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시기라 그런 모양임 그래도 꾸준히 컨택 메일을 보내야 뭔가 결론이 남..컨택 완료시 까지 수십통이고 보내는게 나음
대댓글 1개
2022.03.20
네 맞아요.. 당장 내일까지 조기졸업 여부를 결정 해야하는거라 마음만 너무 급하네요. 컨택도 마구잡이로 했다가 나중에 후회하면 어쩌나 싶은 생각도 들고.. 의견 정말 감사합니다.
2022.03.20
거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학부 졸업은 가능하다면 빨리 하는 게 좋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3.20
다만 이는 조졸이 중요하기 때문이 아니고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그냥 학부생때 쉅 많이들었구나 정도의 인상이지 그렇게 스펙이 될 요소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3년 반이든 4년이든 그 학부 과정동안 연구에 연관된 무엇을 얼마나 했냐 가 더 중요하죠) 다만 당사자 입장에서 빠른 졸업 후 대학원을 빨리 시작해서 본격적인 연구경험을 쌓는게 빠를수록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반년 일찍 조졸하고 정작 입학이 반년 늦는다면 조졸을 하는 메리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2022.03.20
감사합니다 제가 궁금했던 부분을 정확하게 짚어주셨네요.. 당장 내일까지 결정해야 하는 문제라 고민이 많이 되네요. 보름동안 실험실을 정해서 컨택을 하는게 가능할지도 모르겠구요.. 나이 생각하지 말고 그냥 흐름대로 졸업하고 2학기때 인턴을 하는게 더 좋다고 보시나요? 컨택을 너무 급하게 하면 시야가 좁아질까봐 걱정입니다ㅠㅠ
2022.03.20
하다못해 내년상반기에 입학한다고해도, 카이스트같은곳들은 입시가 8월에는 다 끝날겁니다.
지금 컨택하시고, 컨택된 정도에 따라서 결정해보세요.
그리고, 특정대학에 유명한 교수들이 있는건 가능하고, 특히나 젊고 잘하는 교수가 각 학교에 많이 퍼져있는건 사실입니다. 다만, 학생입장에서는 최대한 높은학교에서 학위를 받는게 기회적인 측면에서 조금이라도 이득이 될겁니다.
박사까지 생각하고, 지금있는 연구실에서 타상위권 대학에서 졸업하는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좋은성과로 졸업할 자신이 있으면 자대도 좋은선택지가 될수도 있죠. 근데 그게 쉽지 않으니..
교수스스로의 능력이랑, 학생의 능력이랑은 다릅니다. 교수가 떠먹여주는것도 한계가 있죠.
2022.03.20
대댓글 1개
2022.03.20
2022.03.20
대댓글 2개
2022.03.20
2022.03.20
2022.03.20
대댓글 1개
2022.03.20
2022.03.20
2022.03.20
2022.03.20
대댓글 2개
2022.03.20
2022.03.21
2022.03.22