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진학 시 편입 이점

2022.10.11

7

3140

안녕하세요 하위권 지거국에 재학중인 1학년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목 그대로 대학원 진학에 있어서 더 좋은 대학교로의 편입이 이점이 있는지 궁금해서 글 올립니다.
일부 커뮤니티 글에서 좋은 대학교일수록 학점이 좀 낮아도 높은 대학교 대학원의 입학이 가능하다는 것처럼 말을 하더군요. ( ex) A대학교 3.8 spk합격, B대학교 4.3 spk합격 네임밸류는 A>B라 가정.)

첫번째 질문은 이것의 사실여부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게 확실하다고 말하는 글도 보지 못했고, 아니라고 말하는 글도 보지 못해서 질문드립니다.

두번째는 위 질문과 별개로 특별한 이점이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제목에서 말한 질문이죠.

어딜가도 잘할 사람들은 잘한다는 것은 압니다. 저도 편입을 하던 안하던 최선을 다해서 공부해서 원하는 대학원 랩실에 들어가고 싶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불만족일지도 모르겠지만 최근들어 편입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이에 대한 근거를 만들어 합리화를 하기 위해 이 질문을 올린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모쪼록 조언 부탁드립니다.

+추가로 희망하는 랩실은 이론물리 관련 랩실입니다. 혹시나 궁금해하실까봐,,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웃는 코페르니쿠스*

2022.10.11

편입은 모르겠고 당연히 학부에 따라 학점의 가치가 다르죠.
만약 두 학교 다 상위 10프로 컷이 4.0 이라면 당연히 좋은 대학 애가 훨씬 잘하겟죠.
한국영재고에서 상위 30프로도 서울대 가지만 지방에 일반고에서 상위 10프로가 연고대도 못가는 거랑 똑같죠.

대댓글 1개

2022.10.11

생각해보니 당연히 그러겠네요,, 감사합니다!

IF : 1

2022.10.11

학벌로 당락이 결정되진 않는다고 보는데,
본인학교 성적이 서류에서 가장 중요해보이고,
지원서 연구분야 전문성이 그다음 중요해보여요.
면접에서 몇마디 나눠보면 바닥이 훤히 보이는데, 보통 학벌이 낮을수록 그 바닥이 깊이 보여서 떨어지는거지
학벌이 낮아서 떨어지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석사졸 기업취직이면 편입하세요,
박사졸 연구직희망이면 빨리 졸업하는게 답입니다.
해외박사준비를 하던가요

대댓글 1개

2022.10.11

무슨 말인지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10.12

꾸준글인데 검색 해보세요. 학부가 바뀌는데 당연히 이점이 있죠ㅋㅋ

2022.10.12

지잡대 4.0이랑 인서울 4.0이랑 서성한 4.0은 공부량과 수준에서 차원이 다릅니다 인식 역시 마찬가지구요. 또한 지방대에선 수석을해야 특정학교 합격이 가능한 반면 연고대에선 3.8정도면 입학이 되죠 소문이 아니라 사실이고 당연한 결과입니다.. 학교가 바뀌면 대학원 입시에 대한 유리함도 물론 있겠지만 내 주변의 환경과 평균이 바뀐다는점, 내 목표도 그에 맞춰 자연스럽게 상향조정 된다는 점, 굳이 내가 똑똑한 사람임을 애써 보여줄 필요가 없다는점 등 살아가면서 맞이할 여러 순간에 크고 작은 이점이 있겠죠 편입 성공의 성취감이 앞으로의 태도를 바꿔줄지도 모르구요

2022.10.14

지방대 공대에서 학부를 서울 중상위권 공대로 편입한 학생입니다 (대학원 X 학부)
지방대에서는 4.5, 4.3 거의 과1-2등이였습니다. 하지만 여기와서는 상위 15% 수준입니다. 학점도 전공학점 기준 0.4 낮아졌습니다.

격차는 사실이며 여러 대학에서도 그래서 네임밸류에 따라 대학교 컷이 다릅니다.
단순 커뮤니티 글에서 오는 찌라시가 아니라 타대 교수님들 만나보면 이를 감안합니다.
(예 ssh 학부 3.7 = 인설 하위권 상위 10% = 지거국 상위 5%이내)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