배터리쪽 상황이 많이 안좋나요?
12 - 연고대 대학원 합격 가능 여부 및 객관적 현 스펙 평가
25 - 교수님의 석박통합 권유 어떻게 거절드려야 할까요
25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연구실 고를 때 몇 가지 위험신호들
62 - 대학원 오지 마세요 제발 경고합니다
172 - 대학원을 왔는데 생각과 많이 다릅니다.
19 - 이재x xxx. ㅅcㄲ 좋냐?
42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01 -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8 - "외대" 라고 하면 어디가 먼저 떠오르나요?
22 - 남자들 군대가는게 커리어적으로 진짜 개손해다
23 - Frontiers 논문은 전부다
4 - 신임 교수 연구실 선택 시 유의점
21 - 해외 유학에서 미국뽕이 극심한 이유
37 - 미국 유학/ 전반적인 팁
29 - [안정적 펀딩] vs [학교 랭킹] 고민하는 분들에게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9 - 박사 펀딩 오퍼 받았는데 생활 가능할까요?
32 - 미국 CS 대학원 유학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필요합니다.
17 -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20 - 석졸 예정인데 이런 걸로 기분나빠하면 안되겠죠? (동기에게 제 데이터 공유 및 양도)
18 - yk ssh 이공계분들 월급 얼마 받으시나요?
25 - 학점이 낮고 연구를 잘하는게 흔한 케이스는 아니지요?
14 - 공대 박사 주저자 논문이 없어요
12 - 교수님 의견이랑 선배 의견이 다른데 어찌합니까?
20 - AI 탑티어 1저자 논문가 1개라도 있으면 취업이 수월한가요?
12 - 배터리쪽 상황이 많이 안좋나요?
12 - 연고대 대학원 합격 가능 여부 및 객관적 현 스펙 평가
25 - 교수님의 석박통합 권유 어떻게 거절드려야 할까요
25
2020.08.02
2020.08.02
20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