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학원 진학 관련 고민이 깊어 처음으로 김박사넷에 가입하고 질문글 올려봅니다. 많은 선배님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저는 현재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초과학기 재학 예정인 학부생입니다. 현재 목표는 훌륭한 논문을 써서 연구자로서 성공하기 보단, 무난하고 즐겁게 석사 졸업 후 연구원으로서의 취업하는 것입니다. 다음 두 연구실 중 어느 곳을 지원해야 후회가 없을지 고민이 깊습니다.
1. 휴머노이드 관련 서울대 연구실. 직접 인턴도 해봤고 박사 분들과도 안면을 튼 상태입니다. 김박사넷 평에 따르면 교수님 평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교수님께서 인품이 좋으시고 연구실 분위기도 좋아 보이는데, 교수님께서 논문 지도력이 뛰어나시지 않다는 평이 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critical 한 문제인지 감이 안잡힙니다). 무엇보다 제가 가장 관심 있는 분야(보행 로봇)이다 보니 마음이 갑니다.
2. SLAM 관련 서울대 연구실 아직 인턴은 안해봤고, SLAM 도 딱히 관심분야는 아닙니다. 그런데 김박사넷 상에선 꽉 찬 오각형으로 제가 본 교수님 중 가장 평이 좋으십니다. 또 SLAM 이 워낙 유망한 분야다 보니, 마이너한 분야인 휴머노이드 랩보다 취업이 수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논문 실적으로 비교를 해보려 했더니, 유명한 저널이나 학회에 낸 논문 갯수는 근소한 차이로 2번이 앞서지만 크게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라 생각했습니다. 입학 성공 확률은 1번이 조금 더 높다고 생각합니다(1번 연구실을 광교에 위치했기 때문에 경쟁률이 낮다고 들었습니다).
요지는, "분야와 연구실 분위기가 마음에 들지만, 교수님의 지도력이나 연구실 실적이 약간 부족한 연구실" vs "그닥 관심 분야가 아니지만, 교수님의 평가와 연구실 실적이 더 좋은 연구실" 으로 요약이 가능하겠네요.
이정도면 어느 연구실을 택하든 크게 후회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들지만, 기왕 하나 고르는거 최선을 고르고 싶다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됩니다. 선배님들 의견은 어떠신가요? 혹시라도 제가 제공한 정보가 적어 판단이 어려우시다면 죄송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답답한 공자*
2023.01.27
답변이 아니어서 죄송합니다만, SLAM이 유망 분야인가요? 김박사넷 다른 글에서는 SALM은 더 이상 연구할게 없다고 본 기억이 나서요.. 저는 sensor 관련 연구를 하는데 자율주행 시대를 맞이해서 sensor application 으로 SLAM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거든요.
대댓글 1개
2023.01.27
연구분야로서의 유망 분야인지는 저도 학부생이라 잘 모르지만, 실용성+상업성 측면에선 매우 유망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요즘 로봇 관련 창업들도 보면 대부분이 슬램을 사용한 서비스로봇 관련인것 같기도 하고요
IF : 2
2023.01.27
휴머노이드는 전망이 그리 좋지 않지 않나요?? 실용성이 떨어지니 과제도 별로 없어서 다른 쪽 연구 많이 하고 있는 걸로 아는데요.
대댓글 1개
IF : 2
2023.01.27
앗 지금 보니, 마이너한 분야라고 작성자께서 쓰셨네요ㅡ
서울대면 마이너해도 로봇이니, 어떻게든 먹고 사시겠지만 하드웨어에 관심있으시면 웨어러블, 소프트, 서비스 로봇 쪽도 살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023.01.27
위의 두 분 다 질문자의 질문에 대답을 안 하심 ㅋㅋ 저라면 2번을 고르겠어요. 위에 있는 댓글처럼, 휴머노이드가 전망이 안 좋을 것 같아서...
대댓글 1개
2023.01.27
의견 감사합니다!
IF : 2
2023.01.27
저는 1번 추천합니다. 위 댓글들 보면 로봇관련 전공자들이 아니거나 아직 학생분들 같아요. 저도 모르는게 많지만 아는 범위에서만 말씀드릴게요.
취업 - 국내 대기업 중 (아마도) 현대차에서 가끔 채용하는거 제외하면 로봇보행 전공자를 채용하지 않음 - 하지만 작년 기준 미국 기업들(테슬라 등)의 휴머노이드/이족보행 전공자 수요가 많았기 때문에 국내도 해외의 트랜드를 따라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미국 기업들의 휴머노이드 개발 연구가 계속 이어지면 따라갈 가능성도 있음 - 한편, SLAM 분야는 우수인력이 기업에 이미 포진해있어서 생각보다는 신규인력 채용이 많지 않음 * 결론: 최근 분위기상 로봇분야 대기업만 찾으면 어느 연구실을 가더라도 학석 서울대 출신이 취업하기 쉬우므로 취업을 고민할 필요는 없음.
연구 - 이족보행 분야는 난이도와 진입장벽이 높아 박사까지 안하면 제대로된 연구 하기 어려움 - SLAM 분야도 마찬가지로 논문쓰기 쉬운 분야는 아님 - 둘 다 이론 + 실험적 검증이 중요해서 논문쓰기 힘든편 - SLAM이 실용화, 상용화, 사업화에 유리한 아이템이나 어차피 석사만해서는 전문성 살릴 수는 없음 * 결론: 석사만 할거면 두 분야 모두 논문 쓰기 힘들고, 전문성 못가지므로 이것도 걱정할 필요 없음
위 두 가지 결론을 종합하자면 연구 관심사 맞는곳 가시면 됩니다. 특히 1번은 SKP수준에서 이족보행을 다루는 연구실로는 유일한 곳이니 괜찮아 보이긴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1.27
슬램도 논문쓰기 어려운 분야인줄은 몰랐네요 긴 답변 감사합니다
2023.01.28
두 곳 다 어디인지 알 거 같은데 한 말씀만 드리자면 광교라고 입학이 쉽진 않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1.28
자대생한텐 비교적 수월할 것 같은데요?
2023.01.28
목표가 좋은 논문쓸려고 석사 진학인데
보행로봇..? 그걸로는 SCI 논문급도 쓰지도 못하는게 다반사.. 다른쪽 생각해보시죵..
2023.01.28
저는 1번 추천드립니다. 더 좋아보여요
2023.01.29
1번은 지인들이 있는곳이네요. 입학하기전에 광교임을고려해도 다른곳들과 많이비교해보고 고민도하고 랩인턴해서 들어갔습니다. 결국은 들어갔지만 랩인턴했음에도 들어가기쉽진않았죠 랩인턴했음에도 떨어진 인턴도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1.29
물론 떨어진인턴이 타대,타과일수있지만 학점이좋지않다면 안심할수없을겁니다. 어쩄든 학생들이 몰리는 대형랩이면 이유가있겠죠.
2023.01.27
대댓글 1개
2023.01.27
2023.01.27
대댓글 1개
2023.01.27
2023.01.27
대댓글 1개
2023.01.27
2023.01.27
대댓글 1개
2023.01.27
2023.01.28
대댓글 1개
2023.01.28
2023.01.28
2023.01.28
2023.01.29
대댓글 1개
2023.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