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부러우면 자기도 거기가서 서울대 교수 되지 뭐하러 김박사넷에 똥글싸고 계신지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33
- 그런 잣대로 그 사람의 노력을 모욕하면 좋나요? 저 정도 정보면 누군가 특정까지도 가능할 거 같은데 박사까지 학부 이후에 수식이나 여러 스킬은 배양이 가능합니다. 저 분은 박사학위(심사 교수들의 인증)나 교수 임용(학과 동료 교수들과 총장의 인정)으로 충분히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학부생들 입학하면서 대부분 교수 출신이나 논문 등 잘 안보고요. 대학원 관심 생길 때나 겨우 찾아봅니다. 님같은 사람이 사회 좀먹는 사람입니다. 남 신경끄고 본인이나 신경쓰세요.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52
- 저 교수님들 존경스럽다..... 얼마나 부던히 노력해서 저기까지 가셨을까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27
- 그 지도교수도 잘못했지만, 고소한 것을 자랑하는 것도 불가피한 것은 이해하지만 좋게 보이지 않고, 그것을 칭찬하는 사람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대학원 생활을 하는 것인지...ㅉㅉㅉ
결국엔 지도교수 고소했다.
24
- 이색기교수네
결국엔 지도교수 고소했다.
18
학계를 떠나며
2022.05.12
19
36720

박사 및 몇년간의 포닥 생활을 마치고 학계를 떠나며 돌이켜보니 정말 우여곡절이 많음을 느낍니다. 넉두리 삼아 이야기해봅니다.
운이 좋아 유럽내에서 나름 유명한 랩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할 수 있었고, 연구도 진척이 잘되갈 무렵, 지도교수님이 연구자 윤리규정 위반으로 자리가 날아가고, 랩이 공중분해... 논문이고 뭐고 다들 탈출하느라 허겁지겁 졸업을 했습니다.
첫 포닥. 보스는 좋은 사람이었지요... 그냥 사람 좋은. 연구원들이 파벌싸움이 장난이 아니었고, 실험실내 따돌림이 굉장히 유명했죠. 다른 랩에서도 혀를 내두를 정도였으니까요. 제가 3번째 따돌림 대상에 찍힌건 제가 유일한 외국인인 까닭이 제일 크다고 봅니다. 하루에 최소 2시간은 뒷담화에 시간을 소비하는데 거기에 끼기도 싫었지만요.
게스트 연구원. 새로운 걸 배우기 위해 무급으로 연구를 했고, 나름 성과도 있었습니다. 유일하게 좋았던 시절이죠. 연구비를 못따서 결과적으로 더 남아있을 수는 없었지만, 운이 좋게 옆 랩으로 새로온 PI와 일을 시작할 수 있었지만...
두번째 포닥. 이 PI는 지뢰였습니다. 이전 연구실에서 제가 참여해 쓴 논문에 본인의 이름을 넣겠다고 봐준다고 한것도 모자라, 내가 PI인데 자기 밑에 포닥보다 이름이 뒤로가는게 말이 되냐며 1저자와 싸우던 PI였죠. 잠깐 일하면서 주변의 거의 모든 사람과 싸우던...
운이 안좋았던 것 같은데, 길다면 긴 학계 생활중에 별일을 다 당했던 것 같네요. 이제 학계를 완전히 떠나며, 연구자로써 새로운 생활을 회사에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학계에서의 경험은 분명 값지고 훌륭했지만, 다시하기엔 제 인내가 견디질 못하겠네요. 회사라고 크게 다르진 않겠지만, 새로운 동료들이 훌륭해서 만족스럽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좋은 성과가 있길 바랍니다.
운이 좋아 유럽내에서 나름 유명한 랩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할 수 있었고, 연구도 진척이 잘되갈 무렵, 지도교수님이 연구자 윤리규정 위반으로 자리가 날아가고, 랩이 공중분해... 논문이고 뭐고 다들 탈출하느라 허겁지겁 졸업을 했습니다.
첫 포닥. 보스는 좋은 사람이었지요... 그냥 사람 좋은. 연구원들이 파벌싸움이 장난이 아니었고, 실험실내 따돌림이 굉장히 유명했죠. 다른 랩에서도 혀를 내두를 정도였으니까요. 제가 3번째 따돌림 대상에 찍힌건 제가 유일한 외국인인 까닭이 제일 크다고 봅니다. 하루에 최소 2시간은 뒷담화에 시간을 소비하는데 거기에 끼기도 싫었지만요.
게스트 연구원. 새로운 걸 배우기 위해 무급으로 연구를 했고, 나름 성과도 있었습니다. 유일하게 좋았던 시절이죠. 연구비를 못따서 결과적으로 더 남아있을 수는 없었지만, 운이 좋게 옆 랩으로 새로온 PI와 일을 시작할 수 있었지만...
두번째 포닥. 이 PI는 지뢰였습니다. 이전 연구실에서 제가 참여해 쓴 논문에 본인의 이름을 넣겠다고 봐준다고 한것도 모자라, 내가 PI인데 자기 밑에 포닥보다 이름이 뒤로가는게 말이 되냐며 1저자와 싸우던 PI였죠. 잠깐 일하면서 주변의 거의 모든 사람과 싸우던...
운이 안좋았던 것 같은데, 길다면 긴 학계 생활중에 별일을 다 당했던 것 같네요. 이제 학계를 완전히 떠나며, 연구자로써 새로운 생활을 회사에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학계에서의 경험은 분명 값지고 훌륭했지만, 다시하기엔 제 인내가 견디질 못하겠네요. 회사라고 크게 다르진 않겠지만, 새로운 동료들이 훌륭해서 만족스럽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좋은 성과가 있길 바랍니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BEST
포항공대 장점31
26
6506
BEST
중앙대vs디지스트9
30
2022
BEST
서울대 공대 VS 카이스트 공대30
44
35194
-
37
38
8866
-
30
37
15272
-
64
31
6710
명예의전당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102
5
15233
명예의전당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77
62
26252
-
64
15
11218
고전인기
너무 열심히 살지 마세요.75
18
30755
-
113
10
22493
-
87
61
5229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6
50
- 교수 학부 학벌
0
26
- 과기원이나 포스텍, 켐텍 등으로 진학한 지방국립대나 지방사립 출신들 있으신가요?
19
23
- 꼭 봐주세요)다른 랩실도 이런지요? 실험실 군기 관련.
6
25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3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5.12
대댓글 1개
2022.05.12
대댓글 1개
2022.05.12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