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시국에 입학해서 벌써 대학원 입학을 앞두고 있습니다. AI 쪽 분야를 생각하고 있는데,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이유는 AI 연구, 공부도 더 깊게 해보고 싶지만, 석전연을 노리고 있어서도 있습니다.
석전연 끝나고 대학원 박사 진학 또는 해외 박사 유학이나, 아니면 취업 등의 선택지가 있다고 알고 있는데, (물론 어려운 길도 있긴 하지만...) 취업 또는 창업에 더 관심이 있고, 일단 학계에 남고자 하는 뜻은 확실히 없어서 석전연 후 취업을 일단 임시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현재 skp AI 대학원의 연구실을 두 곳 정도 생각 중인데, 장단점이 서로 달라서 굉장히 고민 중이에요 ㅠㅠ
- 연구실 A 장점: 연구실 사람 많음 (창업을 하려면 인맥도 중요한 것 같아서 일단 장점에 두었습니다), 학계보단 취업한 Alumni들이 압도적으로 많음 단점: 논문 실적 물론 좋지만 B가 너무 압도적.., 사람이 너무 많아서 제대로 된 지도를 받을 수 있지 모르겠음
자대생도 있지만 타대생이 매우 많기도 합니다
- 연구실 B 장점: 논문 실적 top of top (제 기준) 단점: 대부분 교수나 포닥 등 학계에 남음
주변에 선배가 없어서 물어볼 곳이 없었습니다...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03.20
양쪽 다 컨택 해보셨나요
대댓글 1개
2023.03.20
A 먼저 조금씩 참여해보는 방향으로 해도 되냐고 컨택해봤고, 교수님께서 알겠다고 하셨습니다! 근데 그저 욕심입니다만 AI 공부하면 할수록 탑티어 논문을 쓰고자하는 마음이 생겨서 B가 눈에 밟히는 상황이에요..
2023.03.20
알다시피 석전연은 왜인지 모르겠는데 자꾸 정치적으로 공격받아서 없어질일 없다는걸 알아도 좀 빡치는 면이 있음. 연구실 B가 대부분 교수나 학계에 남는다는건 취업 못해서가 아니라 더빡센거 할수있어서 안하는거임.
그리고 둘다 괜찮은 연구실같아 보이니 일단 컨택부터 되나 확인하길 바람.
대댓글 1개
2023.03.20
댓글 감사합니다 !!
재치있는 백석*
2023.03.20
근데 애초에 타대출신으로 석사만 잠깐 하는거면 인맥얘기가 왜 나오는지 알 수 없음 박사정도는 진득히 하면서 몇년을 비벼야 인맥이라고 얘기할정도로 생기는거지
타대출신이면 연구실 적응으로 상당기간 날아가고 할수있는게 생각보다 많이 없음.
그리고 다른 글에서도 자주 언급되던데, 지금 AI분야에서 석사만 2년 하는게 어떤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지 모르겠음 GPT가 뜨면서 최근 우후죽순 대학교학과 및 스타트업 범람하고 있는데 솔직히 5년만 지나도 대다수 멸망임
또한 해외출신 사람들도 돌아와서 전문연 하려고 비비는 판에 (최근 중소기업 AI에 자대석사, MIT박사 출신 들어간 소식 들림) 본인이 그 사람들과 경쟁해서 이길 자신이 있는지도 궁금함
대댓글 1개
2023.03.20
제가 인턴 갔었던 대학원 랩들은 석사 분들도 잘 어울리고 해서 인맥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나봅니다 ㅠㅠ
해외 대학원 출신 분들과도 경쟁해야한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실적 좋은 B 연구실에 가서 논문 잘 쓰는 사람들 밑에서 빡세게 굴러봐야하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그러네요..
2023.03.21
일반적으로 졸업 후 학계에 남거나 좋은곳으로 포닥갈 실력이면 맘만 먹으면 취업은 무조건 합니다. 아니 더 좋은 곳으로 더 좋은 조건으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연구 환경이나 교수의 인성 등등 다른 조건이 비슷하다면, 이건 애지간해선 B가 나을겁니다. 대학원에서 졸업 후, 산업계로 간 사람이 많다는것은 일반적으론 마이너스에요.실적도 B가 더 좋다니 말할것도 없고요. 물론 산업계로 간 사람이 한명도 없고 그러면 내부추천이나 이런거에 있어서 약간의 불이익은 있을 수 있지만 아무리 탑 레벨 렙이라고 해도, 그정도는 아닐겁니다. 연구 환경도 B가 더 좋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후진 환경에서 아주 좋은 실적이 나오는경우는 흔치 않지요.
2023.03.20
대댓글 1개
2023.03.20
2023.03.20
대댓글 1개
2023.03.20
2023.03.20
대댓글 1개
2023.03.20
2023.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