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학부 ssh 4학년 다니고 있고 대학원 진학에 있어서 고민이 있습니다.
학점은 4.40/4.5이고 연구실 인턴경험은 2번인데 다양한 분야를 겪어보려다 보니 논문을 쓴 경험은 없고 프로젝트들만 몇 개 수행했었습니다. 대학원은 학계에 큰 뜻이 있는 건 아니고 그냥 연구개발 쪽일을 해고 싶다보니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였습니다.
원래는 당연히 spk를 가려고 했고 3~4월쯤에 카이스트 교수님과도 컨택을 완료했었습니다. 하지만, 연구실 인턴을 하면서 자대 교수님께서 자기 랩실 오라고 제안을 계속 하셔서 고민 중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고려를 전혀 안하고 spk 가겠다고 생각했으나 조건이 너무 좋아서 고민이 됩니다.
자대 장점:
대학원 기간동안 전액장학금을 받고 추가로 교수님께서 인건비 석사 150~, 박사 180~이상을 채워서 주신다고 하셨습니다. 또, 기업연계 장학생으로 받아도 인건비는 똑같이 주겠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인성이 정말 훌륭하십니다. 살면서 이런 교수님 다시 볼 수 있을까 싶습니다. 매주 개별미팅을 해주시면서 지도도 해주십니다. (인턴을 하는 학부생에게도 매주 개별미팅을 해주시네요)
그리고 여기 연구실에서 1년정도 가까이 있었는데 분위기도 좋고 사수분도 실력도 좋으시고 성격도 좋으셔서 많은 도움 받았습니다.
졸업을 최대한 빨리 시켜주신다고 하셨습니다.
자대 단점:
학벌이 spk에 비해 낮습니다. 그리고 비교적 신생랩이다 보니 졸업생이 아직 1명밖에 없습니다. (박사과정생은 3~4명정도 있습니다.)
분야가 요즘 핫한 분야가 아니라 전통적인 분야입니다.
신생랩이다 보니 행정처리가 할게 많다고 들었습니다.
요약하자면, 학벌말고는 모든 면에서 좋다고 생각하는데 어떡하면 좋을까요?? 제 주변에 물어봤을 때도 반반으로 갈려서 아직도 고민되네요. 조언주시면 감사히 듣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화난 막스 베버*
2022.07.09
무조건 spk 가세요 그 학점이면 아쉬움이 항상 남을거고 여전히 spk랑 비spk는 인식이 아예 달라요..
대댓글 2개
2022.07.09
그렇게 차이가 나나요.. 사실 대학원 가려고 학점딴건 아니고 걍 성적장학금 타먹을라고 하다보니 높아진거라서 지금은 크게 아쉬움을 느끼진 않을것 같은데 막상 대학원가면 아쉬움이 남겟죠?
화난 막스 베버*
2022.07.10
네 자대 수준보면서 현타 엄청 오고 나중에 학계가서도 아 내가 마이너그룹이구나 느낄겁니다
2022.07.09
고민할필요없이 무조건 spk로.
그리고 같은 교수라도 학연생으로 보는 교수와 석박사로 보는 교수는 크게 다를 수 있음 ㅋㅋ.
대댓글 1개
2022.07.09
아는 사람이 석사로 들어갔는데 만족하고 있다고는 합니다.. 근데 학점떄매 오기 아깝지 않냐고 조언을 주긴하네요
청승맞은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2.07.09
저라면 자대 남을 거 같은 데
대학원생활은 교수님 인성이랑 학생 케어가 젤 중요함
청승맞은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2.07.09
닥 자대 교수님이 개별지도 해주고 안해주고 실적 차이 엄첨 큼
2022.07.09
무조건 SPK. 해외 유학길이 열릴 수 있음.
님 유학 가고 싶을 때 교수님한테 미안해서 갈 수 있겠어요?
2022.07.09
그 인건비 카이스트 오면 그것보다 더 받아요..
대댓글 2개
2022.07.09
보통 어느정도 받나요?? 집안 형편이 좋지는 않다보니 인건비에 민감하게 되네요.. 빚져가면서까지 학위는 따고 싶지는 않아요
2022.07.09
박사는 학비지원 따로(카장인경우)에 월급을 저만치 줌. 핫한분야는 200이상은 다받음
2022.07.09
인건비에 대한 지도교수님의 제안은 입학 이후에 말이 달라져도 본인이 어찌 손을 쓸 수가 없어요. 인건비가 약속대로 이행되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하시면 자대가시고 아니면 spk요
2022.07.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건비 얼마 차이 난다고.. spk가면 적자는 거의 없이 다니지 않나요? 학계를 가도 spk, 취업도 spk에만 있는 산학도 많아요 석사 후 유학갈 거 아니면 좋은 학교 가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2022.07.09
SPK중 K를 택하신다면 어느 연구실을 가든 독립해서 혼자 먹고사는데 지장없다고 봅니다. 돈문제로 걱정하지는 마세요.
2022.07.0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유학가는 데에 석사를 SPK에서 했냐, 비SPK에서 했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석사를 하면서 논문을 썼냐 안 썼냐가 훨~~씬 중요합니다.
석사 자대에서 하고 미국 유학 코스가 제일 좋아보입니다.
무조건 국박을 생각한다면 SPK 가세요. 구직하실 때 국박끼리 경쟁할 때 SPK에서 한 게 더 낫긴 하죠 (연구분야 퍼포먼스 비슷한 수준일 때).
2022.07.09
돈 실적 학벌 다 필요없고 (진짜 중요)
1.교수님 인성과 성품
2. 해장 랩의 연구 환경
딱 이 2개만 고려해서 판단하세요. 컨택하신 교수님 랩실은 가보셨나요?
2022.07.09
석사는 자대, 박사 할건면 spk 가는게 추천드립니다. 윗글에도 동감!
2022.07.09
좋은 의견들을 많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2022.07.11
K재학생인데 여기 진짜 spk 뽕이 장난아닌듯.. 윗 댓 말대로 석사만 할거면 교수 인성 + 실적 + 연구실 분위기가 정말 중요합니다. 연구에 뜻이 있는거 아니라시니 무조건 자대 추천합니다.
2022.07.09
대댓글 2개
2022.07.09
2022.07.10
2022.07.09
대댓글 1개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대댓글 2개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09
2022.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