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딥러닝 job market은 암울한 미래 뿐인가요?

2022.07.23

17

5009

딥러닝 하시는 분들이 자주 말하시길
‘ 앞으로 딥러닝쪽 사람 쏟아져 나와서 job 구하기 빡셀거고 대우도 예전만큼 못받을거다 ’라고 하네요…

그런데 당장 skp ykist등등 딥러닝 랩은 자대생 아니면 못가는 분위기네요

딥러닝 랩은 우수한 자대 애들도 경쟁해서 가는 분위기인데,
이 친구들이 암울한 job market으로 아무것도 모르고 뛰어드는 걸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2.07.23

될놈은 됩니다

2022.07.23

딥러닝 알고리즘좀 아는 정도로는 부족하고 전반적인 엔지니어링 역량이 갖춰져야 가능하겠죠

2022.07.23

정작 코어 머신러닝이랑 NLP 하는 사람은 공급이 없어서 임용 못 시키는중임
순수한 프랜시스 크릭*

2022.07.23

딥러닝 잡마켓이 암울한 수준이면.. 비주류 공학(조선, 원자력, 토목), 자연과학, 인문학, 사회과학 전공자들은 다 같이 손잡고 나락가야되는건가요
방정맞은 윌리엄 켈빈*

2022.07.24

개꿀에서 꿀 되는거 정도로 생각함
교수임용이든 기업취업이든

2022.07.24

쏟아져 나와서 망할거면 동네에서 의원하는 의사들은 진작에 다 망했어야됨
의대 말고도 의전원에서도 쏟아져 나오는데 ㅋㅋㅋ
취업 존나 잘됨 웬만큼 정상적인 대학원에서 정상적인 삶을 살고 나왔으면 쉽게 붙음
탑티어 어쩌구 들먹일거면 안 어려운 분야 아무 것도 없음

2022.07.24

대우가 예전만 못한건 당연하지 근데 그 예전이 대체 언제를 말하는 건진 몰라도 딥러닝 역사를 완전히 뒤집어 바꿔놓은 resnet이 나온게 고작 2015년임
국내에선 저때부터 저걸 했던 사람들은 당연히 대우가 존나 좋았겠죠 국내에 할줄 아는 사람이 손에 꼽았을테깐
근데 지금은 확실히 대학원도 많이 생기고 학부 딥러닝 수업에도 저정도는 배우니깐 5년전보단 당연히 대우가 안 좋은데
공급이 극단적으로 매우 적어서 할줄만 알아도 5억씩은 받던 시장에서 5년만에 할줄 아는 애들이 좀 많아져서 1억정도 받는 시장으로 바뀐거면 암울한거임? 오히려 노다지 아닌가

대댓글 1개

깔끔한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2.07.24

이게 맞는말인데 그런생각을 못하는 사람들이 문제지. 지금 미국취업하면 박사초봉 3~5억 받는 사람들 CS엔 많지. 근데 그사람들은 CS암울하다 할때 선택해서 들어갔고 떡상했는데 할줄아는 사람들은 자기들밖에없으니 보상받는 중 인거고.. 지금처럼 떡상한거 알고 들어간거면 경쟁자들도 많을텐데 그전에 들어간 사람들하고 똑같이 보상받을 생각하는게 문제임. 2018년쯤에 비트코인 사둘걸 하는거랑 다를바가 없음. CS는 여전히 잘나갈건데 경쟁에서 도태되는 사람이 생기는건 어느 필드든 당연한거임.

2022.07.24

?? 지금 미국 딥러닝 취업 엄청 잘되는데 ㅋㅋㅋㅋ 매년 자리도 늘고있고. 무슨 말씀이신지… 한국 상황만 보지마세요
울적한 쿠르트 괴델*

2022.07.24

네이버/카카오 등 실적이 안 좋아져서 회사 RS 포지션들이 많이 없어지긴 했습니다. 올해 부터 잡마켓이 많이 안 좋아질거란 전망은 있어요.

2022.07.24

취업 되긴 되는데 주로 스타트업 전전하던데

2022.07.24

이번 졸업으로 취업준비하면서 느낀건, 단순 딥러닝 엔지니어를 원하는 곳이 많이 없다는 것 입니다 . 즉 학부생 정도의 그냥 해봤다 수준을 이제는 원하지 않아요. 스타트업 수준의 기업 말고는 딥러닝 엔지니어/리서처 직군이 석졸 이상이 기본 지원 자격이고요.
또한 리서처 직군에 지원할때 석사 포지션이 굉장히 애매할 수 있다는 것. 즉 리서처 포지션에는 대부분의 기업에서 주로 박사급 이상의 확실한 전문가를 원합니다.
작년까지 취업 인플레가 심했던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제 기업들에서 옥석 가리기에 힘쓰는 중인 것 같네요.
박사까지 하고 웬만한 실적이 뒷받침 해 준다면 아직은 모셔가는 분위기입니다 .
석사로만 취업울 한다면 애매할 수 있습니다. 물론 눈에띄는 실적이 있다면 당연히 이야기가 달라지지만요.

2022.07.26

지금 박사할사람들 탑티어 5개써야 사람구실한다. 난 3개밖에없어서 하층민이다

대댓글 1개

2022.07.31

탑티어 5개요..? 하... 빡세네...

2022.07.26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죠. 그러나 전문적인 역량이 있다면 버틸 수는 있겠죠.
후배들 중에도 어디 연구실이 취업이 잘된다고 거기서 석사 받고 나와서 회사 다니다가 저기 연구실이 요즘 핫 다다고 박사 들어가는 경우 많이 봤죠. 문제는 취업시장이 항상 블루오션이면 괜찮지만, 보통 5~10년 정도 빤짝하고 적정 수준 인원이 맞춰지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특히 박사 이상의 일자리는 항상 그랬죠. 또 박사 이상의 일자리는 흔히 말하는 노동조합 같은 연대? 연합? 이런 게 없어서 일반인들에게 항상 저평가 받죠.

대댓글 1개

2022.07.29

죠죠군

2022.07.28

앤간해선 다 잘가는듯 다만 요즘엔 코딩 못하는 박사들은 좀 거르는 추세임. 리서치만 시켜놓기엔 경제가 좀 위태해서

코딩도 좀 하면서 엔지니어링 역량좀 있고 리서치도 잘하는 박사는 언제나 탑티어. 어짜피 논문은 팀에서 다른사람들이 쓰는거고 실제 엔지니어링해서 캐쉬플로 만들수 있는 박사들은 2015년부터 부족했음. 그래서 국내기업에서도 1.5정돈 그냥 기본으로 부르고 시작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